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PC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HLPC를 이용한 뇨 및 혈액중의 Metocurine iodide의 분석

  • 김경남;김양숙;이종필;김효진;김박광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96-296
    • /
    • 1994
  • 수술시 근육 이완제로 사용되고 있는 metocurine iodide는 항생물질 투여환자, 중증 근무력중, 전해질 평형실조, 중증 신질환이 있는 환자 등에서는 작용이 증가되어서 상용량에서도 약화사고의 우려가 있어 규제가 필요한 약물이다. Metocurine iodide를 생체 시료중에서 분석하기 위해 rosebengal과 착제를 형성시켜 유기용매로 이온쌍 추출을 한 후, HPLC를 이용하여 rose bengal율 분석함으로써 metocurine iodide를 간접 정량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은 뇨와 혈액증에 함유된 metocurine iodide를 0.09 - 9.10$\mu\textrm{g}$/m1농도에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상관계수는 0.994 - 0.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동시 처방 약물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뇨 및 혈액중 metocurine iodide의 검출 한계는 각각 0.8ng. 1.2ng (S =3)이었다.

  • PDF

알팔파의 생리활성물질 분리 및 동정 (SEPARATION, IDENTIFIC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ALFALFA PLANT)

  • 정일민;김기준
    • 분석과학
    • /
    • 제7권3호
    • /
    • pp.403-411
    • /
    • 1994
  • 본 실험은 알팔파의 Allelopathy와 Autotoxicity에 관련되는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정제,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알팔파 생잎 1kg을 80% MeOH로 추출하여 silica gel TLC와 DCCC의 분리와 정제과정을 거쳐 HPLC로 동정하였다. HLPC 분석결과 4개의 phenolic 물질(salicylic acid, rutin, quercetin, scopoletin) 등이 동정되었다. 이들 물질을 이용한 발아실험에서도 모두 알팔파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 중 quercetin의 처리가 가장 억제적이었다. 따라서 최소한 이들 물질이 알팔파의 Allelopathy와 Autotoxicity에 관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Phenotypic and Genetic Parameters for Inosine Acid in Relation to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Pigs

  • Jiang, X.P.;Liu, G.Q.;Xiong, Y.Z.;Ding, J.T.;Xie, K.Z.;Zhang, J.Q.;Zuo,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57-260
    • /
    • 2003
  • A total of 135 F2 finishing pigs (65 barrows and 69 gilts) from resource population (Large White${\times}$Meishan) were slaughtered at about 87.8 kg BW. Contents of inosine acid (IMP) and carnine (HR) in muscle were assayed by HLPC and genetic parameters for IMP content and HR content were estimated using full sibs model. There was significant sex effect on IMP content(p<0.05), $3.561{\pm}0.077mg/g$ for gilt and $3.287{\pm}0.085mg/g$ for barrow. Heritability estimates for IMP and HR content were 0.127 and 0.357, respectively. The phenotypic correlation between IMP content and HR was 0.335, pH (A) 0.024, water lose rate (WLR) -0.069, intramuscular fat (IMF) -0.214, average marbling score (MARB) -0.143, average backfat measurements (AVBF) -0.084 and average color value (CV) -0.156,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inosine acid content in meat might be retained or slightly improved by reducing backfat depth in pig breeding.

Identification of FM001 as Plant Growth-Promoting Substance from Acremonium strictum MJN1 Culture

  • JUNG, JAE-HAN;DONG-MIN SHIN;WOO-CHUL BAE;SOON-KWANG HONG;JOO-WON SUH;SANGHO KOO;BYEONG-CHUL J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327-330
    • /
    • 2002
  • A plant growth-promoting substance, FM001, was isolated from the culture broth of Acremonium strictum MJN1. The purification steps included solvent extraction, adsorption chromatography using Diaion HP20, TLC on silica, and HLPC using a C-18 column. The purified FM001 enhanced rice seedling growth by $11.1\%\;and\;34.0\%$ of the dried weight of the shoots and roots, and also radish growth by $26.5\%\;and\;23.7\%$ of the top length and dried weight. FM001 also significantly promoted the growth of red pepper by increasing $32.7\%$ of fruit weight and $11.3\%$ as regards the height. FM001 consisted of C, H, O, N, and S,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537.78 Da. The structure of FM001 resembled brassinosteriods, and it would appear to have great potential as an effective bio-fertilizer.

