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C-HMS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103 seconds

Comparative Study of Lumped Model and Semi Distributed Model for Flash Flood Index Estimation (돌발홍수지수 산정을 위한 집중형 및 준분포형모형의 유출해석)

  • Kwon, Young-Soo;Lee, Keon-Haeng;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58-2263
    • /
    • 200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국지성 집중호우의 형태를 띠는 강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는 돌발 홍수가 발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지수산정을 위한 강우-유출모형 적용시, 집중형모형과 분포형모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양천 유역을 대상으로 HEC-HMS모형의 Clark 및 ModClack방법을 이용하여 돌발홍수지수를 산정하여 보았다. 2003년, 2004년, 2005년 각 연도별로 하나씩의 호우를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집중형 모형에 대해서는 유역면적평균강우량을, 준분포형 모형에 대해서는 Kriging 기법을 통하여 공간분포된 강우량을 이용하였다. 돌발홍수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유역에 많이 발생하므로 소유역 분할시 결정한 소유역의 크기가 돌발홍수 지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돌발홍수지수의 산정은 유역의 크기에 따라 집중형 모형, 준분포형 모형 모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강우-유출관계를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돌발홍수지수의 산정이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을 감안할 때 준분포 모형이 강우레이더에 의한 강우예측자료를 활용하는 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on Water-Surface Level of Sihwa Lake (강우분포유형이 저수지의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 (시화호를 중심으로))

  • Lee, Jong-Kyu;Lee, Jai-H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325-343
    • /
    • 2003
  • In this study, several types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of the probabilistic rainfall amount have been applied to the Sihwa Lake, located in Gyounggi Province, Korea and their runoff characteristics, obtained by the Hec-Hms program, according to the rainfall distribution types, were compared and analysed. And then, the influences of the above rainfall distribution types of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computed through the reservoir flood routing, were analysed. The tidal variation was considered, performing the flood routing and, in addition, the new program, called “IWSEA”, which can compute the reservoir water level, was developed. To conclude, when the Mononobe type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was used, the largest inflow flood discharge into the reservoir was performed and the highest reservoir water level was obtained when the Pilgrim-Cordery type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was applied.

Flood Discharge Estim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ainfall Movement (강우이동 특성과 준분포 모형을 이용한 홍수량 산정)

  • Kim, Yon-Soo;Kim, Soo-Jun;Jang, Dae-Won;Kim, Hung-Soo;Lee, Jong-S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5-159
    • /
    • 2010
  • 홍수 예 경보 및 강우-유출의 관계에 의한 홍수량 산정은 수자원 계획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강우-유출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모형은 최근 분포형 모형으로 발전하게 되었지만, 유역수문 모형의 비약적인 발전과는 다르게 강우자료는 점 강우량을 유역내 평균강우량으로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실제 유역에서 강우의 분포는 다양한 이동속도와 방향을 가지고 있기에 유역 내 평균강우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로 분할된 섬진강 유역에 임의로 생성한 중앙집중형 강우와 2009년 7월 12일부터 2009년 7월 15일까지의 레이더 강우 자료를 실제 이동방향과 수직된 나머지 세 방향으로 각각 공간분포 시켰으며, 강우의 이동과 공간분포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준분포형인 Modified Clark 방법으로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실측된 유출량 및 강우이동에 대하여 모형을 검 보정한 후 직각된 4방향성으로 강우를 이동시켜 유역출구의 홍수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우이동형태에 따라 첨두유량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가상의 이동강우 및 레이더 강우가 하류에서 상류로의 이동보다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하는 특성이 유역출구에서의 첨두유량이 크고 지체시간을 지속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이동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레이더 강우를 이용함으로써 홍수 유출특성의 변화 정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Runoff Variation According to Subbasin Division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변화 분석)

