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SI

검색결과 505건 처리시간 0.029초

효율적 영상 워터마킹을 위한 HSI 채널 분석 (HSI Channel Analysis for Effective Image Watermarking)

  • 이주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83-188
    • /
    • 2013
  •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작권 주장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디지털 워터마킹 중에서 영상에 대한 워터마킹 기법이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지만, 칼라영상에서의 워터마킹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 영상 워터마킹을 위해서 칼라모델 중에서 HSI 채널에서의 워터마킹 적용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가중치에 따른 비가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출된 워터마크의 상관도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HSI 색정보와 관심영역(ROI-LB)을 이용한 차선검출 알고리듬 (A Road Lane Detection Algorithm using HSI Color Information and ROI-LB)

  • 최인석;정차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222-224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hat extracts road lane's specific information by using HSI color information and performance enhancement of lane detection base on vision processing of drive assist. As a preprocessing for high speed lane detection, the optimal extraction of region of interest for lane boundary(ROI-LB) can be processed to reduction of detection region in which high speed processing is enabled and it also increases reliabilities by deleting edges those are misrecognized. Road lane is extracted with simultaneous processing of noise reduction and edge enhancement using the Laplacian filter, the reliability of feature extraction can be increased for various road lane patterns. Since noise can be removed by using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HSI color model. Also it searches for the road lane's color information and extracts characteristics. The real roa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 PDF

HSI 색 공간 색상 보정을 이용한 안개 제거 알고리즘 (Dehazing in HSI Color Space with Color Correction)

  • 엄태하;김원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0-148
    • /
    • 2013
  • Median Dark Channel Prior를 이용하여 안개를 제거하는 방법은 비교적 빠르고 정확한 전달량 맵을 만들어 안개를 제거한다. 그러나 기존의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RGB 색 공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색상의 왜곡 오류가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HSI 색 공간에서 안개 영상의 색상의 정확도를 측정하여 색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은 기존 방법으로 안개 제거 시 색상이 왜곡 되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설계 요건 중심의 인간-시스템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 (Design Requirements-Driven Process for Developing Human-System Interfaces)

  • 함동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3-90
    • /
    • 2008
  • Development of human-system interfaces (HSI) supporting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automation-based systems, particularly safety-critical sociotechnial systems, entails a wide range of design and evaluation problems. To help HSI designers deal with these problems, many methodologies from traditional human-computer interaction, software engineering, and systems engineering have been applied; however, they have been proved inadequate to develop cognitively well engineered HSI. This paper takes a viewpoint that HSI development is itself a cognitive process consisting of various decision making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then proposes a design requirements-driven process for developing HSI. High-level design problems and their corresponding design requirements for visual information display are explained to clarify the concept of design requirements. Lastly, conceptual design of software system to support the requirements-driven process and designers' knowledge management is described.

An Adaptive Weighted Regression and Guided Filter Hybrid Method for Hyperspectral Pansharpening

  • Dong, Wenqian;Xiao, S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호
    • /
    • pp.327-346
    • /
    • 2019
  • The goal of hyperspectral pansharpening is to combine a hyperspectral image (HSI) with a panchromatic image (PANI) derived from the same scene to obtain a single fused image. In this paper, a new hyperspectral pansharpening approach using adaptive weighted regression and guided filter is proposed. First, the intensity information (INT) of the HSI is obtained by the adaptive weighted regression algorithm. Especially, the optimization formula is solved to obtain the closed solution to reduce the calculation amount. Then, the proposed method proposes a new way to obtain the sufficient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PANI and INT by guided filtering. Finally, the fused HSI is obtained by adding the extracted spatial information to the interpolated HSI.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achieves better property in preserving the spectral information as well as enhancing the spatial detail compared with other excellent approaches in visual interpretation and objective fusion metrics.

