• 제목/요약/키워드: HSP72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4초

Caffeine attenuates spermatogenic disorders in mice with induced chronic scrotal hyperthermia

  • Amir Raoofi;Omid Gholami;Hossein Mokhtari;Fatemeh Bagheri;Auob Rustamzadeh;Davood Nasiry;Alireza Ghaem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1호
    • /
    • pp.28-41
    • /
    • 2024
  • Objective: Chronic scrotal hyperthermia (SHT) can lead to serious disorders of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with oxidative stress playing a key role in the onset of these dysfunctions. Thus, we evaluated the impact of caffeine, a potent antioxidant, on cellular and tissue disorders in mice with chronic SHT. Methods: In this experimental study, 56 adult male NMRI mice were allocated into seven equal groups. Apart from the non-treated control group, all were exposed to heat stress. Two groups, termed "preventive" and "curative," were orally administered caffeine. The preventive mice began receiving caffeine immediately prior to heat exposure, while for the curative group, a caffeine regimen was initiated 15 consecutive days following cessation of heat exposure. Each treated group was subdivided based on pairing with a positive control (Pre/ curative [Cur]+PC) or a vehicle (Pre/Cur+vehicle). Upon conclusion of the study, we assessed sperm characteristics, testosterone levels, stereological parameters, apoptosis, antioxidant and oxidant levels, and molecular markers. Results: Sperm parameters, testosterone levels, stereological parameters, biochemical factors (excluding malondialdehyde [MDA]), and c-kit gene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preventive and curative groups, especially the former, relative to the other groups. Conversely, expression levels of the heat shock protein 72 (HSP72) and nuclear factor kappa beta (NF-κβ) genes, MDA levels, and apoptotic cell density were markedly lower in both caffeine-treated groups relative to the other groups, with more pronounced differences observed in the preventive group. Conclusion: Overall, caffeine attenuated cellular and molecular abnormalities induced by heat stress in the testis, particularly in the mice treated under the preventive condition.

소풍탕(疏風湯)이 고지혈증 흰쥐의 뇌경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pung-tang on Cerebral Infarct Induced by MCAO in Hyperlipidemic Rats)

  • 최서우;김연섭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1-78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evaluates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opung-tang, a mixture of Notopterygii Rhizoma, Saposhnikoviae Radix, Angelicae Gigantis Radix, Cnidii Rhizoma, Hoelen,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Pinelliae Tuber, Linderae Radix, Angelicae Dahuricae Radix, Cyperi Rhizoma, Cinnamomi Ramulus, Asari Radix, Glycyrrhizae Radix on the cerebral infarct combined with hyperlipidemia. Method : The hyperlipidemia was induced by the beef tallow 30% diet for 14 days on Sprague-Dawley rats. The cerebral infarct was induced by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for 2 hours with intraluminal thread method. Then the water extract of Sopung-tang was administered a day for 5 days at 3 hours after the cerebral infarct by MCAO. Effect of Sopung-tang was evaluated with the infarct volume and edema percentage by a TTC-stained brain section, and the expressions of Bax and Bcl-2 in the brain tissue by a immunohistochemical stain method. Results : Sopung-tang reduced the infarct size partly in a TTC-stained brain section of the hyperlipidemic MCAO rats. Sopung-tang reduced the infarct volume of the hyperlipidemic MCAO rats significantly. Sopung-tang reduced the edema percentage of the hyperlipidemic MCAO rats,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Sopung-tang suppressed the Bax expressions in the cerebral penumbra and caudate putamen of the hyperlipidemic MCAO rats significantly. Sopung-tang upregulated the Bcl-2 expression in the caudate putamen of the hyperlipidemic MCAO ra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pung-tang plays an anti-apoptotic neuroprotective effect through the suppression of Bax and up-regulation of Bacl-2 expressions in the brain tissues.

