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A-IR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6초

The Relative Factors to Insulin Resistance and β Cell Function Determin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 Nondiabetic Adults

  • Kwon, Se-Young;Na, Young-A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31-138
    • /
    • 2013
  • Insulin resistance and pancreatic beta cell dysfunction have been established as being related to the diabetes. Lately, what is emphasizing is that those have been shown as something related to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 simple index is calculated on blood levels of fasting glucose and insulin. And HOMA has been widely validated and applied for insulin resistance and pancreatic beta cell dysfunction. We also assessed the factors relative to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determined by HOMA. The data from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nalysis was done for 3,465 nondiabetic subjects (male 1,357, female 2,108). At baselin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done and fasting glucose, insulin, lipid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profiles were measured. HOMA-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beta cell function (HOMA ${\beta}$-cell) were calculated from fasting glucose and insulin levels. In male, the value of HOMA-IR and HOMA ${\beta}$-cell was the highest among 30's and decreased as the age increased. In female, the value of HOMA-IR increased with age, while HOMA ${\beta}$-cell decreased. High HOMA-IR and low HOMA ${\beta}$-cell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value of fasting glucos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Low HOMA-IR and high HOMA ${\beta}$-cell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fasting glucose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High HOMA-IR and high HOMA ${\beta}$-cell were connected with BMI,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OMA ${\beta}$-cell and a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HOMA-IR and HOMA ${\beta}$-cell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weight, BMI and WC.

  • PDF

Impact of Insulin Resistance on Acetylcholine-Induced Coronary Artery Spasm in Non-Diabetic Patients

  • Kang, Kwan Woo;Choi, Byoung Geol;Rha, Seung-Woon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057-1063
    • /
    • 2018
  • Purpose: Coronary artery spasm (CAS) and diabetes mellitus (DM) are implicated in endothelia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IR) is a major etiological cause of type 2 DM.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CAS and IR in non-diabetic individuals has not been elucida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IR on CAS in patients without D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0 eligible patients without DM and coronary artery disease who underwent acetylcholine (Ach) provocation tes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clusion criteria included both hemoglobin A1c <6.0% and fasting glucose level <110 mg/dL without type 2 DM. Patients were divided into quartile groups according the level of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1Q (n=82; HOMA-IR<1.35), 2Q (n=82; $1.35{\leq}HOMA-IR<1.93$), 3Q (n=83; $1.93{\leq}HOMA-IR<2.73$), and 4Q (n=83; $HOMA-IR{\geq}2.73$).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the higher HOMA-IR group (3Q and 4Q) was older and had higher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serum insulin, hemoglobin 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an the lower HOMA-IR group (1Q). Also, poor IR (3Q and 4Q) was considerably associated with frequent CAS. Compared with Q1, the hazard ratios for Q3 and Q4 were 3.55 (95% CI: 1.79-7.03, p<0.001) and 2.12 (95% CI: 1.07-4.21, p=0.031),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of baseline risk confounders. Also, diffuse spasm and accompanying chest pain during Ach test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IR patients with CAS. Conclusion: HOMA-IR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ference diameter measured after nitroglycerin and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ffuse spasm and chest pain.

The Suppression Effect of Garcinia Mangostana L. Pericarp Extract on Cerebral Neovascularization in Type 2 Diabetic Mellitus Rats

  • Muhammad Mufaiduddin;Vega Karlowee;Yora Nindita;Muflihatul Muniro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91-97
    • /
    • 2023
  • Mangosteen peel extract is a xanthone group,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ti-angiogenesis. This study investigated mangosteen peel extract on cerebral neovasculariza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DM) rats. This study used 36 rats, randomized into six groups: C1 (negative control); C2 (high fat diet (HFD) and mangosteen peel extract at 200 mg/kg BW); C3 (HFD and diabetic); E1, E2, and E3 (HFD, diabetic, and extract at 100, 200, and 400 mg/kg BW respectively). All groups were measured body mass index (BMI),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β cell function (HOMA-B),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 of cerebral vascular (CV).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HOMA-IR, HOMA-B, and the mean number of CV (all p < 0.05) among treatment groups. E1-3 groups ha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lood glucose and HOMA-IR, and a higher level of HOMA-B and BMI (all p < 0.05) which tends to reduce cerebral neovascularization. HOMA-IR independently had a positive effect to induce neovascularization of CV (p < 0.05, R2 = 26.8%).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mangosteen peel extract increased β-cell function sensitivity, and effectively suppressed insulin resistance, BMI, and cerebral neovascularization process in type 2 DM rats.

