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MANAGEMENT

검색결과 622건 처리시간 0.028초

Assessing the Carrying Capacity of Wild Boars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MaxEnt and HexSim Models

  • Tae Geun Kim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3호
    • /
    • pp.115-126
    • /
    • 2023
  • Understand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habitat is crucial for effectively managing populations of wild boars (Sus scrofa), which are designated as harmful wild animal species in national parks. Carrying capacity refers to the maximum population size supported by a park's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wild boar population size by integrat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habitat suitability for wild boars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the HexSim program. Population characteristics included age, survival, reproduction, and movement. Habitat suitability, which reflects prospecting and resource acquisition, was determined using the Maximum Entropy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optimal population size for wild boar ranged from 217 to 254 individuals. The population size vari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home range, indicating fewer individuals in a larger home range. The estimated wild boar population size was 217 individuals for the minimum amount of resources (50% minimum convex polygon [MCP] home range), 225 individuals for the average amount of resources (95% MCP home range), and 254 individuals for the maximum amount of resources (100% MCP home range). The result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ild boar population size based on the amount of resources within the home range. These findings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wild boar populations.

Habitat use and preferences of the least weasel (Mustela nivalis) in South Korea

  • Areum Kim;Donggul Woo;Je Min Lee;Jinhwi Kim;Anya L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193-199
    • /
    • 2023
  • Background: The least weasel (Mustela nivalis) holds the distinction of being the world's smallest carnivorous animal, yet its presence in South Korea has remained poorly understood. To address this knowledge ga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abitat preferences and distribution of the least weasel in South Korea. Results: Our study compiled presence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citizen reports, national surveys, and expert observations. The results confirmed the nationwide presence of the least weasel in mainland South Korea, with notable concentration regions such as Gangwon province. Among the various habitats, forest edges and forests emerged as the predominant choice, with over half of the documented locations situated within these environments, particularly in broadleaf forests. Additionally, the data reveal a year-round presence of the least weasel, with recorded cases occurring at varying levels throughout the year. Conclusions: Our research advances the understanding of least weasels in South Korea. Despite the relatively modest dataset, our results provide as a valuable resource for future conservation initiatives,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forested landscapes. Additionally, it assists in identifying priority areas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efforts. To secure the future of the least weasel in South Korea and beyond, further research, including long-term monitoring and genetic studies, is imperative.

First satellite tracking of a free-ranging spotted seal (Phoca largha) from the Baengnyeongdo Island

  • Hyun Woo Kim;Namgyu Uh;Seulhee L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669-677
    • /
    • 2023
  • The spotted seal (Phoca largha) in the Yellow Sea has declined due to poaching and habitat destruction. To aid conservation efforts, Argos satellite tracking were used to monitor the movements of a free ranging spotted seal around Baengnyeongdo Island. The satellite-transmitting tag successfully attached to the seal provided 1,556 location data collected during 107 days. The seal mostly moved between two haul-out sites, Yeonbong Rock and Mulbeom Rock. From October 6th to December 12th, the seal stayed within a 7 km radius of Yeonbong Rock. However, as the signal was lost,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when the seal started to migrate from Baengnyeongdo Island to winter breeding area. This study provide understanding into the habitat preferences and movement patterns of spotted seals around Baengnyeongdo Island, contributing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is species. Further research with more individuals and different age groups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ir habitat preference and develop effective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spotted seal population in the Yellow Sea.

경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네트워크의 국제적 동향 (Ecological Network for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홍선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12-25
    • /
    • 2004
  • 경관의 보전과 복원, 계획은 생태계내의 다양성을 보전하고 유지하기위한 전반적인 통합관리 체계하에서 조직적인 운영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유전자수준에서부터 서식지, 생태계 및 경관수준에 이르기까지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개체군을 보전하며, 관리하기 위한 세계 여러 국가들의 전략과 노력은 주요거점서식지를 서로 연결하는 서식지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주요 동물이동통로에 대한 생태통로의 설치 및 훼손된 지역에 대한 복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유럽에서는 이러한 서식지 수준의 네트워크를 인접 국가간에 공동으로 조직하여 관리하는 국가간 생태네트워크를 서두르고 있다. 경관수준의 서식지 및 생태계의 보전과 관리에 있어 핵심적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는 경관생태학 및 보전생태학적인 이론은 생태네트워크 개념에서도 그 중요한 원리가 활용된다. 본 서술형논문에서는 유럽의 생태네트워크의 운영활동을 참고하여 한국의 서식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네트 현황에 참고하고 하였으며, 여기에 개괄적이며 필수적인 경관생태학적 고려사향을 논하였다. 우리나라의 서식지 및 경관 수준의 네트워크전략과 환경정책의 수립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서식지 보호, 법적 접근 그리고 생태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향후 통일을 대비하면서 통일 이후의 남북간의 접경지역을 포함한 자연보전지역과 특수한 경관지역을 관리하고 보전하는데 유럽외 국가간 생태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주요한 우리 환경정책에 주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다.