내독소 투여 직후 가해진 열충격이 백서의 급성폐손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Co-treatment on Acute Lung Injury of the Rat Induced by Intratracheal Lipopolysaccharide)

  • 나주옥;심태선;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55-366
    • /
    • 2002
  • 연구배경: 열 전처치는 조직 내에 열충격단백질의 생성을 유도하며 이러한 열 전처치가 내독소로 유도된 쥐의 급성폐손상을 감소시키고 패혈증에 의한 사망률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폐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에 노출된 후 가해진 열처치가 폐손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독소 투여 직후 시행한 열충격이 내독소에 의해 유발된 쥐의 급성폐손상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조군은 백서의 기관지 내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열처치 대조군은 생리식염수 투여 직후 열처치를 시행하였다. 내독소군은 열처치 없이 내독소를 기관지내로 투여하였다. 열 전처치군은 내독소 투여 18시간 전에 열 전처치를 시행하였고, 열 동시처치 군은 내독소 투여 직후 열처치를 시행하였다. 내독소 투여 후 6시간에 기관지폐포세척을 시행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호중구 백분율을 측정하였고 폐를 적출하여 myeloperoxidase(MPO)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기관지폐포세척액과 혈청에서 LDH(lactic dehydrogenase), 단백질, IL(interleukin)-$1{\beta}$, TNF(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L-10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군에서 폐 조직 내 HSP72의 표현정도를 관찰하였다. 결 과: 1) 내독소군, 열 전처치군 및 열 동시처치군 모두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호중구 백분율, 폐조직이 MPO, 혈청 및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IL-1{\beta}$, $TNF-{\alpha}$ 및 IL-10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각 p<0.05). 2) 열 동시처치군은 폐조직의 MPO와 기관지폐포세척액 단백질의 농도가 내독소군과 차이가 없었고 기관지폐포세척액의 LDH가 내독소군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3) 열 동시처치군의 혈청 $TNF-{\alpha}$의 농도는 내독소군과 비교 시 증가하였다(p=0.01). 결 론: 내독소 투여 직후 시행한 열충격은 내독소로 유도되는 폐손상을 감소시키지 못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Comparison for immunophysiological responses of Jeju and Thoroughbred horses after exercise

  • Khummuang, Saichit;Lee, Hyo Gun;Joo, Sang Seok;Park, Jeong-Woong;Choi, Jae-Young;Oh, Jin Hyeog;Kim, Kyoung Hwan;Youn, Hyun-Hee;Kim, Myunghoo;Cho, Byung-Woo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3호
    • /
    • pp.424-435
    • /
    • 2020
  •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the immunophysiological responses to exercise-induced stress in Jeju and Thoroughbred horses. Method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s of adult Jeju (n = 5) and Thoroughbred (n = 5) horses before and after 30 min of exercise. The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profiles of the blood samples were analyzed. Blood smears were stained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The concentration of cell-free (cf) DNA in the plasma was determined using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and polymorphonuclear cells were separated using Polymorphprep, and the expression of various stress-related and chemokine receptor genes was measured using reverse transcriptase (RT) and real-time PCR. Results: After exercise, Jeju and Thoroughbred horses displayed stress responses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rectal temperatures, cortisol levels, and muscle catabolism-associated metabolites. Red blood cell indi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roughbred horses than in Jeju horses after exercise. In addition, exercise-induced stress triggered the formation of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s) and reduced platelet counts in Jeju horses but not in Thoroughbred horses. Heat shock protein 72 and heat shock protein family A (Hsp70) member 6 expression is rapidly modulated in response to exercise-induced stress in the PBMCs of Jeju horses. The expression of CXC chemokine receptor 4 in PBMCs was higher in Thoroughbred horses than in Jeju horses after exercise. Conclusion: In summary, the different immunophysiological responses of Jeju and Thoroughbred horses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properties of the two breeds. The physiology of Thoroughbred horses makes them suitable for racing as they are less sensitive to exercise-induced stress compared to that of Jeju horses.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exercise-induced stresses and the physiological alteration of horses. Hence, our findings show that some of assessed parameters c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endurance performance of horses.

