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viscosity

검색결과 1,822건 처리시간 0.025초

글라스 버블을 사용한 자기 충전 콘크리트의 레올로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lf-Compacting Concrete using Glass Bubble)

  • 이한용;윤섭;서태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3-74
    • /
    • 2017
  • In this study, unlike high flowing concrete, using glass bubble to develop self-compacting concrete(hereinafter referred to as "SCC") with excellent filler performance by evaluating both flowability and yield stress, viscosit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hen 1 kg of glass bubbles are used, it is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reducing the yield stress and viscosity.

  • PDF

고효율 백색 발광다이오드 구현을 위한 고점도 형광체 정량 토출 공정 연구 (A Study on High Viscosity Phosphor Dispensing Process for Implementation of High-Efficiency White LED)

  • 양영진;김형찬;고정범;양봉수;당현우;도양회;조경호;최경현
    • 청정기술
    • /
    • 제20권2호
    • /
    • pp.97-102
    • /
    • 2014
  • 현재 고효율 백색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구현을 위한 고점도 형광체 토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백색 발광다이오드에서 제품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고점도 형광체의 정량토출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고점도 형광체 정량토출의 어려움이 있었다. 고점도 형광체의 정량토출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점도에서 미세토출이 가능한 정전기력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였다. 전압 변화에 따른 요구 적출형(drop on demand, DOD) 토출 실험을 진행하여 토출 시 노즐의 메니스커스 각도와 토출 도트 직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토출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토출 메니스커스 각도는 증가하고 토출 도트 직경은 감소하였다.

열가용화 반응에 의하여 탈수된 하수슬러지의 점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Dewatered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rmal Hydrolysis Reaction)

  • 송형운;한성국;김충곤;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1호
    • /
    • pp.27-34
    • /
    • 2014
  • 하수슬러지의 처리 및 재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하수슬러지 내에 포함된 80% 이상의 함수율에 따른 높은 에너지 소비 비용으로 저비용의 처리 기술의 요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 처리 시 적은 양에 에너지를 소비하는 열가용화 반응을 적용하여 열가용화 반응온도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점도를 정량화하고자, 반응온도에 따른 탈수슬러지의 토크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반응온도가 증가하면 높은 반응온도와 압력에 의해 탈수슬러지는 열가용화 진행되고 슬러지 세포내의 결합수가 자유수로 용출되어 고상의 탈수슬러지는 액상의 슬러리로 변환된다. 이에 반응온도에 따른 점도 측정 결과 293K에서는 $270,180kg/m{\cdot}sec$ 로 높은 점도 값을 보이지만 400K에서는 $12kg/m{\cdot}sec$ 급격히 감소하고 460K 이상에는 $4kg/m{\cdot}sec$로 물의 점도와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치모델링으로 열가용화 반응기 최적 설계를 위한 경계조건으로 점도 함수를 확보하였다.

방호·방폭용 뿜칠형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개발을 위한 레올로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y Properties for Development of Sprayed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for Protection and Blast Resistant)

  • 최연왕;최병걸;박만석;성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188-195
    • /
    • 2014
  • 방호 방폭용 뿜칠형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HPFRCC)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HPFRCC 각 단계에서 구성재료의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페이스트 단계에서 레올로지 실험결과, GGBFs 및 FA의 경우 혼합률 증가에 따라 소섬정도 및 항복응력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F의 경우 혼합률 10% 이후부터 소성점도 및 항복응력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 단계에서 레올로지 실험결과, 잔골재의 종류 즉, 잔골재의 입형 및 입도는 소성점도 및 항복응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Vs/Vm의 변화는 항복응력 보다 소성점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FRCC 단계에서 유동성 및 레올로지의 실험결과, 섬유 혼입 후 유동성 및 섬유분산성 개선에는 SP 보다 VA가 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Ag계 후막도체의 미세구조와 전기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Glass-Ag Thick Film Conductors)

  • 이병수;황준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7호
    • /
    • pp.663-669
    • /
    • 1999
  • 분산특성이 다른 두 종류의 Ag 분말과 점도가 다른 두 종류의 유리를 사용하여 Ag 후막 도체를 제조하고 이들이 후막의 미세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미세구조가 전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g 분말의 분산특성이 좋을수록 그리고 사용된 유리의 점도가 낮을수록 후막의 미세구조는 잘 발달된 치밀한 조직을 보였으며 면저항값도 감소하였다. 이는 Ag 분말의 분산특성이 좋을수록 용융 유리에 의한 Ag 입자들의 미세 재배치의 속도가 빨라지고, 또한 유리의 점도가 낮을수록 모든 미세구조 발전단계에서 그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미세조직의 치밀화가 후막의 면저항값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소성시간이 증가하여도 더 이상 전기저항값의 저하가 없는 저항감소의 포화시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포화시간 역시 후막의 미세구조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반도체 봉지재용 EMC의 점도거동 특성 - 한 종류의 구형 실리카 포함 (The Characteriastics of Viscosity Behavior of EMC for Semi-conductor Encapsulant - Containing One Kind of Spherical Silica)

