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G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17초

반복과배란토끼의 난소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varian Respones of Rabbits Superovulated Repeatedly)

  • 한기영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6-45
    • /
    • 198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vary in repeatedly superovulated rabbits. A total of 57 New Zealand White and Californian, 25 mature virgin and 32 immature does were used in this study. For induction of repeated superovulation, PMSG and HCG were injected at 17-day and 30-day intervals for mature does and 17-day intervals for immature ones. The repeatedly superovulated does at 17-day intervals were induced luteolysis of pseudopregnant corpus luteum with PGF2${\alpha}$ on Day 8 to 9 p.c. The effect of repeated superovulation on reproductive organs was investigated on Day 3 p.c. in mature does and on Day 3 and 6 p.c. in immature ones, respectively. 1. In mature virgin does, the number of ovulation points in the 2nd and 3rd superovulation period averaged 7.0 and 5.0 at 17-day intervals and 13.4 and 6.0 at 30-day intervals, respectively. These numbers were statistically similar to 9.5 ovulation points in the control. However, there were less (p<0.05) ovulation points in those periods compared with 22.1 ovulation points in the 1st superovulation period. 2. In immature does, the number of ovulation points in the 2nd and 3rd superovulation period averaged 5.3 and 2.3, respectively. These numbers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an 17.1 ovulation points in the 1st periods. The number of ovulation points in the 2nd superovulation period was similar to that in the contro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the number of ovulation points in the 3rd period as compared to the control. 3. In mature virgin does, the number of visible normal and hemorrhagic follicles (>1.0mm diameter) on day 3 p.c. averaged 19.1 and 8.9 in the 1st superovulation period, respectively. In the 2nd 3rd superovulation period, the number of normal follicles averaged 8.3 and 15.5 at 17-day intervals and 17.8 and 14.5 at 30-day intervals. The number of hemorrhagic follicles in the 2nd and 3rd superovulation period averaged 6.3 and 2.0 at 17-day intervals and 5.2 and 7.8 at 30-day intervals, respectively. There was a slight decrease, although not significant, in the number of normal and hemorrhagic follicles in the 2nd and 3rd period at 17-day intervals compared to that in the 1st period. 4. In immature does, the number of visible normal follicles on day 3 and day 6 p.c. in the 1st superovulation period averaged 27:3 and 26.1, respectively. The follicles on day 3 p.c. tended to increase slightly more than that in the cortrol, but the average number of normal follicles on day 6 p.c. did not differ from that in the control. The number of visible hemorrhagic follicles on day 3 and day 6 p.c. in the 1st of follicles in the 1st superovulation period average 10.2 and 9.9, respectively.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llicles in the 1st perio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In the 2nd and 3rd superovulation period, the number of normal follicles revealed a slight decrease in the 3rd period, but the number of hemorrhagic follicles was not different between periods. 5. The number of growing follicles with incipient intral formation on day 3 p.c. in mature does of the 1st superovulaton period average 29.7 and the average number of growing follicles in the 3rd period was 26.7 at 17-day intervals and 31.0 at 30-day intervals, respectively. These numbers did not differ from that in the control. In immature does, the number of growing follicles averaged 57.7, 45.0 and 59.3 in the 1st, 2nd and 3rd superovulation period, respectively. There was a slight but not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growing follicles in the 3rd perio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 PDF

2개 대비 1개의 난할기 선발배아 이식에 따른 임상 결과 (Clinical Outcome of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Compared to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Performed at the Cleavage Stage)

  • 강상민;이상원;정학준;채수진;윤산현;임진호;이성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49-359
    • /
    • 2010
  • 목적: 시험관아기 시술에서 3일째의 배아들 가운데 우수한 배아를 선발하여 1개의 배아를 이식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eSET)한 주기와 2개의 배아를 이식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eDET)한 주기의 임상적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대구마리아에서 첫 번째나 두 번째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를 시행한 36세 미만인 환자들 가운데 hCG를 투여한 당일 자궁내막의 두께가 8 mm 이상이고 정상적인 수정란이 3개 이상이면서 적어도 1개의 우수한 배아를 지닌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SET는 167주기에서 실시하였고 eDET는 163주기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eSET군의 임상적 임신율, 진행 임신율 및 출산율 (각각 53.3%, 47.3% 및 44.9%)은 eDET군의 것들 (각각 60.7%, 54.6% 및 50.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착상률은 eSET군이 eDET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각각 53.9%와 40.2%, p<0.001), 쌍태아의 임신율은 eSET군이 eDET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각각 1.1%와 32.3%, p<0.001). 또한, 잉여배아들을 유리화하여 보관하게 된 환자의 비율은 eDET군보다 eSET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을 뿐만 아니라 (각각 68.7%와 89.2%, p<0.001), 환자당 보관된 잉여배아의 수도 eSET군에서 eDET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각 $3.2{\pm}2.6$$2.1{\pm}2.4$,p<0.001).결론: 채취당 임신율을 높이고 다태아의 임신에서 기인한 합병증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내원한 첫 번째나 두 번째 IVF-ET 환자들 가운데 36세 미만이고 HCG를 투여한 당일 자궁내막의 두께가 8 mm이상이며 3일째에 우수한 배아가 하나만 있더라도 eDET보다 eSET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한국 고유종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Mori, 1936)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Slender Catfish, Silurus microdorsalis Mori, 1936, Endemic to Korea)

  • 김강래;곽영호;성무성;양현;조성장;윤봉한;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1-100
    • /
    • 2023
  • 본 연구는 자호천에 서식하는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의 난 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발달을 관찰하여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였다. 2018년 6월에 친어를 포획하였으며, 수온 18℃, 광주기 14L: 10D에 조건에서 순환여과식으로 사육하였다. 인공 산란 유도를 위해 성숙한 친어 암컷에 Ovaprim (Syndel, Canada) 어체중 1 kg당 0.5 mL, 수컷에 HCG 어체중 1 kg당 10,000 IU를 주사하였고, 15시간 후에 건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성숙란은 연한 담황색의 분리 침성란이었다. 수정란의 난경은 2.16±0.06 mm (n=8)였고, 수정 후 181시간 만에 완전히 부화하였다. 수온별 난 발생은 수온 18℃에서 부화율 63.1±2.2%, 기형률 10.0±3.7%로 나타나 18℃가 부화에 적합한 수온이었다. 수온별 발생속도는 18℃에서 181시간, 21℃에서 109시간, 24℃에서 76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난 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2.2℃로 추정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4.64±0.22 mm (n=8)였고, 부화 후 1일에 빛의 자극에 회피 반응(negative phototaxis)을 보였다. 부화 7일째는 전장 12.47±0.53 mm로 뒷지느러미 기조는 25~30개, 꼬리지느러미 기조는 14~16개가 관찰되었으며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9일째는 전장 14.13±0.51 mm로 머리와 몸에 흑색 소포체가 90%가량 침착되었고 등지느러미가 생성되어 기조가 1개 관찰되었으며, 척색 말단이 위로 휘어지기 시작하여 중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15일째는 전장 16.69±0.31 mm로 꼬리지느러미 기조(18개)가 정수로 나타났으며 등지느러미 기조는 2개, 뒷지느러미 기조는 60~63개가 관찰되었으며, 척색 말단은 45℃로 완전히 휘어져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50일째는 전장 28.96±1.10 mm로 꼬리지느러미(18개), 등지느러미(3개), 가슴지느러미(11개), 뒷지느러미 기조(67~73개)가 정수로 나타나 치어기로 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