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R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3초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의 근치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 (Results of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 노오규;제형욱;김성배;이진혁;박승일;이상욱;송시열;안승도;최은경;김종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195-203
    • /
    • 2008
  • 목 적: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에서의 근치적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치료 성적과 재발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절제불가능한 국소진행된 식도암으로 진단 받거나 내과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식도암으로 진단 받은 후 근치적 목적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원발병소와 종격동, 그리고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의 위치에 따라 쇄골상부림프절과 복강림프절을 포함하여 $42{\sim}46\;Gy$의 외부방사선을 조사하였고, 이후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 부위에는 $54{\sim}66\;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분할조사 방법은 분할조사선량 $1.8{\sim}2\;Gy$씩 1일 1회 조사하거나, 1.2 Gy씩 1일 2회 조사하였다. 고선량률관내 방사선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Ir-192를 이용한 고선량률 방식으로 3 Gy씩 $3{\sim}4$회 시행하였다. 항암치료는 5-FU와 cisplatin을 이용하여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5-FU $1,00\;mg/m^2$/day, days $2{\sim}6$, $30{\sim}34$, cispiatin $60\;mg/m^2$/day, days 1, 29)를 2주기 시행하고 방사선치료 후에 2 주기를 추가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분석 가능한 환자는 160명 이었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149개월(중앙값 10개월)이었다. 환자의 AJCC 병기는 I, II, III, IV 기가 각각 5명(3.1%), 38명(23.8%), 68명(42.5%), 49명(30.6%)이었다. 26명(16.3%)의 환자에서는 $9{\sim}12\;Gy$의 추가 관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관내방사선치료를 포함하여 총 40 Gy 이상 조사받은 144명의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량의 범위는 $44.4{\sim}66\;Gy$ (중앙값 59.4)이었고, 총 방사선 조사량의 범위는 $44.4{\sim}72\;Gy$ (중앙값 60)이었다. 분석가능한 160명의 환자 중에서 101명(63.1%)에서 재발하였으며, 재발 양상으로는 국소 재발이 20명(12.5%), 지속적 병변 또는 국소 진행이 61명(38.1%), 원격전이가 15명(9.4%),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함께 있는 경우가 5명(3.)%)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1.1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전체생존율은 각각 31.8%, 14.2%이었다.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10.4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9.0%, 22.7%이었다.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에 종양 반응 및 림프절 병기만이 전체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 방사선 조사량(${\geq}50$ Gy vs. < 50 Gy), 관내 방사선치료의 추가 유무, 분할조사(1회/day vs. 2회/day)에 따른 전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식도암에서 근치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은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후의 주된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이었다. 방사선 조사량의 증가(${\geq}50\;Gy$), 고선량률관내방사선치료 및 과분할조사법의 시행은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자궁경부암 강내조사 시 CT를 이용한 CTV에 근거한 치료계획과 ICRU 38에 근거할 치료계획의 비교 (Comparison of CT based-CTV plan and CT based-ICRU38 plan in brachytherapy planning of uterine cervix cancer)