이프리플라본 서방정 제조 및 약동학적 평가 (Preparation and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Ipriflavone Sustained Release Tablet)

  • 박경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4호
    • /
    • pp.323-329
    • /
    • 1997
  • Ipriflavone is non-hormonal antiosteoporotic drug which inhibits bone resorption by reducing recruitment and/or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and stimulate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and also enhances calcitonin secretion in the presence of estrogen. Although some kinds of immediately-released preparation of ipriflavone are available in commercial market, in present study, we tried to formulate sustained-release tablet using coating method wi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coating materials. In vitro dissolution test was applied to evaluate sustained-release patterns of several test preparations (Test tablet A, B and C) designed using different preparation method or different compositions. From the results of dissolution test, test tablet A which showed suitable dissolution profile was selected as the candidate of new product.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test drug, ipriflavone sustained-release tablets, was conducted in 6 beagle dogs weighing $11.5{\pm}0.5\;Kg$ compared with $Theobon^{\circledR}$ tablet, immediately-released tablet (Kukjae Pharm. Co.) as reference drug. Two products were randomly administered to 6 beagle dogs, and after 1 week, cross-over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resent study, AUC and $T_{max}$ of test produc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reference product (p<0.05), respectively$(AUC\;:\;3646.28{\pm}472.56\;vs\;3646.28{\pm}472.56\;ng{\cdot}hr/ml,\;T_{max}\;:\;4.33{\pm}1.03\;vs\;1.42{\pm}0.38\;hr)$. But $C_{ma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products (p>0.05) $(\;512.52{\pm}48.18\;vs\;443.97{\pm}140.53\;ng/ml)$. From the results of pharmacokinetic evaluations, it was noted that absorption amount of test product was increased, but absorption rate was delayed and $C_{max}$ of two products were not changed. And it was concluded that redesign of the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which has a lower content of iprifavone rather than test tablet A must be considered.

  • PDF

재조합 단백질 A 제조공정시료의 안정성실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stability test of in process sample of recombinant Protein A)

  • 김유곤;이우종;원찬희;신철수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83-491
    • /
    • 2012
  • 본 연구는 재조합 단백질 A를 생산하기 위한 정제공정 즉, 생산공정은 양이온교환칼럼(SP)과 음이온교환칼럼(Q)을 통하여 정제한 후 최종 재조합 단백질 A를 생산하게 되는데, 공정단계별로 생산된 시료를 바로 다음단계 공정으로 가지 못하는 경우 보관을 하는데 있어 안정성 확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생산공정에서 생산된 시료를 보관 했을때 적정 보관조건과 시간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공정시료의 저장방법 및 저장기간 설정과 경시변화에 따른 품질의 안정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실험항목은 엔도톡신, SDS PAGE, HPLC 순도 그리고 농도이다. 실험결과 양이온교환칼럼 통과 후 냉장($4^{\circ}C$), 실온보관에서 SDS PAGE는 major band, 엔도톡신은 5.0 Eu/mg이하, 농도에서는 평균 8.21~8.24 mg/mL, RSD% 0.10~0.62%, 그리고 HPLC 순도 214 nm에서 평균 99.24~99.37%, RSD% 0.22~0.29%, 280 nm에서 평균 89.72~89.80%, RSD% 0.62~1.26%로서 다소 안정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음이온칼럼통과 후 냉장($4^{\circ}C$), 실온보관에서 SDS PAGE major band, 엔도톡신 0.5 Eu/mg이하, 농도는 평균 5.59 mg/mL, RSD% 0.03~0.10% 그리고 HPLC 순도 214 nm에서 평균 99.74%, RSD% 0.10~0.11%, 280 nm에서 평균 96.16~96.85%, RSD% 0.72~1.13%의 결과를 보였다. 상기의 실험결과로 재조합 단백질 A 제조공정시료의 실온과 $4^{\circ}C$에서 7~8 일 그리고 20~21 일 보관은 물질분해 특성이 없이 안정성이 확보 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서해안에 서식하는 주황해변해면에서 분리된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 비올라세인의 규명 (Identification of a Bioactive Compound, Violacein, from Microbulbifer sp. Isolated from a Marine Sponge Hymeniacidon sinapium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원남일;이가은;고기범;오동찬;나양호;박진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4-132
    • /
    • 2017
  • 오늘날 해양생물로부터 얻어진 미생물유래의 이차대사물질은 구조적, 생물학적으로 새로운 화합물의 주요한 자원이다. 그 중에서 해면동물과 미생물 관계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는데 가장 흥미있는 자원 중 하나로서 주목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조간대에서 채집된 주황해변해면(Hymeniacidon sinapium)으로부터 분리된 세균 균주(Microbulbifer sp., 127CP-12)를 검토하였다. 배양된 세균은 자주색 색소를 생산하였으며, 색소생산의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최대 색소생산을 위한 미생물 배양조건은 $25^{\circ}C$, pH 6.0, 3% NaCl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용매는 에탄올과 메탄올에 비해 아세톤이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된 색소의 주요성분은 HLPC, NMR, MS, 그리고 UV 스펙트럼의 구조 분석을 통해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인 비올라세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해양미생물이 관여한 대사물질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조사하는 연구기법을 서술함과 동시에 오늘날 변화하는 해양환경에서 해면동물과 미생물 관계의 생태학적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