  • Lee, Dong-Hoon;Choi, Jong-In;Yi, Jae-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7-127
    • /
    • 2012
  • 수자원분야에서 강우-유출의 정확한 해석은 홍수분석 및 수자원 이용의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강우-유출 해석에서 유역의 지형인자 및 수문 매개변수의 산정은 홍수량 산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다. 이에 비하여 홍수량 산정 시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유역 분할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서야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른 강우-유출해석 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험유역으로 평창강, 청미천, 안동댐 및 임하댐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유출분석 방법으로 집중형 모형인 Clark 방법과 준 분포형 유출모형인 ModClark(Modified Clark) 방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을 모의하였다. 또한, 소유역 분할이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유출 매개변수의 보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강우-유출을 모의하였다. ModClark 방법으로 모의 시 관측된 강우 자료를 전 유역에 걸쳐 분포시키기 위하여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방법을 사용하였고,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와 지형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모의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는 한편, 강우-유출 모형에서 소유역의 분할 개수에 따라 모의된 유출 형태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실측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모의 결과 대체적으로 분할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첨두유량은 증가하고 첨두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 모두 각각 일정분할 개수 이상에서는 변동 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struction of Flood Risk Assessment Model on Changkyeong palace in Seoul, Korea (서울 창경궁 지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 구축)

  • Kim, Ji-Sung;Lee,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2-702
    • /
    • 2012
  • 이상기후로 인하여 최근 급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며, 2010년 광화문 침수 및 2011년 서울 강남지역의 침수 등과 같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치수대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명 및 재산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건축문화재에 대한 대비는 충분하게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문화재의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문화재인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장 실측 유량 자료와 서울 기상청(종로구 송월동)의 강우자료(2011년 6월-8월의 8개 사상) 활용을 통해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HEC-HMS)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창경궁 지역의 평가 모형 검증을 위해 2011년 7월 26-28일까지 모의한 홍수량을 지형정보시스템(GIS)에 적용하여 침수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침수 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침수 흔적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침수 면적이 약 10%의 오차를 보였으며, 수행한 모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이 대상유역에 적합하며, 향후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Distributed Parameters Estimation of Muskiingum-Cunge Routing Model (Muskingum-Cunge 모형의 분포형 매개변수 추정)

  • Koo, Kang Min;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3-73
    • /
    • 2016
  • 1차원 Saint-Venant 방정식을 이용한 동력학적 부정류 계산모형은 하도의 지형과 흐름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지만 하폭이 좁고 경사가 큰 하천에서는 해의 안정성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홍수 예 경보를 목적으로 하는 하도추적 방법으로 항상 적합하다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력학적 부정류 계산모형의 대안으로서 확산파 모형의 수치해법으로 볼 수 있는 Muskingmum-Cunge 모형을 남한강에 적용하여 분포형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남한강의 상류인 충주 조정지댐부터 여주 수위관측소까지 가용한 각각의 횡단면에 대해 최심하상고에서 제방고까지 다양한 수위를 가정하고 수면폭과, 통수단면적 그리고 동수반경을 계산한 후 Manning 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한다. 이때 각 단면별로 유량에 대한 통수단면적과 수면폭에 대하여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해 단면별 매개변수를 추정한다. 추정된 매개변수를 Muskingum-Cunge 모형에 적용하여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각 단면별로 하도추적을 수행한다. 계산된 결과는 HEC-HMS Musking-Cunge 모형과 첨두유량의 크기 및 무차원 RMS 등을 비교하였을 때 동력학적 모형의 계산결과에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pp. for Visualization of Micro Hydro Power Potential (초소수력 발전 잠재량의 가시화를 위한 앱 개발)

  • Kim, Dong Hyun;Yang, Chang Wook;Lee, Seung O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1-11
    • /
    • 2017
  • Interest in all kinds of renewable energies has been highly increased while the micro-small-hydro power(MSHP) development has shown relatively slowly growth because of the negative public recognition about dam site development. It is, however, announced that the micro-SHP shows higher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compared to other renewable energies and does not emit any carbon dioxide. Thus, it is concerned abou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icro-SHP as an alternative energy.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for Android was exploited with Eclipse to visualize readily the potential realizable amount of hydropower by micro-SHP. With this application, we can select the region from the map, obtain the design discharge of the selected site was calculated with HEC-HMS, presented by U.S. Army of Corp. and perform the simply economic analysis in sequence. Yeongwol in Gangwon-do Province, Korea was chosen as the target area since historically abundant precipitation was foun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fundamental data from WAMIS.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expanded the whole region of Korea. Also, the initial investment cost would be reduced if the location for micro-SHP would be determined properly, because this application can help us easily select and examine the potential micro-SHP sites without on-the-spot visit.