  • 심진섭;조정근;시창근;이기호;이두현;최계숙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17
    • /
    • 2004
  • 목적 : 최근 CT, MRI 등 영상진단기술 및 방사선치료계획 소프트웨어 등이 획기적으로 발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궁경부암의 강내조사는 아직까지 A 점 등 ICRU 38에 근거한 치료계획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CT를 이용한 3차원 강내조사 계획은 종양 및 정상조직에 대한 선량뿐 아니라 선량-용적 히스토그람(DVH)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CT를 이용하여 CTV에 목표선량을 조사하는 치료계획(CTV계획)과 ICRU 38에 근거한 치료계획(ICRU계획)을 시행하여 이 두 치료계획간에 종양선량, 직장선량, 방광선량 등을 비교하고 각각에 대한 DVH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Ir-192 고선량율강내치료(HDR)를 시행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강내조사계획은 외부방사선치료를 약 40Gy 시행한 후 수립되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CT 모의치료기를 이용한 CT가 시행되었고 치료계획은 PLATO(Nucletron) v.14.2를 이용하였다. CT 영상에 CTV, 직장, 방광 등을 도시한 후 CTV에 $100\%$의 선량을 조사하는 치료계획 및 ICRU 38에 근거하여 A점에 $100\%$를 조사하는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결과 : 11명 환자의 CTV 용적(평균${\pm}$표준편차)은 $21.8{\pm}26.6cm^3$, 직장 용적은 $60.9{\pm}25.0cm^3$, 방광용적은 $116.1{\pm}40.1cm^3$이었다. ICRU계획에서 $100\%$의 선량이 포함하는 용적은 $126.7{\pm}18.9cm^3$, CTV 계획에서는 $98.2{\pm}74.5cm^3$으로서 잔류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인 1례에서는 ICRU계획 시 CTV 용적 $22.0cm^3$$100\%$ 등선량곡선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종양의 크기가 4cm 미만인 나머지 8례에서는 종양용적 $12.9{\pm}5.9cm^3$이 불필요하게 $100\%$ 이상의 선량이 조사되었다. ICRU 38의 권고에 따른 방광선량은 ICRU계획 및 CTV계획에서 각각 $90.1{\pm}21.3\%,\;68.7{\pm}26.6\%$이었고, 직장선량은 $86.4{\pm}18.3\%,\;76.9{\pm}15.6\%$이었다. 방광 및 직장선량 최대값도 ICRU계획에서 각각 $137.2{\pm}50.1\%,\;101.1{\pm}41.8\%$, CTV계획에서 $107.6{\pm}47.9\%,\;86.9{\pm}30.8\%$로서 CTV계획에서 정상조직에 조사되는 선량이 더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잔류종양이 4cm 이상인 환자에서는 CTV계획에서 정상조직 선량이 견딤선량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DVH에서는 목표선량의 $80\%$ 이상을 받는 직장용적(V80rec)은 ICRU계획 및 CTV계획에서 각각 $1.8{\pm}2.4cm^3,\;0.7{\pm}1.0cm^3$, 방광용적 (V80bla)은 $12.2{\pm}8.9cm^3,\;3.5{\pm}4.1cm^3$로서 역시 CTV계획에서 정상조직이 적게 조사되었다. 결과 : 기존의 ICRU계획은 그 효과 및 안전성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CT를 이용한 CTV계획 등을 적용 한다면 잔류종양이 적은 경우 정상조직에 대한 조사를 줄이면서 잔류종양에 목표선량을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잔류종양이 큰 경우는 정상조직에 대한 조사선량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 치료계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궁경부암 근접방사선치료 시 2차원, 3차원 치료계획 비교평가 (Comparison of 2D and 3D Brachytherapy Planning for Cervical Cancer)

  • 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303-30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의 치료를 위한 전산화단층촬영(computer tomography)영상을 이용한 3차원 근접치료계획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1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2차원 근접치료계획을 시행하였고, 동일 자세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3차원 근접치료계획 프로그램(ECLIPSE treatment planning system v6.5, Varian Medical System, USA)를 이용하였으며, 고위험임상표적체적(High risk CTV, HR CTV)에 5 Gy를 처방하였다. 3차원 근접치료계획의 제한은 적어도 고위험임상표적체적의 90%에 처방선량인 5 Gy가 조사되도록, 방광의 $2cm^3$에 7.5 Gy 미만으로 들어가도록 그리고 직장의 $2cm^3$에 5 Gy 미만이 들어가도록 하였다. 계획의 평가는 선량체적표(dose-volume histograms; DVHs)를 이용하여 육안적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for brachytherapy; $GTV_B$), 고위험임상표적체적, 직장과 방광에 조사되는 선량을 구하였다. 크기가 큰 종양이나 자궁의 위치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Point A에 처방한 2차원 근접치료계획을 하였을 경우에는 고위험임상표적체적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3차원 근접치료계획은 이러한 환자들에서 직장이나 방광의 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고위험임상표적체적을 잘 포함할 수 있었다. 2차원 근접치료계획에서 높은 선량부터 $2cm^3$에 들어가는 직장선량은 10명 중 1명에서, $2cm^3$에 들어가는 방광선량은 6명에서 5 Gy를 넘었으므로 ICRU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Units) 방광선량이 직장선량에 비해 과소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 이용한 3차원 근접치료계획은 종양과 위험장기에 대한 선량평가가 가능하므로, 직장과 방광의 부작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크기가 큰 종양이나 자궁의 위치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위치 설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격조정 고선량 근접 치료 (Remote Afterloading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AMC EXPERIANCES)