초분광 이미징 기술동향 (Recent Trends of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 이문섭;김거식;민기현;손동훈;김정은;김성창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1호
    • /
    • pp.86-97
    • /
    • 2019
  • Over the past 30 years, significant developments have been made in hyperspectral imaging (HSI) technologies that can provide end users with rich spectral,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Owing to the advances in miniaturization, cost reduction, real-time processing, and analytical methods, HSI technologies hav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from remote-sensing to healthcare, military, and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latest trends of HSI technologies, analytical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s. In particular, improve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deep learning, allows the full use of HSI technologies in classification, clustering, and spectral mixture algorithms. Finally, we describe the status of HSI technology development for skin diagnostics.

HSI 컬러모델 및 명도 군집화를 이용한 영상에서의 그림자영역 추출 (Shadowing Area Detection in Image by HSI Color Model and Intensity Clustering)

  • 최연웅;장영운;박정남;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5-463
    • /
    • 2008
  • 광학센서를 이용한 자료취득과정 중 발생하는 그림자는 영상내 동일 지물에 대한 밝기값의 지속성을 훼손하여 영상에 의한 지상 정보를 해석함에 있어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정보의 활용에 있어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고 그림자에 의한 영상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연구로써 자료원이 다른 보조자료의 활용을 배제하고 단일 컬러 영상으로부터 도심지의 지상 객체에 의한 그림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HSI 컬러모델의 명도(intensity) 정보를 이용하여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퓨리어 변환에 의한 그림자 영역 복원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에서의 그림자 영향을 제거하였다.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the Korean KOSPI and the Hong Kong HSI stock markets

  • Baek, Eun-Ah;Oh, Man-Su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3권3호
    • /
    • pp.203-213
    • /
    • 2016
  • We investigate volatility spillover aspects of realized volatilities (RVs) for the log returns of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and the Hang Seng Index (HSI) from 2009-2013. For all RVs, significant long memories and asymmetries are identified. For a model selection, we consider three commonly used time series models as well as three models that incorporate long memory and asymmetry. Taking into account of goodness-of-fit and forecasting ability, Leverage heteroskedastic autoregressive realized volatility (LHAR) model is selected for the given data. The LHAR model finds significant decompositions of the spillover effect from the HSI to the KOSPI into moderate negative daily spillover, positive weekly spillover and positive monthly spillover, and from the KOSPI to the HSI into substantial negative weekly spillover and positive monthly spillover. An interesting result from the analysis is that the daily volatility spillover from the HSI to the KOSPI is significant versus the insignificant daily volatility spillover of the KOSPI to HSI. The daily volatility in Hong Kong affects next day volatility in Korea but the daily volatility in Korea does not affect next day volatility in Hong Kong.

열적지표를 적용한 국내 고심도 석탄광산의 열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using Heat Stress Indices for Deep Coal Mine in Korea)

  • 박선오;노장훈;김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2호
    • /
    • pp.166-1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측을 통하여 강원도 태백에 위치한 대규모 석탄광산의 열환경을 평가하였다. 열환경 평가를 위하여 WBGT, HSI, ESI, KATA지수 및 유효온도 등 다양한 열적지표를 적용하였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작업장에서 높은 열환경이 평가되었고, 특히 열적지표 중 인체의 생리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HSI와 최대 땀증발열의 상관계수는 -0.834이고 이것은 HSI지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땀증발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공기속도이다. 따라서 운영 중인 제 1수직갱의 연장 굴착 또는 공기 누기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환기량 증대를 통해 작업장의 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우(Vulpes vulpes)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Vulpes vulpes)

  • 어여경;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65-270
    • /
    • 2022
  • 여우 복원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자연에 방사된 여우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여우 개체들이 다른 지역으로 분산되어 인간 생활 지역에서도 출몰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른 영향을 예측하고 대비하고자 여우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를 개발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하여 주요 환경 변수를 추출한 뒤, GIS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총 5가지의 적합 지수(Suitability Index, SI)를 구축하였다. 임상과 경사, 향, 수계 및 도로로부터의 거리가 주요 변수이며, 임상도에 2배의 가중치를 주어 산술 평균한 값이 HSI 결과이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와 비교한 결과, 여우 좌표들이 평균 0.64의 HSI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며, 0.53 이상일 때에 출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여우의 분포를 사전에 예측하여 앞으로의 복원 계획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거나 추후 환경영향평가 시 분포 파악 및 저감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