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W Disposal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7초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 부지조사를 위한 암반공학적 요소: 국내외 현황 및 사례 조사 (Rock Mechanical Aspects in Site Characterization for HLW Geological Disposal: Current Status and Case Studies)

  • 최승범;김유홍;김은경;천대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2호
    • /
    • pp.136-148
    • /
    • 2020
  • 우리나라는 1978년부터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해왔으며 그에 따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발생이 누적되고 있다. 이를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한 영구 처분시설이 시급한 실정이나 처분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고 정밀한 부지조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조사가 선행되어야한다. 이러한 부지조사는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다학제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부지조사 과정에서 요구되는 암반공학적 요소를 중점으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단계별로 고려되는 암반공학적 평가요소와 그 적용 사례를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수행된 해외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동시에 국내 연구현황을 정리하였고 부지조사와 관련된 향후 연구 계획을 간략히 보고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부지조사 시 참고할 수 있는 기반자료를 생산하고자 하며 본 논문에서 수집된 사례 역시 활용할 예정이다.

고준위폐기물 처분공정 개념분석을 위한 가상환경 구축 (Implement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for the HLW Disposal Process Analyses)

  • 이종열;조동건;최희주;김성기;최종원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6-1639
    • /
    • 2005
  • The process equipment and remote handling for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HLW) should be checked prior to the operation in view of reliability and operabilit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virtual environment workcell is implemented to analyze and define the feasible disposal process instead of real mock-up, which is very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To do this, the parts of process equipment for the disposal and maintenance will be modeled in 3-D graphics, assembled, and kinematics will be assigned. Also, the virtual workcell for the encapsulation and disposal process of spent fuel will be implemented in the graphical environment, which is the same as the real environment. This virtual workcell will have the several functions for verification such as analyses for the equipment's work space, the collision detection, the path planning and graphic simulation of the processes etc. This graphic virtual workcell of the HLW disposal process can be effectively used in designing of the processes for the hot cell equipment and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spent fuel management.

  • PDF

고준위폐기물 처분연구를 위한 지하연구시설에 대한 기본설계 (Basic Design of the Underground Research Tunnel for HLW disposal Research)

  • 권상기;박정화;조원진;한필수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199-207
    • /
    • 2004
  • 국내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고준위 폐기물의 안전한 지층처분 개념 개발을 위해서는 대상 암반에 지하연구시설을 건설하고 처분개념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하연구용 터널의 개념은 처분개념, 처분장에서의 지하구조물의 형상, 수행될 실험과 지질조건에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원자력연구소 내에 소규모 처분연구용 지하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지질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부지에 적합한 시설의 기본설계가 실시되었다.

  • PDF

세계 각국의 고준위계기물 처분안전 및 기술기준 고찰 (Investigation of the Safety and Technical Criteria for HLW Disposal in Other Countries)

  • 최종원;권상기;고원일;강철형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19-13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IAEA, OECD/NEA, ICRP등과 같은 국제기구에서 제안하는 권고기준과 고준위폐기물 처분사업을 계획하고 있는 국가의 관련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고준위폐기물 기준 처분개념 설정'을 위한 안전 및 기술기준으로 도출하였다. 이 기준은 처분 안전성을 위한 일반 원칙과 기준 그리고 처분시스템의 성능요건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준들은 향후 예상되는 국가적인 기준이나 규제사항 개발에 좋은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은 향후 국내의 심부 지질환경에 대한 특성조사 및 안전성 분석 등을 통하여 얻어지는 자료를 근거로 계속 수정될 것이다.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의 개발 경험이 없는 우리 실정에서는 외국의 처분시스템 개발과 인허가 및 기술적 요건들의 변화과정과 원인 등을 주시하면서 우리 환경에 맞는 독자적 기술기준을 개발해 나가는 자세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의 고준위폐기물 처분을 위한 FEP과 시나리오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EP and Scenario for the HLW Disposal in Korea)

  • 강철형;정종태;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41
    • /
    • 2012
  •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에 대한 종합 성능 평가를 위해 처분장 성능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들을 단위 현상, 사건, 공정 (FEP)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발생 가능성, 결과 영향, 규제, 특정 부지의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중요도를 평가한 후 유사한 FEP들을 그룹화하여 이들 FEP 그룹들 간의 상호 반응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처분장으로부터 최종 생태계에 이르는 방사성 핵종들이 이동을 기술하는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외국의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 국내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여 국내 처분 환경에 적합한 FEP들을 380 여개 포함하는 KAERI FEP List를 개발하였다. RES와 PID방법을 사용하여 처분장 방사선적 종합 안전성 평가에서 고려해야 될 5 가지 시나리오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고준위폐기물 처분안전성평가를 종합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인 KAERI CYPRUS를 개발하고 이들 결과물을 CYPRUS 내에 구축하였다.

Technology Assessment of the Repository Alternatives to Establish a Reference HLW Disposal Concept

  • Choi, Jong-Won;Choi, Young-Sung;Kwon, Sang-Ki;Kuh, Jung-Eui;Kang, Chul-Hy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83-100
    • /
    • 1999
  • As disposal packaging concepts of spent fuels generated from the domestic NPP, two types, one is to package PWR and CANDU spent fuels in different containers and the other is to package them together, were propose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s and the layout of underground repository, such as the container spacing and the deposition tunnel spacing, were developed. The layout of underground repository satisfies the thermal constraint of the bentonite buffer surrounding disposal container, which should be lower than $100^{\circ}C$ in order to keep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bentonite From the spent fuel packaging concepts and container emplacement methods, seven options were developed. With a typical pair-wise comparison methods, AHP, the most promising disposal concept was selected based on the technology Point of view.

  • PDF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에 대한 암반역학 부지특성화 (Rock Mechanics Site Characterization for HLW Disposal Facilities)

  • 엄정기;현승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1호
    • /
    • pp.1-17
    • /
    • 2022
  • 암반의 역학적 및 열적 특성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심지층 처분시스템 내 방사성 물질의 격리 및 이동 지연 능력과 관련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HLW 처분시설 부지의 암반역학적 및 열적 특성과 관련된 부지설명모델에 필수적인 항목을 고찰하고 스웨덴과 핀란드의 선행 부지설명모델 사례를 통한 기술적 배경을 논의하였다. 스웨덴 SKB (Swedish Nuclear and Fuel Management Company)와 핀란드 Posiva는 암반역학적 및 열적 특성 조사·평가에 필수적인 항목을 제시하고 부지의 안전성 분석과 처분시설의 건설을 위한 암반역학 부지설명모델을 도출하였다. 암반역학 부지설명모델은 처분시설 부지 내 응력 분포와 더불어 신선암, 절리, 절리성 암반에 대한 강도 및 변형특성과 대규모 변형대의 기하학적 구조, 소규모 불연속면의 연결망 구조 및 암석의 열적 특성에 대한 조사·평가 결과를 포함한다. 또한, 암반역학 부지설명모델은 입력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와 입력변수의 불확실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Development of Database and QA Systems for Post Closure Performance Assessment on A Potential HLW Repository

  • Hwang, Y-S;Kim, S-G;Kang, C-H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406-414
    • /
    • 2002
  • In TSPA of long-term post closure radiological safety on permanent disposal of HLW in Korea, appropriate management of input and output data through QA is necessary. The robust QA system is developed using the T2R3 principles applicable for five major steps in R&D's.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in the web-based system so that all participants in TSPA are able to access the system. In addition, the internet based input database for TSPA is developed. Currently data from literature surveys, domestic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as well as expert elicitation are applied for TS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