  • 박수경;장혜숙;최은경;이병용;김재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267-275
    • /
    • 1992
  • 원격조정 고선량 근접치료는 새로운 각광받는 테크놀로지이다. 이에, 저자들은 3년간의 서울중앙병원의 590횟수, 116 환자를 대상으로 고선량 근접치료의 그 시술과 임상적 결과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자궁경부암 58 환자와 비인두강암 26 환자의 관내 방사선치료 471 횟수, 식도암 12 환자, 내 기관지암 11 환자, 클라스킨 종양 1 환자의 관내 방사선치료 79 횟수와 유방암 4 환자, 육종 1 환자, 요도암 1 환자의 조직내 방사선치료 40 횟수가 1989년 9월에서 1992년 8월 사이에 시행되어졌다. 추적 관찰 기간은 1 개월에서 35개월이었고, 그 중간 기간은 7개월이었다. 조직내 방사선치료를 제외한 모든 시술은 국소 마취로 시행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급성 합병증은 생기지 않았다. 또한, 6 환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계획 선량대로 치료를 마칠 수가 있었다. 자궁경부암 58 환자에서, 비인두강암 26 환자 중 20 환자에서 완전 관해가 일어났으며, 증상 완화 목적으로 치료한 15 환자에서 $80{\%}$의 환자에서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원격조정 고선량 근접치료의 자세한 시술과 그에 따른 결과를 설명할 것이다. 이 치료의 생물학적인 효과와 적당한 선량/선량 횟수/분할치료를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더욱 긴 추적 관찰을 시행하여야 하며, 이 새로운 근접치료 시술이 저선량 근접치로 시술보다 효과적이고 외래 환자로 통근 치료가 가능하며, 안전한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PDF

아크릴 팬톰에서 GafChromic 필름을 이용한 고선량률 근접 치료용 Ir-192 선원의 근접 거리에서 비등방성 측정 (Anisotropy in a Few mm Regions from an Ir192 High Dose Rate Source Measured with a GafChromic Film in Acrylic Phantom)

  • Huh, Hyun-Do;Kim, Seong-Hoon;Park, Jin-Ho;Cho, Byung-Chul;Shin, Dong-Oh;Soo il Kwon;Chun, Ha-Chung;John J K Loh;Kim, Woo-Chul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2호
    • /
    • pp.94-99
    • /
    • 2004
  • GafChromic 필름은 높은 분해능과 낮은 민감도 그리고 조직 등가 물질에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GafChromic 필름을 이용하여 고선량률 근접치료에 사용하는 Ir-192선원 근접 거리에서의 비등방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GafChromic 필름은 0 Gy 105 Gy까지 4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흑화도를 구하였다. 비등방성 값은 아크릴 팬톰에서 GafChromic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값은 J. F. Williamson이 몬데칼로 계산한 값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거리(r) 2.5 mm, 각도 50 ∼ 130도까지 영역에서 4.4% 이내로 일치하였고 반면 140도 부근에서 17.6%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한편 거리(r) 5 mm, 각도 35 ∼ 160도까지 3.7% 이내로 일치하였고, 30도 부근에서는 7.6%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afChromic필름은 고선량률 근접치료 Ir-192선원의 근접 거리에서 비등방성 측정 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측정 장비보다 매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비디오 합성 (High Resolution Video Synthesis with a Hybrid Camera)

