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analysis

검색결과 2,646건 처리시간 0.033초

HPLC-FLD와 MSD를 이용한 지하수 중 나프탈렌 및 TNT의 미량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Micro Levels of Naphthalene and TNT in Groundwater by HPLC-FLD and MSD)

  • 박종성;오재일;정상조;최윤대;허남국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6호
    • /
    • pp.35-44
    • /
    • 2009
  • 나프탈렌과 TNT는 미국 환경청(U.S. EPA)에서 규정한 발암가능성 물질로(Group C), 환경으로 방출될 경우 수생태계와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하수 내 두 물질의 미량 분석법에 대한 기존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PLC-FLD(Fluorescence etector)와 MSD(Mass detector)를 이용한 지하수 내 나프탈렌 및 TNT의 미량분석법을 개발하여, MDL과 LOQ 및 이온영향을 조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HPLC-UV 분석법과 비교 평가하였다. 나프탈렌의 경우, 3D-Fluorescence를 통하여 확인된 최고의 파장(Ex: 270 nM, Em: 330 nM)이 HPLC-FLD에 적용되었고, $0.3\;{\mu}g/L$의 MDL과 $2.0\;{\mu}g/L$의 LOQ가 획득되었다. 이는 현재 방법(HPLC-UV; MDL: $23.3\;{\mu}g/L$, LOQ: $163.1\;{\mu}g/L$)보다 약 80배 우수한 결과이며, U.S. EPA의 음용수 권고기준($700\;{\mu}g/L$)의 약 350배 이하까지 정량분석이 가능한 수치이다. TNT의 경우, 새롭게 제시된 HPLC-MSD로 측정한 방법(MDL: $0.13\;{\mu}g/L$, LOQ: $0.88\;{\mu}g/L$)이 HPLC-UV(MDL: $16.8\;{\mu}g/L$, LOQ: $117.5\;{\mu}g/L$ at 230 nM)보다 약 130 배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U.S. EPA의 음용수 권고기준($20\;{\mu}g/L$)보다 약 23배 낮은 농도까지 정량분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UV(230 nM)의 분석법은 ${NO_3}^-$ 농도가 증가할수록(특히 21 mg/L 이상) 크로마토그램의 기준선이 증가하여 정량에 방해를 주었으나, HPLC-MSD 분석법은 국내 지하수 평균 농도보다 약 3.5배인 63.7 mg/L에서도 분석의 영향 없이 안정한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새롭게 제시된 HPLC-FLD와 MSD에의한 나프탈렌과 TNT 분석법은 지하수 및 음용수 미량분석에 적합하며, 관련분야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HPLC를 이용한 뇨 및 혈액중의 Pancuronium Bromide의 미량분석 (Microanalysis of Pancuronium Bromide in Urine and Blood by HPLC)

  • 김박광;김양숙;박성배;이종숙;정규혁;김경님
    • 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0-35
    • /
    • 1993
  •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for the analysis of pancuronium bromide in biological fluids was developed. The method depends on the formation of insoluble red complex between pancuronium bromide and rose bengal in aqueous layer. This complex is quantitatively extracted from aqueous layer into chloroform layer. The complex is stable for 1 day in chloroform layer at room temperature. It was possible to analyze pancuronium bromide in the range of 0.05~0.5 $\mu\textrm{g}$/ml without the effect of co-prescribed drugs.

  • PDF

ELISA 방법을 이용한 요중 아플라톡신 M1 측정 (Application of Competitive ELISA Method for Estimation of Urinary Aflatoxin M1 Level)

  • 김용대;김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6-310
    • /
    • 2013
  • 본 연구는 요중 아플라톡신 M1 (AFM1)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competitive ELISA 방법의 특성을 HPLC-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ELISA 방법에서의 AFM1의 회수율은 105% (73-124%)였고 측정의 변이계수는 6.85%로 나타났다. ELISA 방법에서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20 pg/ml과 0.62 pg/ml로 조사되었으며, 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요중 AFM1 농도는 상관계수 0.96의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그러나, 이렇게 높은 상관성에도 불구하고, ELISA 방법을 이용한 요중 AFM1의 농도는 HPLC-FLD 방법으로 측정한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ELISA를 이용한 방법이 단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결과는 HPLC-FLD 방법을 이용해서 얻은 회귀식을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PLC를 이용한 벌꿀 중 플루메쓰린 분석 (Determination of residual flumethrin in honey products by HPLC)

  • 원소영;정영지;이휘재;장혜숙;반경녀;강호일;김소희
    • 분석과학
    • /
    • 제22권6호
    • /
    • pp.458-463
    • /
    • 2009
  • 벌꿀에 잔류하는 플루메쓰린을 분석하기 위하여 HPLC를 이용한 신속 정확한 시험법을 확립하였으며, 확립한 시험법을 사용하여 수입 및 국내 유통 중인 벌꿀에 대한 플루메쓰린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추출한 다음 실리카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혼합액(55:45)으로 용출시켜 정제한 후 HPLC로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는 85%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으며, 검출파장은 266 nm로 하였다. 회수율은 90.2-97.8%, 검출한계는 0.003 mg/kg으로, 확립된 시험법은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국내 유통 중인 수입꿀 12건 및 국산꿀 118건을 대상으로 잔류하는 플루메쓰린을 분석한 결과 모두 검출한계 이하로 조사되었다.