  • 김인범;이명천;이의수
    • 공업화학
    • /
    • 제10권8호
    • /
    • pp.1175-1179
    • /
    • 1999
  • 반도체 봉지재용 epoxy molding compound(EMC)에는 고함량의 충전제가 함유되어 있어 충전제의 함량이 유변학적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봉지재용 EMC의 점도거동을 충전제 함량과 주파수(frequency)의 변화에 따라 조사하였다. 또한 주파수변화에 따른 점도거동을 전단율(shear rate)의 함수로 변환하기 위해 Cox-Merz 식과 modified Cox-Merz 식을 적용해 보았다. 이 결과 고함량에서 전단박화현상(shear thinning)과 항복강도(yield stress)가 관찰되었으며 전단율의 함수로의 변환은 Cox-Merz식을 적용하였을 때는 고종도에서 변형율 변화에 따른 점도값 차이 때문에 적용될 수 없었다. Modified Cox-Merz식을 적용하였을 때는 고농도/고변형율에서는 측정장치의 한계 때문에 오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각 변형율에 따른 점도값들이 한 개의 마스터곡선으로 일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Ready-to-Eat Bulgogi Sauce with No Change of Sensory Properties after High-Dose Irradiation

  • Shin, Mee-Hye;Park, Jin-Gyu;Kim, Cheon-Jei;Lee, Ju-W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66-371
    • /
    • 2011
  • Viscosity is critically important for bulgogi sauce. However, exposure to irradiation may decreas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ulgogi sau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0-9 kGy) on viscosity, molecular weight, pH, reducing end level, and water solubility of xanthan gum, guar gum, and locust bean gum as thickening agents/stabilizers in bulgogi sauc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l samples changed (p<0.05) from 3965 to 0 cP (viscosity), from 6048 to 28 kDa (molecular weight), from 5.79 to 4.62 (pH), from 0.13 mg/mL to 1.72 mg/mL (reducing end level), and from 6% to 87% (water solubility) following gamma irradiation. Viscosity after irradiation was most stable (p<0.05) in xanthan gum (from 1249 to 92 cP) compared with guar gum (from 3965 to 0 cP) and locust bean gum (from 1631 to 0 cP). The sensory properties (texture and taste) of bulgogi sauce prepared with xanthan gum (1%, w/w) were highly maintained (about 7.0-5.0) after high-dose irradiation of up to 40 kG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xanthan gum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thickening agent/stabilizer in bulgogi sauce, which had low viscosity after irradiation.

수송조건 내 포집 이산화탄소의 전달물성 예측. 1.점성 (Prediction of Transport Properties for Transportation of Captured CO2. 1. Viscosity)

  • 이원준;윤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195-201
    • /
    • 2017
  • In this study, the viscosity of a $CO_2-gas$ mixture was investigated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captured $CO_2-gas$ in pipelines and for the designing of a thermal system, both of which involve the utilization of the $CO_2-gas$ mixture. The viscosities of the $CO_2-gas$ mixture, $CO_2+CH_4$, $CO_2+H_2S$, and $CO_2+N_2$ were predicted using three different models as follows : Chung, TRAPP, and REFPROP. The predictability values of the models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e estimated results with the experiment data for the $CO_2+CH_4$ and $CO_2+N_2$ under high-density conditions. The Chung model showed 2.41%, which is the lowest mean deviation of the prediction among the model. Based on the Chung model, the mixture mole fractions were changed from 0.9, 0.95, and 0.97, the mixture pressure was ranged from 80 bar to 120 bar by 10 bar, and the mixture temperature was varied from 310 K to 400 K by 10 K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on the mixture viscosity. Considering the high mole fraction of the $CO_2$ in the mixture, a significant variation of the mixture viscosity was observed close to the pseudo-critical temperature, and the viscosity for the $CO_2+H_2S$ mixture shows the highest valu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_2+CH_4$ and $CO_2+N_2$.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알루미나 테이프 캐스팅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Alumina Tape Casting Process for Building Big Data)

  • 김동하;김시연;이주성;여동훈;신효순;윤상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483-489
    • /
    • 2019
  • For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 large amount of high-quality material property data should be accumulated. In this study, several data for an alumina tape casting process were produced with the variables of slurry viscosity, gap size, and coating speed. The alumina tapes were manufactured in the range of 1,000~6,000 cps for slurry viscosity, $300{\sim}1,000{\mu}m$ for gap size, and 0.5~2.0 m/min for coating speed. As a result, the lower the viscosity, coating speed, and gap size, the more pore-free tapes could be manufactured. The viscosity of the slurry limite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tape. Green sheets with high packing density were manufactured from the slurry of 100~6,000 cps slurry viscosity, coating speed of 0.5 m/min, and a $300{\sim}500{\mu}m$ gap size.

고점도 전도성 잉크 패터닝 기술을 이용한 고성능 미세전극 패턴 구현 (Implementation of High Performance Micro Electrode Pattern Using High Viscosity Conductive Ink Patterning Technique)

  • 고정범;김형찬;당현우;양영진;최경현;도양회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90
    • /
    • 2014
  • EHD (electro-hydro-dynamics) patterning was perform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in a single step. The drop diameter smaller than nozzle diameter and applied high viscosity conductive ink in EHD patterning method provide a clear advantage over the piezo and thermal inkjet printing techniques. The micro electrode pattern was printed by continuous EHD patterning method using 3-type control parameters (input voltage, patterning speed, nozzle pressure). High viscosity (1000cps) conductive ink with 75wt% of silver nanoparticles was used. EHD cone type nozzle having an internal diameter of $50{\mu}m$ was used for experimentation. EHD jetting mode by input voltage and applied 1st order linear regression in stable jet mode was analyzed. The stable jet was achieved at the amplitude of 1.4~1.8 kV. $10{\mu}m$ micro electrode pattern was created at optimized parameters (input voltage 1.6kV, patterning speed 25mm/sec and nozzle pressure -2.3k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