  • 김종원;경민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12
    • /
    • 2007
  • 최근들어 디지털 영상 기술의 발달로 많은 영화들이 디지털화되어 제작되고 있고, 이러한 디지털 영화를 직접 상영할 수 있는 디지털 시네마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까지 디지털시네마에서 요구하는 2K이상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촬영 장비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디지털 영화의 제작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저가의 일반 비디오 카메라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의 키프레임마다 함께 촬영된 고해상도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을 합성하는 것이다. 비디오 합성은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현재 프레임의 픽셀마다 대응되는 점의 위치를 앞뒤 키프레임들에서 찾는다. 대응점은 현재 프레임과 키프레임 간의 광흐름(optical flow)을 계산하여 찾게 된다. 대응점이 구해지면 키프레임의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대응점 위치의 이미지 블럭을 가져와 현재 프레임의 해당 픽셀 위치에 복사한다. 만일 키프레임에서의 대응점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현재 저해상도 비디오 프레임의 확대 이미지를 빈곳 채움에 이용하여 이미지를 완성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해상도 비디오 합성 외에 비사실적 비디오 렌더링 등과 같은 영상 효과의 구현에도 적용할 수 있다.

  • PDF

승마 속보 시 미숙련자에게 적용한 하지장 비율 74.04% 등자길이 피팅의 기승자세 효과 (The Effects of the Stirrup Length Fitted to the Rider's Lower Limb Length on the Riding Posture for Less Skilled Riders during Trot in Equestrian)

  • 현승현;류재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5-342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irrup length fitted to the rider's lower limb length and it's impact on less skilled riders during trot in equestrian events. Methods : Participants selected as subjects consisted of less skilled riders(n=5, mean age: $40.02{\pm}10.75yrs$, mean heights: $169.77{\pm}2.08cm$, mean body weights: $67.65{\pm}7.76kg$, lower limb lengths: $97.26{\pm}2.35cm$, mean horse heights: $164.00{\pm}5.74cm$ with 2 type of stirrups lengths(lower limb ratio 74.04%, and 79.18%) during trot. The variables analyzed consisted of the displacement for Y axis and Z axis(head, and center of mass[COM]) with asymmetric index, trunk front-rear angle(consistency index), lower limb joint(Right hip, knee, and ankle), and average vertical forces of horse rider during 1 stride in trot. The 4 camcorder(HDR-HC7/HDV 1080i, Spony Corp, Japan) was used to capture horse riding motion at a rate of 60 frames/sec. Raw data was collected from Kwon3D XP motion analysis package ver 4.0 program(Visol, Korea) during trot. Results : The movements and asymmetric index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t head and COM, Also, 74.04% stirrups lengths in trunk tilting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igher consistency than that of 79.18% stirrups lengths. Hip and knee joint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more extended posture than that of 74.04% stirrups lengths during trot. Ankle angle of 79.18% stirrups length showed more plantarflexion than that of 74.04% stirrups lengths. Average vertical force of ri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igher force at 79.18% stirrups lengths than that of 74.04% stirrups lengths during stance phase. Conclusion : When considering the above, 74.04% stirrups length could be effective in impulse reduction with consistent posture in rather less skilled horse rid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Clinical Outcomes and Toxicity of Lobaplatin- Versus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and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 Wang, Ji-Quan;Wang, Tao;Shi, Fan;Yang, Yun-Yi;Su, Jin;Chai, Yan-Lan;Liu, Z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957-5961
    • /
    • 2015
  • Background: We designed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o assess whether loba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might be superior to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in terms of efficacy and safe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open-label RCT aims to enroll 180 patients with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three treatment groups (cisplatin $15mg/m^2$, cisplatin $20mg/m^2$ and lobaplatin $35mg/m^2$), with 60 patients in each group. All patients will receive external beam irradiation (EBRT) and high-dose-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HDR-ICBT). Patients in cisplatin $15mg/m^2$ and $20mg/m^2$ groups will be administered four cycles of $15mg/m^2$ or $20mg/m^2$ cisplatin intravenously once weekly from the second week to the fifth week during EBRT, while patients inthe lobaplatin $35mg/m^2$ group will be administered two cycles of $35mg/m^2$ lobaplatin intravenously in the second and fifth week respectively during pelvic EBRT. All participants will b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Complete remission rate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ill be the primary endpoints. Overall survival (OS), incidence of adverse events (AEs), and quality of life will be the secondary endpoints. Results: Between March 2013 and March 2014, a total of 61 patients with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were randomly assigned to cisplatin $15mg/m^2$ group (n=21), cisplatin $20mg/m^2$ group (n=21) and lobaplatin $35mg/m^2$ group (n=19). We conducted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sults. Similar rates of complete remission and grades 3-4 gastrointestinal reactions were observed for the three treatment groups (P=0.801 and 0.793, respectively). Grade 3-4 hematologic toxicity was more frequent in the lobaplatin group than the cisplatin group. Conclusions: This proposed study will be the first RCT to evaluate whether lobaplatin-based chemoraiotherapy will have beneficial effects, compared with cisplatin-based chemoradiotherapy, on complete remission rate, PFS, OS, AEs and quality of life for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Comparisons between the KKU-Model and Conventional Rectal Tubes as Markers for Checking Rectal Doses during Intracavitary Brachytherapy of Cervical Cancer

