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S1

검색결과 1,088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acute heat stress on salivary metabolites in growing pigs: an analysis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based metabolomics profiling

  • Kim, Byeonghyeon;Kim, Hye Ran;Kim, Ki Hyun;Ji, Sang Yun;Kim, Minji;Lee, Yookyung;Lee, Sung Dae;Jeong, Jin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19-331
    • /
    • 2021
  • Heat stress (HS) causes adverse impacts on pig production and health. A potential biomarker of HS is required to predict its occurrence and thereby better manage pigs under HS. Information about the saliva metabolome in heat-stressed pig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HS on the saliva metabolome and identify metabolites that could be used as potential biomarkers. Growing pigs (n = 6, 3 boars, and 3 gilts) were raised in a thermal neutral (TN; 25℃) environment for a 5-d adaptation period (CON). After adaptation, the pigs were first exposed to HS (30℃; HS30) and then exposed to higher HS (33℃; HS33) for 24 h. Saliva was collected after adaptation, first HS, and second HS, respectively, for metabolomic analysis using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Four metabolites had significantly variable importance in the projection (VIP > 1; p < 0.05) different levels in TN compared to HS groups from all genders (boars and gilts). However, sex-specific characteristics affected metabolites (glutamate and leucine) by showing the opposite results, indicating that HS was less severe in females than in males. A decrease in creatine levels in males and an increase in creatine phosphate levels in females would have contributed to a protective effect from protein degradation by muscle damage. The results showed that HS led to an alteration in metabolites related to energy and protein. Protection from muscle damage may be attributed to the alteration in protein-related metabolites. However, energy-related metabolites showed opposing results according to sex-specif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hormone levels and subcutaneous fat layer. This study had shown that saliva samples could be used as a noninvasive method to evaluate heat-stressed pigs. And the results in this study could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ool as a noninvasive biomarker for managing heat-stressed pigs.

하이퍼-스타 연결망 HS(2n, n)에 대한 삼진트리 임베딩 (Embedding between Interconnection Network Hyper-Star HS(2n, n) and Ternary Tree)

  • 김종석;이형옥;허영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61-63
    • /
    • 2004
  • 최근에 하이퍼큐브의 망비용을 개선한 상호연결망 하이퍼-스타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삼진트리가 하이퍼-스타 연결망 HS(2n, n)에 연장율 1로 임베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절단배추의 단기 저장에 대한 예열처리 효과 (Effects of pre-heat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cut kimchi cabbages during short-term storage)

  • 김상섭;구경형;정문철;홍주헌;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76-783
    • /
    • 2014
  • 절단 배추를 예열처리하고 LDPE 필름 포장하여 단기저장하면서 이화학적인 품질특성과 갈변도를 조사하였다. $40^{\circ}C$에서 1, 2, 4, 8시간동안 예열처리한 후 SDS-PAGE 법으로 단백질 밴드를 조사한 결과, 예열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HSP 밴드로 추정되는 60, 39, 33, 12 kDa 밴드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4시간 예열처리구(HS 4)가 가장 발현율이 높았으며 중량감소율도 적었다. 8주 동안 저장 중 예열처리한 절단배추의 중량감소율 및 적정산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4시간 예열처리구가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갈변도는 HS 4가 가장 적었다(Con>HS 1>HS 8>HS 2>HS 4, p<0.05). PPO활성은 저장 중 모든 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S 4가 가장 낮았고 총페놀성 화합물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감소하였다. 예열처리한 절단배추에서 HSP 밴드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4시간 예열처리구의 단기 저장 효과가 가장 좋았다.

경기도에서 분리된 Campylobacter jejuni의 유전자 패턴 분석 연구 (Genetic analysis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from diarrhea patients in Gyeonggi-do)