하구의 지형적.자연서식지.이용개발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Estuar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Natural Habitat Distributions and Land Uses)

  • 이강현;노백호;조현정;이창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2호
    • /
    • pp.53-69
    • /
    • 2011
  • 하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반영한 분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 고해상도 항공사진 및 지형도 등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463개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였고, 이들 하구의 하구순환 유지 여부,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 특성, 이용개발 특성에 기초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하구 순환이 이루어지는 235개의 '열린하구'는 지형적 특성에 따라 '산지/절벽형', '사취형' 및 '깔대기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41, 87, 107개로 분류되었다. 구분된 각 하구는 다시 자연서식지 특성과 이용 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여, 열린하구는 총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하구순환이 차단된 228개의 '닫힌하구'는 차단 형태에 따라 '직접차단'과 '하구호' 형성에 의한 간접차단으로 구분하였다. 직접차단 형태의 하구를 다시 자연서식지 및 이용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25, 64, 55개로 분류되었다. 간접차단 하구는 84개가 파악되었으나 세분하지 않아 닫힌하구는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유형분류 체계는 하구의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의 현황 및 토지이용 특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하구관리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천연기념물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생육 및 관리 현황 연구 (The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Habitat of Spleenworts on Samdo Island (Asplenium antiquum Makino), Jeju (Natural Monument No. 18))

  • 신진호;김한;이나라;손지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0-291
    • /
    • 2019
  • 파초일엽 자생지는 1949년 제주도 삼도에서 최초 발견된 이후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1962년 12월 천연기념물 제18호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삼도에서만 자생하며, 해방이후 땔감, 도취 등으로 자생지가 크게 훼손되어 거의 멸실에 이르렀으나 이식, 복원을 통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대상지는 2011년부터 공개제한구역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2000년대 자생지 복원 이후 약 20년이 지난 시점에서 파초일엽 생육실태 변화상에 대한 모니터링과 자생지 관리를 위해 이식, 복원의 기원 등 주요 관리이력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 결과 지정초기부터 현재까지 자생종 판별, 이식 복원 기록 등 문화재 관리이력을 확보하였고, 복원 이후 약 20년이 지난시점에서 파초일엽 생육변화상을 살펴보았다. 파초일엽 자생지 복원 이력을 살펴보면 1970-80년대에 이식된 개체들은 공식문서가 없었으며 1974년 복원 이식한 개체는 당시 일본 개체로 판단되어 자생종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파초일엽 자생종 판별 연구를 통해 유전적으로 자생종으로 판명된 개체를 증식하여 2000년 156본, 2001년 150본을 이식하고 육묘장을 2004년 조성하여 파초일엽을 증식하였다. 자생지 내 파초일엽 생육지는 2곳으로 지점 1은 석축 위에 65개체가 3단에 나누어 밀식하여 자라고 지점 2는 29개체가 2열로 자라는 형태로 조사되었다. 파초일엽이 생육하고 있는 지역의 식생은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지대이며, 조사지점 외 자생 파초일엽 개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특기할 만한 사항은 복원 후 최초로 자연 발생한 파초일엽 치수의 분포현황을 확인한 점이다. 치수 개체는 약 300개체 이상이었으며, 이 중 밀도가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위한 고정조사구 3개소를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1지점의 파초일엽 치수는 23개체로 개체당 잎수는 4~17장, 길이는 0.5~20 cm이었으며, 2지점은 88개체로 개체당 잎수는 5~6장 길이는 1.3~10.4 cm이었으며, 지점 3은 22개체로 잎 수 5~9장, 잎 길이 4.5~12.1 cm로 나타났다. 파초일엽 자생지는 2011년 공개제한 지역으로 설정되었으나 낚시, 스쿠버행위 등 일부 행위가 허가됨에 따라 자생지의 훼손 발생가능성이 크므로 법의 엄격한 적용과 함께 문화재 보존을 위해 충분한 교육과 문화재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울산시 산림휴경지의 꼬마잠자리 서식지 변화 및 관리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Habitat Change of Nannophya pygmaea Ramber in the Abandoned Paddy Field Ulsan City and Its Management)