내독소처치 흰쥐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치 상승에 따른 폐손상 악화 및 35 kDa 단백질 합성 (Lung Injury Indices Depending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 and Novel 35 kDa Protein Synthesis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t)

  • 최영미;김영균;권순석;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236-1251
    • /
    • 1998
  • 연구배경 : 급성폐손상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는 염증세포들이 분비하는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중 특히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는 다른 염증세포들의 화학주성 및 각종 염증성 매개물질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으로 작용하는 한편, 직접적으로 세포손상을 야기시키는 세포독성 cytokine으로도 작용하는데, 급성폐손상에서 TNF-$\alpha$와 폐조직 손상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가 많지 않다. 또한, 최근에 생체내 방어기전으로 스트레스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핵구에 내독소를 처치하거나, 동물에 내독소를 투여하기 전에 미리 스트레스 단백질을 합성시킨 경우, 내독소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켜 준다는 연구가 보고되었지만, 내독소 자극 자체만으로 스트레스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내독소 유도성 급성 폐손상에서 TNF-$\alpha$ 분비와 폐조직 손상을 포함한 일련의 염증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생체내 내독소 자극에 대하여 폐포대식세포에서 스트레스 단백질을 포함한 새로운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흰쥐의 기관내로 내독소를 투여한 후 시간별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TNF-$\alpha$농도, 염증세포 백분율 변화,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고, 또한 각 시간대의 폐포대식세포에서 sodium dodes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와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단백질 합성양상을 분석하는 한편, 폐포대식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내독소 자극과 열처리를 가한 후, 배양상층액에서 tumor necrosis factor-a 농도를 측정하고, 폐포대식세포의 단백질 합성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내독소 투여 후 tumor necrosis factor-$\alpha$는 첫 1시간째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여 (p< 0.0001) 3시간째 최고치에 이르렀고 6시간째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째는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내독소 투여 후 염증세포 백분율의 변화는 2시간째부터 시작하여 6시간째 최고에 이르러 12시간째까지 지속하였으며, 장시간째에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폐손상 지표 점수는 내독소 투여후 6시간째 최고치에 이르러 24 시간째까지 지속하였다. 내독소 투여 후 분리한 폐포대식세포에서 첫 1시간째부터 장시간째까지 정상 대조군에서는 관찰할 수 없던 35kDa의 새로운 단백질 띠가 관찰되었으며, 면역화학염색상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독소 자극을 가하지 않은 정상 대조세포군에 비해 내독소 자극을 가한 세포군의 배양상층액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01), 내독소 자극만 가한 세포군에 비해 열충격 전처치후 내독소 자극을 가한 세포군의 배양상층액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가 10 ${\mu}g/ml$ 내독소 자극군만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내독소 자극만 가한 세포군은 10 ${\mu}g/ml$의 고농도에서만 35 kDa 의 단백질 띠가 합성되었고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는 관찰되지 않았다. 열충격 전처치후 내독소 자극을 가한 세포군은 모두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가 관찰되었다. 결 론 : 기관내 내독소 투여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는 폐손상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내독소 자극에 의해서는 폐포대식세포에서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 합성이 유도되지 않으며, 35 kDa의 새로운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었는데,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 및 병리조직소견과의 관계를 볼 때, 급성 폐손상에 있어 35 kDa 단백질이 방어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아 신장질환에서 요 β2-microglobulin검사의 분석 (Analysis of urine β2-microglobulin in pediatric renal disease)