Different Criteria for the Defini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Its Relation with Dyslipidemia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 Nogueira-de-Almeida, Carlos Alberto;de Mello, Elza Daniel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1권1호
    • /
    • pp.59-67
    • /
    • 2018
  • Purpose: to compare cut off points corrected for age and gender (COOP) with fixed cut off points (FCOP) for fasting plasma insulin and Homeostatic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for the diagnosis of IR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dyslipidemia. Methods: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including 383 subjects aged 7 to 18 years, evaluating fasting blood glucose, plasma insulin, and lipid profile. Subjects with high insulin levels and/or HOMA-IR were considered as having IR, based on two defining criteria: FCOP or CCOP. The frequency of metabolic abnormalities, the presence of IR, and the presence of dyslipidemia in relation to FCOP or CCOP were analyzed using Fisher and Mann-Whitney exact tests. Results: Using HOMA-IR, IR was diagnosed in 155 (40.5%) and 215 (56.1%) patients and, using fasting insulin, 150 (39.2%) and 221 (57.7%), respectively applying FCOP and CCOP. The use of CCOP resulted in lower insulin and HOMA-IR values than FCOP. Dyslipidemia was not related to FCOP or CCOP. Blood glucose remained within normal limits in all patients with I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IR identified by plasma insulin or HOMA-IR, both for FCOP and CCOP. Conclusion: The CCOP of plasma insulin or of HOMA-IR detected more cases of IR as compared to the FCOP, but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dyslipidemia. As blood glucose has almost no fluctuation in this age group, even in the presence of IR, fasting plasma insulin detected the same cases of IR that would be detected by HOMA-IR.

유산소 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이정아;김지현;김종원;김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49-558
    • /
    • 2017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2% 이상인 폐경 후 비만여성 3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이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집단(18명)과 통제집단(18명)으로 나누어 유산소운동인 라인댄스를 16주간 실시한 후 체조성,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를 운동전과 후로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BF), 체질량지수(BMI), 내장지방면적(VFA), 렙틴(Leptin), 인슐린(Insulin), 글루코스(Glucose),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B,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및 수축기혈압(SBP)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A-1, 그렐린(Ghrelin)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산소운동집단의 내장지방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회귀분석결과에서 주요요인으로 그렐린, 인슐린, 글루코스 및 HOMA-IR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조성, 내장지방,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HOMA-IR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 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diponectin ratio and insulin resistance in healthy children)

  • 안계현;김신혜;유은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56-261
    • /
    • 2008
  • 목 적 : 렙틴과 아디포넥틴은 대표적인 adipocytokine으로 비만도 및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렙틴은 증가하고 아디포넥틴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7-15세의 건강한 소아 77명(남아 36명, 여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계측을 하고 공복 후 채혈하여 혈당, 인슐린, 렙틴, 아디포넥틴, 총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및 SHBG를 측정하였다. 활성 남성호르몬 농도로는 FAI를, 인슐린 저항성의 척도로는 HOMA-IR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남아에서 HOMA-IR은 연령, 사춘기 단계, FAI, 렙틴 및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아에서는 HOMA-IR과 연령, %WFH, 사춘기 단계, 에스트라디올, 렙틴, 그리고 렙틴/아디포넥틴 비 사이에 의미있는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연령, %WFH, 및 FAI로 보정한 후에도 HOMA-IR과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P=0.010). 여아에서는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HOMA-IR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 론 : 비만하지 않은 건강한 소아에서도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인슐린 저항성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으며, 남아에서는 연령, 비만도 및 남성호르몬 농도로 보정한 후에도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대한민국 비만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기능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Score,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in Korean Adults with Obesity)

  • 윤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27-334
    • /
    • 2020
  • 본 연구는 대한민국 비만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증가와 인슐린저항성(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및 베타세포기능(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beta cell function, HOMA-B)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의 20세 이상 성인 1,8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사증후군(P<0.001)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증가(P<0.001)는 HOMA-IR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증가된 혈압군(P<0.001)과 증가된 혈당군(P<0.001)의 HOMA-B는 정상군보다 낮았고, 복부비만군(P=0.003)과 감소된 저밀도 콜레스테롤군(P=0.030)의 HOMA-B는 정상군보다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증가에 따라 HOMA-B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비만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증가에 따라 인슐린저항성은 증가하였고 베타세포기능은 감소하였다.