  • 김동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67-877
    • /
    • 2011
  •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 6월부터 2011-7월까지 4년에 걸쳐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에 위치한 휴경지를 대상으로 서식지 변화와 휴경지 내에 서식하는 곤충상과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곤충은 총 10목 32과 53종이 조사되었고, 잠자리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이 총 18.9%로 우점하였다. 식물은 총 23목 30과 60종이 조사되었고, 사초과(13.3%)와 벼과(11.7%)가 우점하였다. 본 조사지역에는 목본 식물이 유입되면서 천이가 빠르게 진행되고 수생식물의 서식지를 잠식해 육지화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에서의 식식성 곤충과 산지성 곤충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꼬마잠자리의 서식지는 수심이 2.5~9.5cm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수면이 개방되어 있는 곳으로 이동되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지속적인 보전과 유지를 위해서는 생태특성을 파악하여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산림기반 야생동식물보호구역 조경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Adjustment of Forest-based Wildlife Protection Area)

  • 장갑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2-6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commend forest-based wildlife protection areas in Chung-nam Province using several basic habitat conditions. The condition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forest patch size with the potential to keep wildlife animals safe, the distance from water sources, and the availability of food for wildlife. The fractal dimension index was also used to find the edge line dynamics, which can influence on habitat conditions for edge species. The natural conservation management indices including a forest map (indicating the level of forest age), a slope map, and an elevation map were used to find the forest patches with enough space for wildlife to live on. Water resources and their buffer areas were considered as factors to protect the space as an ecological corridor. Deciduous trees and trees mixed with deciduous trees and conifers were chosen to provide wildlife animals their food. In total, 525 forest patches were chosen and recommended for the wildlife protection area. Five of these forest patches were recommended as wildlife protection areas managed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other 520 forest patches were recommended to protect local wildlife animals and be managed by each county or city. These forest patches were located around the Geum-buk and Geum-nam mountains, and the forest patches are important resources as habitats to keep wildlife in the area. An ecological network consists of these separate forest patches with the ecological integration. A fractal dimension index was used to divide forest patches into several categories in order to find how patches are shaped. The forest patches with longer edges or more irregular shapes have a much higher possibility of being inhabited by various types of edge species. Through comparison of the wildlife protection areas recommended in this study to the current wildlife protection areas, we recognized that the current wildlife protection areas need boundary adjustments in order for wildlife animals to survive by themselves with water sources and food.

덕유산 국립공원내 조류상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vifauna in Tokyusan National Park)

  • 이우신;박찬열;조기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3-220
    • /
    • 1994
  • 본 연구는 덕유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구역으로는 주 등산로 2개소를 선정하여, 1993년 2월 20일과 7월 22일 2회에 걸쳐 야생조류에 대해 선조사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5목 17과 34종이었고 이 중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희귀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 홍여새가 관찰되었다. 해발 1,000m 이상의 초원지역은 갈색양진이의 겨울철 월동지로, 붉은뺨멧새의 여름철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 대한 보호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무주구천동 계곡은 계곡성 조류에게 20년 전에는 양호한 서식지였으나, 인간의 이용밀도의 증가로 인해 계곡성 조류가 다수 감소한 실정이므로 이 지역에 대한 관리가 요망된다.

  • PDF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저수지 인공식물섬 조류 이용현황 분석 (Usage of Waterbirds on the Artificial Floating Islands in Reservoir using UAV)

  • 김경태;김영;김혜정;김성열;김휘문;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7-67
    • /
    • 2019
  • Water-Birds are the birds that occupy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inland wetlands and reservoirs provide them with a good environment as habitat, but their habitats have been losing because of thoughtless development. Therefore, artificial plant islands in reservoir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habitat environment and providing food resources.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 and standards on the built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plant islands. So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nsity of bird using artificial plant island as habitat through monitoring using UAV focus on the Cheonho-reservoirs located in Seobuk-gu, Cheonan-si(Middle Chungcheong Province). Further,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environmental factor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rtificial plant islands as habitats for water-birds.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the three-time images taken by the drone identified 244 white-billed ducks and 46 mandarin ducks. The utilization rate was different for each photographed date, and more individuals were identified in wet artificial plant islands than dry 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tilization follow environmental factors, the distance from the trai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other fact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of the UAV monitoring method of the water-birds using artificial plant islands in the reservoir, and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built an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