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CHED EGG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북방산개구리의 발생과정 (Life History of Rana temporaria dybowskii in Korea)

  • 윤일병;김종인;양서영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01-405
    • /
    • 1999
  • 북방산개구리의 산란특성 및 발생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8년 2월 중순에서 3월말까지 경기도, 경상북도, 강원도를 중심으로 남한의 전지역을 대상으로 표본을 채집하였다.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시기는 2월말에서 3월말사이에 주로 이루어지며, 산란장소는 정수지와 유수지를 모두 선택하나 유수지에 산란하는 경우 알의 형태는 뭉쳐진 불규칙한 공 모양으로 돌이나 수초와 같은 기질에 부착하며, 정수지의 경우 타원형의 계란모양을 이루고 기질에 부착하지 않는다. 발생과정은 산란 후 일주일이 지나면 대부분 부화하고 71일이 경과하면 전 발생과정을 완료한다. 발생과정이 비교적 짧은 것은 먹이원이 풍부한 계절에 적극적인 포식활동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원지방에서의 땅강아지 개체군 연령 분포의 계절적 변화와 산란수 (Seasonal Changes in Age Structure and Fecundity of the African Mole Cricket (Gryllotalpa africana) Population in Suwon, Korea)

  • 김기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0-74
    • /
    • 1995
  • 1991~1994년에 수원에서 땅강아지 연령 분포의 계절적 변화와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새로 부화한 약충은 주로 9~10월에 우화하므로써 1년에 1회 경과하고, 일부가 약충으로 월도하여 8월경 우화하므로써 2년에 1회 경과하는 것으로 보였다. 산란실당 란수는 야외 월동 성충을 실내에서 산란시켯을 때 평균 36.00$\pm$2.84립, 양외채집 산란실에서 47.68$\pm$4.35립이었다. 자충당 산란실수는 평균 1.17$\pm$0.19개로 0~3의 범위를 보였다.

  • PDF

수조사육에 의한 청충, Perinereis aibuhitensis (Grube)의 산란과 난발생 (Spawning and Egg Development of a Polychaete, Perinereis aibuhitensis Reared at Indoor Tanks)

  • 강경호;이재학;장영진;유성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4
    • /
    • 1997
  • 한국산 갯지렁이류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청충의 양식기법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내에서 인공사육한 청충의 생식과 발생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4~2.4 g의 청충을 자연수온 및 $20.0\pm1.0^\{\circ}C$$25.0\pm1$의 가온구에서 사육한 결과, 생식형의 체중(Wt)과 산란량(NS)과의 관계는 NS=48635.5897Wt 상(1.3044) (r=0.8572)의 식으로 나타났다. 2. Atokous segment 는 암컷이 23~28(평균24.8$\pm1$), 수컷은 22~29(평균24.6$\pm2$)개로 같았고, 체색에 의한 암수의 차이는 없었다. 3. 수정란의 난경은 $220\mu m$으로, 수정 21.0~$23.0^{\circ}C$에서 수정후 56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 PDF

Methoprene이 짚시나방(Lymantria dispar)의 배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oprene on Embryo Development in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 강정호;오세원;이경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0-456
    • /
    • 1993
  • 짚시나방(Lymantria dispar)의 배자 발생에 미치는 유약호르몬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약호르몬 유사체인 methoprene을 알에 도포처리(topical treatments)하여 부화율, 부화 유충의 생체량 및 알의 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Methoprene 농도별 처리는 부화율에 영향을 미쳐 methoprene 처리군이 대조군(78.5%)에 비해 낮은 부화율을 나타 냈으며 5.0$\mul$ 처리군에서 가장 낮은율(42.5%)을 보여 주었다. 부화 직후 1령 유충의 생체량은 대조군이 0.7525mg으로 가장 높았으며 methoprene 농도 처리 순으로 감소하다가 5.0${\mu}\ell$ 처리군에서 0.6487mg으로 최하치를 나타냈다. 처리군별로는 대조군과 0.5$\mul$ 처리군이, 1.0$\mul$와 2.0$\mul$ 처리군의 생체량이 유사하였다. 배자 발생중 알의 단백질 함량 변화에서 0.5$\mul$ 처리군은 2, 4일째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탄수화물도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이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 PDF

산란계사료의 적정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um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in Laying Hen)