생체 임피던스 방법과 이중 방사선 흡수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인슐린감수성 지표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Fat Mas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and by the Indices of Insulin Sensitivity)

  • 임인석;윤기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57-864
    • /
    • 2005
  • 목 적 :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은 신체계측지수인 체질량지수 및 비만도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계측지수들이 체지방량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나 소아에서는 성인에 비해 그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실제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 간에도 이와 같은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 소아 비만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체지방측정에 있어 비교적 객관적이며 정확한 방법으로 알려진 BIA와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 간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추후 외래에서 비만아들을 추적 관찰할 때 어느 지표가 가장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28명의 단순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시간 이상 금식 후 채혈을 하여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측정하였다. 같은 날 신장,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를 계측하였고, BIA와 DEXA를 시행하여 체지방량을 구하였다. 얻어진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이용하여 G/I ratio, $log_{insulin}$, HOMA-IR, $log_{HOMA-IR}$, QUICKI를 구하여 체지방량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 1) 인슐린 감수성 지표 중 G/I ratio만 triglyceride와 통계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r=-0.206, P<0.05). 이외의 $log_{insulin}$, HOMA-IR, $log_{HOMA-IR}$, QUICKI는 혈중 지질치와 관련이 없었다. 2) 비만도는 G/I ratio와 -0.209(P<0.05), $log_{insulin}$과 0.196(P<0.05), HOMA-IR과 0.238(P<0.01), $log_{HOMA-IR}$과 0.198(P<0.05), QUICKI와는 -0.224(P<0.05)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고, 체질량지수는 G/I ratio와 -0.463(P<0.01), $log_{insulin}$과 0.417(P<0.05), HOMA-IR과 0.301(P<0.01), $log_{HOMA-IR}$과 0.403(P<0.01), QUICKI와는 -0.451(P<0.01)로 나와 비만도 보다 더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BI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 각각에 대한 상관계수는 0.612(P<0.01), 0.316(P<0.05)으로 나왔고,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는 각각 0.667(P<0.01), 0.512(P<0.05)로 나와 체지방량과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 G/I ratio는 BIA로 측정한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과 각각 상관계수 -0.420(P<0.05), -0.366(P<0.05)으로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고,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과도 -0.512(P<0.01), -0.449(P<0.01)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HOMA-IR은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만 상관계수 0.341(P<0.05)로 연관성을 나타냈고, 그밖에 다른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은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 모두와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과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와 같은 신체 계측지수들 간의 상관성에서, 인슐린 감수성 지표 특히 G/I ratio가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 모두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와의 관계에서는 G/I ratio만이 BIA와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체지방률 모두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 비만아의 진단 및 추적 관찰시 BMI 및 인슐린과 혈당치를 기초로 한 인슐린 감수성 지표 특히, G/I ratio의 활용이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민국 비당뇨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과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기능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ess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Beta Cell Function in Non-Diabetic Korean Adults)

  • 김형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65-17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20세 이상(50.32±16.14세)의 당뇨질환이 없는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과 인슐린저항성(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및 베타세포기능(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beta cell function, HOMA-B)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대한민국 성인 4,3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신장질환과 HOMA-IR와 관련하여,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Model 4), 그룹 1 (G1;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rate [eGFR], ≥90 mL/min/1.73 ㎡), 그룹 2 (G2; eGFR, 60~89 mL/min/1.73 ㎡), 그룹 3a (G3a; eGFR, 30~59 mL/min/1.73 ㎡), ≥그룹 3b (≥G3b; eGFR, <30 mL/min/1.73 ㎡)의 HOMA-IR 평균값(M±SE, 95% confidence interval [CI])은 각각 1.78±0.03 (1.73~1.83), 1.87±0.03 (1.81~1.93), 2.16±0.13 (1.91~2.42) 및 2.59±0.24 (2.12~3.06)으로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HOMA-IR은 증가하였다(P<0.001). 둘째, 만성신장질환과 HOMA-B와 관련하여,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Model 4), G1, G2, G3a 및 ≥G3b의 HOMA-B 평균값(M±SE, 95% CI)은 각각 87.46±1.21 (85.08~89.84), 89.11±1.38(86.40~91.81), 104.82±5.91 (93.23~116.42) 및 123.97±10.87 (102.66~145.29)으로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HOMA-B도 증가하였다(P<0.001). 대한민국 당뇨질환이 없는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였고, 베타세포기능 또한 증가하였다.

라인댄스 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지수와 에너지대사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ne Dance Exercise on HOMA-IR and Energy Metabolic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이정아;김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36-4644
    • /
    • 2012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폐경 후 비만여성 24명을 대상으로 라인댄스운동이 인슐린저항성지수와 에너지대사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라인댄스운동을 12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체조성 및 에너지대사조절인자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라인댄스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내장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제지방량은 증가하였다. 그렐린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렙틴, 인슐린, 글루코스,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축기혈압(SBP) 및 이완기혈압(DBP)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라인댄스집단의 HOMA-IR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회귀분석결과에서 주요요인으로 그렐린, 렙틴, 인슐린 및 글루코스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라인댄스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지방 감량으로 인한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균형적인 대사를 가져오며 이를 통해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켜 폐경 후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생활습관병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