Future Inund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Cheongmi Stream Watershed Considering Non-stationarity of Precipitation (강우의 비정상성을 고려한 청미천 유역의 미래 침수특성 분석)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Jun, Sang Min;Park, Jihoon;Lee, Kyeong-D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9 no.1
    • /
    • pp.81-96
    • /
    • 2017
  • Along with climate change, it is reported that the scale and the frequency of extreme climate events (e.g. heavy rain, typhoon, etc.) show unstable tendency of increase. In case of Korea, also, the frequency of heavy rainfall shows increasing tendency, thus causing natural disaster damage in downtown and agricultural areas by rainfall that exceeds the design criteria of hydraulic structures. In order to minimize natural disaster damage,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extreme precipitation event changes under climate change. Therefore a new design criteria based on non-stationarity frequency analysis is needed to consider a tendency of future extreme precipitation event and to prepare countermeasures to climate change. And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characteristic analysis could be a key to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climate change impact. In this study, non-stationarit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and inundation risk indices developed by 4 inundation characteristics (e.g. inundation area, inundation depth, inundation duration, and inundation radius) were assess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uture probable rainfall could exceed the existing design criteria of hydraulic structures (rivers of state: 100yr-200yr, river banks: 50yr-100yr) reaching over 500yr frequency probable rainfall of the past. Inundation characteristics showed higher value in the future compared to the past, especially in sections with tributary stream inflow. Also, the inundation risk indices were estimated as 0.14 for the past period of 1973-2015, and 0.25, 0.29, 1.27 for the future period of 2016-2040, 2041-2070, 2071-2100, respectively.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to analyze future inundation damage and to establish management solutions for rivers with inundation risks.

A Study on Rainfall-Runoff Analysis by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UH)에 의한 강우-유출해석)

  • Choi, Hung-Sik;Park, Chung-Soo;Moon, Hyu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1 s.20
    • /
    • pp.49-58
    • /
    • 2006
  •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are analysed based on the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IUH) derived by geomorphological parameter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in watershed ungaged or deficient of field data. Observed data of Seom river experiment watershed at upstream of Hoengseong dam and variable slope method for hydrograph separating of direct non are used. The 4th stream order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s developed with a regular correlation referred to the Horton-Strahler's law of stream order. The characteristic velocity to determine shape parameter of GIUH is 1.0m/s and its equation is modified for accurate results. Hydrograph at the outlet of 4th stream order of Maeil gage station and at the outlets of 3rd stream order of Sogun and Nonggeori gage stations show a little differences in falling limb of hydrograph but agree well to the observed data in general. The results by hydrological routing with HEC-HMS to the outlet of 4th stream order of Maeil gage station which the hydrograph by GIUH obtained at Sogun and Nonggeori gage stations of 3rd stream oder are applied as upstream inputs give better agreement with observed data than those by hydrograph by GIUH obtained at Maeil gage station of 4th stream order. In general, the rainfall-runoff by GIUH has applicability to the watershed routing of ungaged project regions.

Analysis of Inundation Characteristics for EAP of Highway in Urban Stream - Dongbu Highway in Jungrang Stream - (도시하천도로의 EAP수립을 위한 침수특성분석 - 중랑천 동부간선도로를 중심으로 -)

  • Lee, Jong-Ta;Jeon, Won-Jun;Hur, S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3 s.22
    • /
    • pp.69-76
    • /
    • 2006
  • An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procedure was proposed to reduce the inundation damage of highway in urban stream, that could contribute the EAP and Traffic control planning of Dongbu highway in the Jungrang stream basin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urban area in Korea. We performed the HEC-HMS runoff analysis, and the UNET unsteady flow modeling to decide the inundation reach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high inundation risk areas were of Emoon railway bridge and the Wollueng bridge, which are inundated in the case of 10 year and 20 year frequency flood respectively. We also analyze the inundation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of the accumulation rainfall and the duration. Flood elevation at the Wolgye-1 bridge exceed over Risk Flood Water Level(EL.17.84 m) when the accumulation rainfall is over 250 mm and shorter duration than 7 hr. When neglecting backwater effect from the Han river, inundation risk are highly at the reach C2(Wolgye-1 br. ${\sim}$Jungrang br., left bank), C1(Wolgye-1 br. ${\sim}$Jungrang br., right bank), D(Jungrang br. ${\sim}$Gunja br.) in order, but when consider the effect, the inundation risk are higher than the others at the reach D2(Jungrang br. ${\sim}$Gunja br., left bank) and E(Gunja br. ${\sim}$Yongbi br.), which are located downstream near co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