치면열구전색제의 광중합 후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비교 (COMPARISON OF MONOMER RELEASE FROM PIT AND FISSURE SEALANT FOLLOWING VARIOUS SURFACE TREATMENT)

  • 이상우;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치면열구전색제 중합 후 표면의 미반응 모노머 층을 임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정량분석 함으로써 미반응 모노머의 제거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표면처리 방법에 따라 광중합 후 표면을 어떤 처리도 시행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 증류수로 10초간 세척한 군을 I군(Group I), 75% 알콜에 젖은 면구로 10초간 문지른 군을 II군(Group II),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10초간 처리하고 증류수로 가볍게 세척한 군을 III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처리 후 각각의 시편을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37^{\circ}C$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HPLC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과 표면처 리를 시행한 모든 군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검출되지 않았다. 2. 표면처리를 한 모든 군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용리되는 모노머량이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다(P<0.05). 3.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해 표면처리한 군에서 잔존 모노머 제거효과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 PDF

택사(澤瀉)의 재배조건(栽培條件)이 수량(收量) 및 유효성분(有效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ultural Condition on the Yield and Contents of Effective Components in Alisma orientale(Samuels.) Juzepcz.)

  • 김금숙;김정곤;성재덕;박창기;서형수;곽용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9-144
    • /
    • 1996
  • 택사(澤瀉)의 품질평가(品質評價) 기준의 하나로서 혈중콜레스테롤 강하작용(降下作用)을 하는 Alisol B-monoacetate의 적절한 추출조건(抽出條件)과 재배방법상(栽培方法相)의 정식깊이를 $0{\sim}1$, $2{\sim}4$, $5{\sim}7$, $8{\sim}10cm$ 등(等) 4수준(水準)으로 달리할 때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의 변이(變移)를 구명하고 적절한 수확시기(收穫時期) 및 구경(球莖) 크기별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유효성분(有效成分) 함량변이(含量變移)를 구명 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Alisol B-monoacetate의 HPLC 분석(分析) 조건(條件)으로는 Nova-Pak C18 column를 $35^{\circ}C$ 일정한 온도로 유지해 줌으로써 UV 208nm에서 약(約) 20분대(分代)의 양호(良好)한 HPLC 크로마토그람 분리(分離) peak를 구하였다. 2. Alisol B-monoacetate는 $25^{\circ}C$ 진탕 추출시 0. 402%, $40^{\circ}C$, $60^{\circ}C$ 가온 환류추출시 각각(各各) 0. 425%, 0. 431% 용출(溶出)되었으며 이때 추출회수(抽出回數)는 매회(每回) 30분(分)씩 추출(抽出)하여$25^{\circ}C$ 진탕 추출시는 2회(回), $40^{\circ}C$, $60^{\circ}C$ 가온 환류추출시 는 3회(回) 추출(抽出)이 적합(適合)하였다. 3. Alisol B-monoacetate는 11월(月) 30일(日) 수확한 택사구경(澤瀉球莖)이 10월(月) 30일(日) 수확(收穫)한 것보다 함량(含量)이 0. 25% 즉 1.5배(培) 가량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나 다른 일반성분(一般成分)의 경우 조단백질(組蛋白質) 함량(含量)은 10월(月), 11월(月) 수확시 각각 평균(平均) 24. 8%, 27. 3%였고 개분함량(漑粉含量)은 10월(月), 11월(月) 각각 30. 8%, 27, 7%로서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함량(含量)에는 변이폭(變移幅)이 크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유효성분(有效成分)의 함량(含量)이 높은 11월(月) 30일(日) 수확(收穫)이 10월(月) 30일(日) 수확(收穫)보다 유리(有利)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구경(球莖) 크기별 약효성분(藥效成分)의 함량변이도 커서 10월(月), 30일(日) 경우 S가 0. 53%로 가장 높고 M, L 순(順)으로 구경(球莖)이 커지면서 함량(含量)이 감소(感少)하였다. 5. 정식(定植)깊이 $0{\sim}1cm$가 다른 정식(定植)깊이에 비교하여 수량(收量)이 206kg/10a로 가장 많았으며 유효성분(有效成分) 변이(變移)는 $0. 33{\sim}0. 39%$로서 정식(定植)깊이에 따라 크지않은 것을 고려하면 택사(澤瀉) 재배시(栽培時) 정식(定植)깊이는 $0{\sim}1cm$가 가장 유리(有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