  • 김운호;최옥경;정진아;박성희;이예은;박광희;윤미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1-37
    • /
    • 2018
  •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Campylobacter jejuni)은 세균성위장관감염증을 일으키는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의 중요한 원인 균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지역에서 발생된 17번의 식중독에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감염된 430명의 환자와 조리종사자에게서 208건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유전적 상관관계와 유전형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PFGE와 multiplex-PCR typing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47개의 Penner-type으로 구분되는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혈청형을 multiplex-PCR typing을 이용하여 35개의 유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선별된 균주에서 7개의 유전형(HS2, HS4A, HS8, HS15, HS29, HS41, HS53)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많은 케이스에서 분리된 유전형은 HS2였고 7건의 식중독케이스에서 확인되었다. PFGE를 통하여 11건의 식중독에서 모두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그룹간의 유사성은 61.8에서 66.6%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전자 분석방법을 통하여 경기도내에서 분리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향후 집단발생시 환자의 분리 균주 간의 상관관계 규명하며 캄필로박터 감염증의 발생 및 확산 방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Rapid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Human Whole Blood Using Static Headspace Sampling with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 Lee, Ji-Young;Kim, Seungki;Lee, Jong-Tae;Choi, Jong-Ho;Lee, Jeongae;Pyo, Hee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3963-3970
    • /
    • 2012
  • Headspace (HS) an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were studied for extrac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whole blood, with chemical and instrumental variables being optimized for maximum sensitivity: incubation at $60^{\circ}C$, equilibration for 30 min, pH 11, and 2 mL injection volume. Both techniques provided accurate analyses, with detection limits of 0.05-0.1 ng $mL^{-1}$ and 0.05-0.5 ng $mL^{-1}$. HS showed better sensitivity, reproducibility, and analysis times than HS-SPME. Overall levels of chloroform in whole blood were found to be 0.05-5.84 ng $mL^{-1}$; detected levels of benzene were 0.05-2.20 ng $mL^{-1}$.

Anti-Pigmentation Effects of Eight Phellinus linteus-Fermented Traditional Crude Herbal Extracts on Brown Guinea Pigs of Ultraviolet B-Induced Hyperpigmentation

  • Ahn, Hee-Young;Choo, Young-Moo;Cho, Young-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375-380
    • /
    • 2018
  • We have previously found that mycelia culture broth of eight kinds of traditional herbal extracts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previously named as 8-HsPLCB) not only inhibited melanin and tyrosinase activity, but also reduced the contents of melanogenesis-related proteins, including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in 3-isobutyl-1-methylxanthine-stimulated B16F0 melanoma cells. For a further study, the effect of 8-HsPLCB against skin pigmentation in brown guinea pigs with ultraviolet B (UVB)-induced hyperpigmentation was investigated. 8-HsPLCB (3%) and arbutin (2%) as positive controls were applied topically twice daily for 4 weeks to the hyperpigmented areas. 8-HsPLCB showed skin-lightening effect as effective as arbutin,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n whitening cosmetics. Melanin index values as the degree of pigm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week by week post 8-HsPLCB treatment and then substantially reduced by 4 weeks. The degree of depigmentation after 4 weeks of topical application with 8-HsPLCB was 32.2% as compared with before treatment (0 week). Moreover, using Fontana-Masson staining and hematoxylin-eosin staining, 8-HsPLCB reduced melanin pigmentation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and epidermal thickness changes exposed to the UV-B irradiation as compared with non-treatment and vehicle treatment. The intensity of the skin-lightening effect of 8-HsPLCB was similar to arbut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kin-lightening effect of 8-HsPLCB might be resulted from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tyrosinase in melanocytes. To conclude, 8-HsPLCB treatment showed reduction of the melanin pigment and histological changes induced by UV irradiation in brown guinea pigs.

한열변증 점수를 이용한 한증과 열증의 건강 상태와 미병 특징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Mibyeong Characteristics between Cold Syndrome and Heat Syndrome by Cold Heat Syndrome Differentiation Score)

  • 주종천;이시우;박수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21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iagnostic tool to distinguish between cold syndrome (CS) and heat syndrome (HS). Methods: A total of 1,753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ose are CS group, intemediate group, and HS group, b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d heat syndrome differentiation score using 7 point scale consisting of 9 item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eases history, health status, Mibyeong, syndrome differentiation were analyzed. Results: CS is characterized by women, elderly, and low body mass index. CS has a history of thyroid disease, cataract, depression, osteoporosis, and HS has a history of prostatomegaly. CS receives less social psychosocial stress than HS, and the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is lower than HS. CS group has the tendency to be tired, painful, sleepless, dyspeptic and anxious. Conclusions: CS is a set of symptoms associated with decreased energy metabolism and decreased metabolic function, and is more likely to be unhealthy than HS.