  • 김동운;임인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4호
    • /
    • pp.369-375
    • /
    • 2007
  • 목 적 : 각 소아 신장 질환에서 요 ${\beta}_2$-M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고, 일차성 신증후군에서 ${\beta}_2$-M 수치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기간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신세뇨관 손상을 반영하는 요 ${\beta}_2$-M과 신기능의 보편적 지표인 BUN, Ccr을 비교하여 신기능의 지표로 ${\beta}_2$-M이 유용한 지를 보았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에 내원하여 24시간 소변검사를 시행 받고 ${\beta}_2$-M 검사를 시행 받은 혈뇨, 부종, 단백뇨 등의 증상이 있는 0-4세 사이의 환아 102명의 신장질환자와 같은 연령대의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인 자료분석을 하였다. 각 신장 질환을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삼았다. 각 신장 질환의 요 ${\beta}_2$-M 검사치를 종속변수로 삼아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일차성 신증후군에서 ${\beta}_2$-M 수치가 의미 있게 높았던 군(양성)과 낮은 군을 구분하여(기준=$150{\mu}g/g-Cr$), 소변에서 단백뇨가 호전되어 퇴원하기까지의 치료기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신장 질환자 102명 중 신증후군이 52명(MCNS(n=45, $72{\pm}45{\mu}g/g-Cr$), MPGN(n=3, $154{\pm}415{\mu}g/g-Cr$), FSGS(n=4, 1$188{\pm}046{\mu}g/g-Cr$), APSGN은 6명($93{\pm}404{\mu}g/g-Cr$), IgA 신병증은 7명($3414{\pm}106{\mu}g/g-Cr$), 급성 신우신염은 9명($742{\pm}160{\mu}g/g-Cr$), 방광염은 16명($179{\pm}168{\mu}g/g-Cr$), 그리고 HSPN은 12명($109{\pm}898{\mu}g/g-Cr$)으로 신증후군 환자가 65%로 가장 많았다. 그 중 IgA 신병증 과 급성 신우신염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24시간 요 ${\beta}_2$-M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일차성 신증후군환자의 ${\beta}_2$-M 검사상 높은 군이 낮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치료기간이 길었으나(P<0.05), 각 신장질환에서 신기능 지표인 Ccr과 BUN, Cr 등은 24시간 요 ${\beta}_2$-M 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각 신장 질환의 24시간 요 ${\beta}_2$-M 수치를 조사한 결과 IgA nephropathy와 급성신우염이 다른 신질환 군과 비교하여 24시간 요 ${\beta}_2$-M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beta}_2$-M 수치는 전반적인 신기능의 지표와 조직병리소견의 예측인자로써는 부적합하나, 상부 하부 요로감염의 감별과 신증후군 환자의 치료기간을 예측하는 데는 유용해 보였다.

Tumor Necrosis Factor-$\alpha$로 유도되는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 열충격반응이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t Shock Response on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고윤석;임채만;김미정;조원경;정병오;송규영;;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343-1352
    • /
    • 1997
  • 연구배경 : 패혈증이나 이에 합병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들은 고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발열은 조직의 대사를 항진시키므로 조직내 산소공급에 제한이 초래되는 패혈증 환자들에서 발열이 동반되는 경우 열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보다 중요기관의 산소공급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발열상태는 조직내 열충격단백질 (heat shock protein, HSP)의 생성을 유도하여 패혈증에 의한 비가역적인 손상으로부터 세포들을 보호함으로써 생체의 방어기전에 유려하게 작용할 수도 있어 패혈중 이에 합병된 급성 폐손상 환자들의 발열에 대한 임상적 의미는 아직 규명되어 있지않았다. 본 연구는 열을 전처치 하였거나 하지 않은 Sprague-Dawley rat의 기도에 TNF를 주입한 후 TNF에 의해 유도되는 급성 폐손상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열이 급성 폐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 폐손상의 지표로는 백서의 우측폐내 $I^{125}$의 분당 측정량 대비 1mL의 혈중내 $I^{125}$의 분당 측정량의 비율로 정의한 단백누출지표와 백혈구의 조직내 침윤정도를 반영하는 myeloperoxidase(MPO)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평균(${\pm}$ 표준오차)로 표기하였다. 결 과 : 백서의 기도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백서들은 열을 전처치 하였거나 하지 않은 경우 두 군사이의 단백 누출 지표는 각각 0.099(${\pm}0.024$) 및 0.123(${\pm}0.005$)로서 차이가 없었으며 MPO도 4.58(${\pm}0.79\;U/gm$) 및 7.32(${\pm}0.97\;U/gm$)로서 열을 전처치 할 경우 다소 감소되는 경향(P=0.064)를 보였으나 차이가 없었다. 백서의 기도에 TNF-$\alpha$을 주입한 치료군에서 열 전처치한 백서군은 단백누출지표 0.137(${\pm}0.012$) 및 MPO 7.01(${\pm}0.89\;U/gm$)로서 열 전처치 않은 백서군 단백누출지표 0.186(${\pm}0.015$) 및 MPO 14.11(${\pm}1.08\;U/gm$)에 비해 낮았으며(각 P<0.05) 정상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MPO 활성도가 단백 증가되었다(r=0.564, P<0.005). 열 전처치 하지 않은 백서에 비해 열 전처치한 백서의 폐 조직내 HSP 72 단백질의 발현은 열 충격 후 18시간 및 23시간 뒤에도 증가되어 나타났다. 결 론 : 백서에 열을 전처치 할 경우 TNF-$\alpha$로 유도되는 급성 폐손상이 경감되므로 발열이 백서의 방어기전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