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Br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43초

The Rapid and Efficient Synthesis of Bromohydrins from Olefins under HBr/H2O2 System by Visible Light Induced

  • Tang, Rui-Ren;Gong, Nian-Hu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8호
    • /
    • pp.1832-1834
    • /
    • 2009
  • A simple and safe method has been presented for conversion of olefins into bromohydrins using hydrogen bromide and hydrogen peroxide as bromide source by visible light induced within a very short time to get high yield bromohydrins along with a little mount dibromo-product. In this paper, cyclohexene is firstly carried out as the model substrate and investigated the bromination under HBr/$H_2O_2$ system using 150 W incandescent light irradiated in C$Cl_4$ within short time to get good yield of 2-bromocyclohexanol along with a little mount of 1,2-dibromocyclohexane; then, a series of alkenes are brominated to corresponding bromohydrins using the same protocol.

XPS와 SEM을 이용한 폴리실리콘 표면에 형성된 잔류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ysilicon Etch Residue by XPS and SEM)

  • 김태형;이종완;최상준;이창원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9-175
    • /
    • 1998
  • HBr/$Cl_2/He-O_2$ 반응 기체를 이용한 반응성 이온 식각후, 폴리실리콘 표면에 형성된 잔류막을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과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ocroscopy,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잔류물은 패턴된 폴 리실리콘의 맨 윗부분에 자존하고 있었으며, 화학 결합 상태는 실리콘 산화물임이 밝혀졌다. 잔류물인 실리콘 산화물의 형성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래의 혼합 기체 성분중 한가 지씩의 반응 기체를 제외시켜 가면서 실험하였다. 비록 플라즈마 성질이 다를지라도, 잔류물 은 산소의 존재하에서 잘 형성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휘발성이 낮은 실리콘-할로겐 화 합물이 산소에 의해 산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반응성 이온 식 각후 형성된 잔류층은 소자의 전기적 특성과 후처리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습식과 건식 후처리 공정을 도입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건식 공정의 경우 기체에 의해 새로운 잔류물이 형성됨을 XPS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따라서 잔 류물을 제거하고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해서는 습식 공정이 더 적합함을 알았다.

  • PDF

Vertical Profile Silicon Deep Trench Etch와 Loading effect의 최소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for Investigation of the sufficient vertical profile with reducing loading effect for silicon deep trench etching)

  • 김상용;정우양;이근만;김창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8-11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feature profile evolution silicon deep trench etching, which is very crucial for the commercial wafer process application. The silicon deep trenches were etched with the SF6 gas & Hbr gas based process recipe. The optimized silicon deep trench process resulted in vertical profiles (87o~90o) with loading effect of < 1%. The process recipes were developed for the silicon deep trench etching applications. This scheme provides vertically profiles without notching of top corner was observed.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of SF6 gas based silicon deep trench etch process much more strongly than expected on the basis of Hbr gas trench proces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silicon deep trench etching shows the sufficient profile for practical MOS FET silicon deep trench technology process.

  • PDF

고종횡비 실리콘 트랜치 건식식각 공정에 관한 연구 (Profile control of high aspect ratio silicon trench etch using SF6/O2/BHr plasma chemistry)

  • 함동은;신수범;안진호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69-69
    • /
    • 2003
  • 최근 trench capacitor, isolation trench,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MEMS), micro-opto-electromechanical system(MOEMS)등의 다양한 기술에 적용될 고종횡비(HAR) 실리콘 식각기술연구가 진행되어 지고 있다. 이는 기존의 습식식각시 발생하는 결정방향에 따른 식각률의 차이에 관한 문제와 standard reactive ion etching(RIE) 에서의 낮은 종횡비와 식각률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고밀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식각 장비를 사용하여 고종횡비(depth/width), 높은 식각률을 가지는 이방성 트랜치 구조를 얻는 것이다. 초기에는 주로 HBr chemistry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는 식각률이 낮고 많은양의 식각부산물이 챔버와 시편에 재증착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SF6 chemistry의 사용을 통해 식각률의 향상은 가져왔지만 화학적 식각에 기인한 local bowing과 같은 이방성 식각의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까지 CHF3, C2F6, C4F8, CF4등의 첨가가스를 이용하여 측벽에 Polymer layer의 식각보호막을 형성시켜 이방성 구조를 얻는 multi_step 공정이 일반화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F6 chemistry와 소량의 02/HBr의 첨가가스를 이용한 single_step 공정을 통해 공정의 간소화 및 식각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최적의 HAR 실리콘 식각공정 조건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PDF

새로운 트리아자크라운 이온교환체의 합성과 그의 이온교환 특성 (Synthesis of New Triazacrown Ion Exchanger and Its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 김동원;정용순;김창석;최기영;이용일;홍춘표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71-378
    • /
    • 1995
  • 트리아자크라운 화합물,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 trihydrobromide $salt(Na_3O_2-3HBr)$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 화합물을 Merrifield peptide resin에 결합시켜 새로운 이온교환체를 만들었다. 이 새로운 이온교환체의 이온교환용량은 3.2 meq/g이었다. 그리고 이 이온교환체에 대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포계수를, 여러 농도의 염산 용액 중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염산 농도하에서의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이온교환작용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