  • 이상진;이규호;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53
    • /
    • 1987
  • 본시험은 산란계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산란성적, 생존율, 란질, 영양소이용율 및 복강지방 축적율 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2,900 kcal/kg)과 단백질 3수준(13, 15, 17%)을 조합한 9개처리에 720수씩 2회에 걸쳐 1,440수를 공시하였으며, 1차시험은 1982년 5월 5일부터 1983년 5월 3일까지, 2차시험은 1983년 12월 28일부터 1984년 12월 26일까지 각각 5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고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지만 (P〈0.05), 단백질 15%와 17%수준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란중은 에너지 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15%와 17%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사료섭취량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4. 사료요구율은 에너지 수준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개선되었다. 5. 산란 kg당 사료비는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증체량은 대시에너지 2,500kcal/kg 수준에 비하여 2,700 및 2,900kcal/kg 수준에서 증가하였고, 단백질 13%수준에 비하여 15 및 17%수준에서 증가하였다. 7. 생존율은 에너지수준이나 단백질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8. 란각질은 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단백질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9. 란황차색도는 에너지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10.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이용율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단백질수준에 따라서는 건물의 이용율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다른 영양소의 이용율은 차이가 없었다. 11. 복강지방축적율은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사료적 여건이나 환경적 여건하에서 산란계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은 2,500kcal/kg, 단백질수준은 15%가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Sunrise Sculpin, Pseudoblennius cottoides (Teleostei: Cottidae))

  • 유동재;한경호;백승록;김광수;하성찬;장후천;이기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3-269
    • /
    • 2003
  •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sunrise sculpin, Pseudoblennius cottoides were studed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t the coastal Dolsan-do, Yeosu-shi from October, 2000 to April, 2001 Egg mass of Pseudoblennius cottoides in peribranchial cavity of Halocynthia hilgendorfi, were observed during late fall to winter in the study area. Fertiliged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demersal, adhesive, transparent and greenwish yellow color, measuring 1.84 mm (1.83-1.87 mm) in diameter. There were numerous and 17 (15-20) various-sized oil globules accounted in the yolk. Granular materials formed a mass in the yolk. Fertiliged eggs hatched at 301 hr 20 min after morula stage. Newly hatched larvae 6.31 mm (6.24-6.37 mm) in total length (TL), had a large yolk. At 3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6.77 mm (6.69-7.14 mm) in TL came out through the excurrent siphon of Halocynthia hilgendorfi. At 13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12.59 mm (12.42-12.63 mm) in TL transformed to postlarval stage. At 32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of TL 19.18 mm (19.01-19.46 mm) have reached the juvenile stage.

한국산 둑중개속(Cottus)의 분류학적 재검토와 자어의 형태적 특징 (Taxonom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Juvenile Cottus(Cottidae) Fishes from Korea)

  • 변화근;최재석;손영목;최준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8-134
    • /
    • 1995
  • 한국산 둑중개속(Cottus)의 둑중개(C. poecilopus Heckel)와 한둑중개(C. hangiongensis Mori)의 두 종에 대하여 계측형질, 계수형질, 발생형질 및 자어형태을 조사하므로써 분류학적으로 비교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계측형질에 있어서는 문장 및 미병장에서 종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형질에서는 비슷하였다. 계수형질에 있어서는 가슴지느러미의 연조수에서 C. poecilopus가 13인 반면 C. hangiongensis는 14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포란수와 난의 크기에 있어서는 C. poecilopus(평균 포란수 744 ; 난의 평균 직경 2.7mm)가 C. hangiongensis(1005 ; 1.6)에 비하여 포란수가 적고 대란형이며 부화 직후의 자어 크기에 있어서도 2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이는 Cottus poecilopus가 하천육봉형인 반면 C. hangiongensis는 양측회유형에 따른 적응의 결과로 판단된다.