HsCRP와 맥파전달시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HsCRP and Pulse Transit Time)

  • 김윤진;민홍기;김영주;전아영;전계록;예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18-222
    • /
    • 2007
  • 동맥경화정도를 반영하는 hsCRP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와 경화 정도에 의한 혈류속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맥파전달시간 (pulse transit time, PTT)와의 임상적 연관에 대해서는 잘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sCRP와 PTT의 연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4년 1월 29일에서 3월 2일까지 부산의 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의 수진자중에 당뇨와 고혈압 고지혈증 경력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233명을 대상으로 PTT을 측정하고, hsCRP와 관련 변수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관련성을 분석했다. 연구군은 hsCRP값에 따라 4분위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중앙값과 범위를 보면 1분위군은 0.02 mg/이 (0.01 ${\sim}$0.02), 2분위군은 0.04 mg/이 (0.03 ${\sim}$ 0.05), 3분위군은 0.08 mg/이 (0.06 ${\sim}$ 0.12), 4분위군은 0.24 mg/이 (0.13 ${\sim}$ 16.8)이었다. 각 군에 따른 PTT와 체질량지수, 혈중지질, 혈당, 혈압의 차이를 일원분석을 할 결과 H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상관분석에서 hsCRP는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p<0.05), PTT와 저밀도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PTT는 hsCRP,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이완기혈압, 수축기혈압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p<0.05), 고밀도 콜레스테롤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독립변수를 hsCRP군으로 하고, 반응변수를 PTT로 한 일반선형모델의 단변량 분석결과 hsCRP군에 따라 PTT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5),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연령과 성별 외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을 함께 통제한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phingomonas sp. HS362에 의한 Phenanthrene 분해특성 (Characterization of Phenanthrene Degradation by Sphingomonas sp. HS362)

  • 김수화;홍승복;강희정;안진철;정재훈;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1-207
    • /
    • 2005
  • 유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난분해성 물질인 phenanthrene을 유일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며 성장하는 균주들을 분리한 후, 그중에서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HS362라고 명명하였다. HS362는 생화학적 검사로는 Sphingomonas paucimobilis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는 Sphingomonas CF06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산분석 결과도 그람음성 간균인 Sphingomonas 속으로 판명되었으므로 Sphingomonas sp. HS362라고 명명하였다. 이 균은 500 ppm의 phenanthrene을 단일 탄소원으로 첨가한 경우, 10일 만에 $98{\%}$ 이상을 분해하였고,3000 ppm의 phenanthrene이 첨가된 경우에도 10일 만에 약$30{\%}$ 이상을 분해하는우수한 균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균은PAH들(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중에서 phenanthrene 이외에도 분자량이 적은 indole, naphthalene은 분해할 수 있는 반면에, 분자량이 큰 pyrene, fluoranthene은 분해하지 못하였다. Spitingomonas sp. HS362에 의한 phenanthrene 분해는$30^{\circ}C$, pH $4{\~}8$, NaCl $1{\%}$ 이하의 농도인 조건하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우수했으며, 특히 전분과 SDS, Tween 85, Triton X-100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해 주었을 때 분해가 증진되었다. 또한, 전배양을 통해서 phenanthrene의 분해가 증진되는 것을 볼 때에 분해효소가 유도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Spltingomonas sp. HS362는 5개의 plasmid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서 plasmid p4를 잃었을 때에는phenanthrene을 분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plasmid p4가 phenanthrene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에서 비만에 대한 고감도 C-반응성 단백과 요산의 상호작용: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해서(KNHANES VII, 2016~2018) (The Interaction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Uric Acid on Obesity in Koreans: Based 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2016~2018))

  • 표상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42-352
    • /
    • 2021
  •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8)를 이용해서 고감도 C반응성 단백(hsCRP)과 요산의 비만에 대한 위험도와 상호 작용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가 25 kg/m2 이상으로, 중증 비만은 BMI가 30 kg/m2 이상으로, 병적 비만은 BMI가 35 kg/m2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주요한 위험인자를 추가하여 보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농도의 hsCRP와 고농도의 요산이 동시에 존재하는 그룹은 기준 그룹보다 비만의 오즈비(odds ratio, OR)가 모든 단계에서 높았다(비만, OR 1.89, P<0.001 vs. 심한 비만, OR 5.04, P<0.001 vs. 병적인 비만, OR 8.20, P<0.001). 비만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비만에 대한 hsCRP와 요산의 오즈비가 1.89에서 8.20으로 높아졌다, 이는 BMI가 증가된 참가자일수록 hsCRP와 요산의 관련성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더욱이, 복합표본 일반선형분석에서 주요한 교란 요인을 보정한 후 비만에 대한 hsCRP와 요산 사이의 상호 작용이 분석되었다(P for interaction=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