GC 및 HPLC 비교분석에 기초한 차조기 종실내 tocotrienol 부재의 평가 (Absence of Tocotrienol Form of Vitamin E in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Seeds Confirmed by Comparative Analysis Using HPLC and GC)

  • 이영상;김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15-120
    • /
    • 2008
  • 비타민 vitamin E 구성 성분으로 항산화, 항암, 고지혈증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tocotrienol이 국내산 차조기에서 보고된 바, 존재 여부 확인을 위하여 국내수집 6종, 일본수집 8종 등 총 14종의 차조기 유전자원과 들깨 종실을 대상으로 HPLC 및 GC, GC/MS 비교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순상의 HPLC 이용시 차조기에서 4종의 tocopherol 및 ${\beta}-tocotrienol$, ${\gamma}-tocotrienol$과 매우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발견되었다. 2. 그러나 동일 시료를 GC로 재분석한 결과 13개 차조기 유전자원에서 모두 4종의 tocotrienol과 일치하는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3. GC 이용시 ${\delta}-tocotrienol$${\gamma}-tocotrienol$과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peak가 검출되었으나 GC/MS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tocotrienol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이상의 HPLC 및 GC 비교분석결과에 기초할 때, 차조기에는 tocotrienol류의 vitamin E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GC를 이용한 vitamin E isomer 분석이 HPLC 이용시 발생가능한 유사 머무름시간대 물질을 tocotrienol로 판단하는 오류 방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생약복합제 GCSB-5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오가피 및 우슬의 함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 이은희;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16-323
    • /
    • 2008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HPLC analysis method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tandard compounds for quality standardization of a medicinal crude drug GCSB-5, a herbal formulation consisting of 6 medicinal plants (Acanthopanacis Cortex, Achyranthis Radix, Ledebouriellae Radix, Cibotii Rhizoma, Glycine Semen, Eucommiae Cortex) which are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various bone disorders. HPLC analysis methods of acanthoside D(Acanthopanacis Cortex), 20-hydroxyecdysone(Achyranthis Radix) which were known standard compounds among 6 medicinal plants were developed on crude material and product. And validation of HPLC analysis methods were conformed for verification of HPLC methods by check to specificity, linearity, intra-day precision, inter-day precision and accuracy following ICH guideline. Content of acanthoside D and 20-hydroxyecdysone on raw material of GCSB-5 were decided at 0.577-0.578 mg/g and 0.311-0.312 mg/g. And we confirmed that content of acanthoside D and 20-hydroxyecdysone on GCSB-5 preparation were 0.302-0.303 mg/capsule and 0.113-0.115 mg/capsule.

Recent Developments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Lipids

  • Christie, William W.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1993
  • The possibilities for HPLC analysis of lipids have been revolutionised by the availability of evaporative light-scattering detectors, with which the response is independent of the nature of the mobile phase and does not depend On the presence of specific chromophores in the lipids. It was thus possible to develop an HPLC procedure, involving ternary gradient elution, for separating all the lipid classes in animal tissues in a single step. Although reversed-phase HPLC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analysis of molecular species of lipids, sliver ion chromatography can be a valuable alternative. For example, a stable silver ion column for HPLC was developed which permitted resolution of molecular species of triacylglycerols, even from such complex samples as fish oils, again With light-scattering detection and gradient elution. The capacity for HPLC resolution of diastereomeric diacyl-sn-glycerol derivatives, prepared from triacylglycerols. has lead to a new simple method for stereospecific analysis of the latter.

RP-HPLC법에 의한 무우의 매운 성분인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the Pungent Principle in Radish Roots by RP-HPLC)

  • 김미리;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20
    • /
    • 1986
  • 무우 속의 매운 맛 성분을 용매추출법 ($CCl_4$,사용)으로 분리하여 RP-HPLC법에 의해 정제한 후에 관능검사에 의해 pungency test를 하고, UV spectrum분석, GC/MC 분석을 수행한 결과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임을 확인하였다. RP-HPLC에서 mobile Phase로 70% acetonitrile을 사용하였는데, 정제된 4-methylthio-3-butenyl isothiocfanate는 단일 peak로 분리되어 나왔고 이때의 retention time은 5.2분이였다. 아울러 RP-TLC에서 Rf치는 0.9이었다.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된 리소레시친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Lysophosphatidyl Choline (LPC) in Wheat Starch Lipi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신명곤;민봉기;장판식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339-343
    • /
    • 1992
  • HPLC-UV방법을 이용하여 밀전분 지방질의 주성분인 LPC를 정량하기 위해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순수한 LPC를 분리하여 LPC의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밀 품종별 LPC에서 대한 HPLC peak responses는 시료간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만든 LPC의 HPLC-UV 표준곡선은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LPC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량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