  • Padoongcharoen, Prawat;Krusun, Srichai;Palusuk, Voranipit;Pesee, Montien;Supaadirek, Chunsri;Thamronganantasakul, Koms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115-6120
    • /
    • 2014
  • Background: To compare the KKU-model rectal tube (KKU-tube) and the conventional rectal tube (CRT) for checking rectal doses during high-dose-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HDR-ICBT) of cervic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10 and January 2011, thirty -two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ere enrolled and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brachytherapy (ICBT). The KKU-tube and CRT were applied intrarectally in the same patients at alternate sessions as references for calculation of rectal doses during ICBT. The gold standard references of rectum anatomical markers which are most proximal to radiation sources were anterior rectal walls (ARW) adjacent to the uterine cervix demonstrated by barium sulfate suspension enema. The calculated rectal doses derived from actual anterior rectal walls, CRT and the anterior surfaces of the KKU-tubes were compared by using the paired t-test. The pain caused by insertion of each type of rectal tube was assess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Results: The mean dose of CRT was lower than the mean dose of ARW ($Dmean_0-Dmean_1$) by $80.55{\pm}47.33cGy$ (p-value <0.05). The mean dose of the KKU-tube was lower than the mean dose of ARW ($Dmean_0-Dmean_2$) by $30.82{\pm}24.20cGy$ (p-value <0.05). The mean dose difference [($Dmean_0-Dmean_1$)-($Dmean_0-Dmean_2$)] was $49.72{\pm}51.60cG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42.32 cGy -57.13 cGy with the t-value of 13.24 (p-value <0.05). The maximum rectal dose by using CRT was higher than the KKU-tube as much as 75.26 cG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t-score of 7.55 (p-value <0.05). The mean doses at the anterior rectal wall while using the CRTs and the KKU-tub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value=0.09). The mean pain score during insertion of the CR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KKU-tube by a t-score of 6.15 (p-value <0.05) Conclusions: The KKU-model rectal tube was found to be an easily producible, applicable and reliable instrument as a reference for evaluating the rectal dose during ICBT of cervical cancer without negative effects on the patients.

붉가시나무림의 솎아베기 강도에 따른 생장 반응 효과 (Thinning Intensity and Growth Response in a Quercus acuta Stand)

  • 정수영;주남규;이광수;유병오;박용배;유석봉;박준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36-542
    • /
    • 2015
  • 본 연구는 전남 완도 붉가시나무림의 솎아베기 강도 처리에 따른 임분의 생장반응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1999년 솎아베기 후 연년 직경 생장량과 연년 재적 생장량에서 강도구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약도구 또한 비슷한 수준의 효과가 있었다. H/D율은 DBH 생장량의 증가로 인해 약 80%까지 임목 형질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솎아베기 이후 강도구와 약도구의 임분 흉고단면적 총 생장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간벌구의 손실로 말미암아 임분 흉고단면적은 대조구의 생장량 수준까지 장차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