  • PDF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Oryzias latipes

  • Lee, Sung-Hun;Kim, Chun-Cheol;Koh, Soo-Jin;Shin, Lim-Soo;Cho, Jae-Kwo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3호
    • /
    • pp.173-178
    • /
    • 2014
  • In order to monitor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embryos, larvae, and juveniles of Oryzias latipes (Temminck and Schlegel), Oryzias latipes was caught in river of Shinduck-dong, Yeosu-si, Jeollanam-do, on May 2011,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Ichthyology laborato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blastodisc step was the first level for natural spawning. The optic vesicle, Kupffer's vesicle, myotome began to appear 75 hours 57 minutes later. After blastodisc development, the pectoral fins were made at 143 hours 37 minutes and the tail was separated started at the same time. Hatching was observed at 167 hours 27 minutes after blastodisc.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4.95~5.10 mm (mean, 5.01 mm),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Larvae used yolk completely after 3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larvae was 5.45~5.56 mm (mean, 5.52 mm) after 8 days after hatching, and appeared the stems for tail. The stems pectoral, anal fin were showed after 14 days and the stems dorsal, ventral fin were appeared after 19 days. For 35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13.95~15.30 mm (mean, 14.64 mm), and at this time, fins and body were transferred like the adult Oryzias latipes.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산란습성, 난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Spawning Behavior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Nake-Heade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Bleeker))

  • 진동수;한경호;박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6-143
    • /
    • 2003
  • The eggs of Favonigobius gymnauchen attached on the under side of a small stone were collected off Seongsan-eup Cheju-do in August, 2000 to investigate their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s. The fertilized eggs were elliptical in shape (mean long axis: 1.50 mm; mean short axis: 0.57 mm) and transparent. There were filaments on one side of the egg membrane. Larvae hatched at 48 hrs 50 mins after morula stage with 25-26 myotomes in $22.8-28.5^{\circ}C\;(mean\;24.7^{\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2.31-2.49 mm (mean 2.37 mm n=10) in total length (TL)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already opened. Their melanophores were appeared on the over gas globule, around anus and the part of caudal peduncle with 24-25 myotomes. At 4-5 days after hatching. larvae attained 3.81-4.07 mm (mean 3.96 mm, n=10) in TL and their yolk sac was completely absorbed. They began to eat rotifer and transformed to postlarvae stage. At 14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attained 6.17-6.31 mm (mean 6.21 mm, n=10) in TL and their caudal notocord was flexed $45^{\circ}$ upward. At 24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attained 8.69-9.10 mm (mean 8.87 mm, n=10) in TL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All fins were formed with the complete set of fin rays with the following counts: dorsal fin rays IV-I, 9-10; anal fin rays I, 9; pectoral fin rays 17; ventral fin rays: I, 5; caudal fin rays: 9+8= 17.

란태생 경골어류 볼락, Sebastes inermis의 생식과 체내자어발달 (Reproduc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within the Maternal Body of Ovoviviparous Teleost, Sebastes inermis)

  • 이택열;김성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13-431
    • /
    • 1992
  • 1990년 10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경남 충무 근해에서 채집된 볼락을 대상으로 생식주기, 수정, 체내 난발생 그리고 체내자어 발달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암수 모두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함으로서 12월에 최고 값(암 16.35, 수 1.11)을 보였다. 수컷은 1월 급격히 감소하여 0.11의 낮은 값으로 떨어지나, 암컷은 생식소내 수정난의 발생 및 부화로 인해 1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며 2월에는 3.73의 낮은 값으로 떨어져 8월까지 암수 모두 낮은 값을 보인다. 2. 교미는 12월에 행해지며, 정자들은 암컷의 난소내 난모세포들 사이 간질에 머물러 있다. 3. 수정은 1월에 배란과 동시에 난소강에서 일어난다. 4. 체내 난발생 및 부화자어의 산출은 1월 중순에서 2월 사이에 일어난다. 5. 본 종의 생식년주기의 암컷의 경우 9월의 성장, 10-11월 성숙, 12-l월 완숙 및 수정, 1-2월 난발생 및 부화자어 산출 그리고 3-8월까지의 긴 퇴화 휴지기를 나타내며, 수컷은 9월의 성장, 10-ll월 성숙, 12-l월 완숙 및 방정 그리고 2-8월까지의 퇴화휴지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난소내 난모세포의 발달은 1회 성숙 mode를 가지며, 부화자어 산출도 1회에 모두 행하여진다. 7. 본 종은 만 2세어 이상에서 성성숙에 도달하며, 전개체가 성숙되는 체장은 암컷 17.1cm이상, 수컷은 15.1cm이상이었다. 8. 간숙도지수는 휴지기인 춘하계에 높은 값을 보이며 생식기인 추동계에 낮은 값을 유지하는 생식소숙도지수와는 반대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