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3K9

검색결과 10,563건 처리시간 0.038초

초임계이산화탄소-물-골재 반응을 이용한 폐모르타르와 순환골재의 중성화 처리 (The Neutralization Treatment of Waste Mortar and Recycled Aggregate by Using the scCO2-Water-Aggregate Reaction)

  • 김태형;이진균;정철우;김지현;이민희;김선옥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4호
    • /
    • pp.359-370
    • /
    • 2018
  • 기존 연구에서 초임계$CO_2$($scCO_2$)-물-순활골재 반응을 이용한 폐콘크리트 순환골재의 중성화(pH 저감) 처리에서 가장 문제시되었던 오랜 처리시간의 한계(최대 50일)를 최소 3시간까지 단축하는 배치실험과 칼럼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르타르(골재를 포함하지 않은 시멘트+모래 혼합체)와 모르타르에 골재를 포함하는 2 종류의 순환골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입자 크기별로 분류한 세 종류의 폐모르타르 시료에 대하여 $scCO_2$-물-폐모르타르 반응 시간을 1시간부터 24시간까지 다하게 설정하여 반응시킨 후, 폐모르타르의 pH가 지속적으로 9.8 이하로 낮게 유지되는 최소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용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제 현장에서 다량의 순환골재를 중성화 처리하는 경우 비평형상태에서 용출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kinetic 효과를 고려한 순환골재의 실제 pH 저감 효율을 측정하고자 대형 칼럼 연속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치실험의 경우, 고압셀 내부에서 3차 증류수 70 mL와 순환골재 시료 35 g을 혼합한 후 100 bar, $50^{\circ}C$ 조건에서 1시간 ~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성화 처리하였다. 처리 후 건조시킨 폐모르타르 시료 10 g + 증류수 50 ml의 비율(1:5 비율)로 혼합하여 10분 동안 150 rpm으로 교반한 후 정치시키고, 총 15일 동안 용출시간 별로 용출수의 pH를 측정하였다. 중성화 처리 후 순환골재의 광물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처리 전/후 XRD, TG/DTA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형 칼럼(직경 16 cm, 높이 1 m) 용출실험을 위해 순환골재 2 종류를 대상으로 3시간 동안 중성화 처리한 순환골재와 처리하지 않은 순환골재로 칼럼을 충진한 후, 증류수를 칼럼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를 통하여 일정하게 총 220 L를 주입하였다. 칼럼에 충진된 순환골재를 통과하여 하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pH와 $Ca^{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폐모르타르 시료(직경 10 ~ 13 mm)의 경우 3시간의 중성화 처리에 의해 용출액의 pH가 법적 허용기준인 9.8이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CO_2$ 반응 후 골재의 XRD, TG/DTA 분석 결과, 중성화 처리에 의해 시멘트 모르타르의 주성분인 포틀랜다이트($Ca(OH)_2$) 성분이 감소한 반면 방해석($CaCO_3$)이 2차 광물로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칼럼 실험 결과 중성화 처리한 순환골재의 용출수는 kinetic 효과를 고려한 경우에도 굵은골재와 잔골재 모두 용출수의 pH가 9.8 이하로 유지되어, $scCO_2$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3시간 중성화 처리에 의해 건설현장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방사선이 조사된 세포막 모델이 물질의 능동수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active transport of cell membrane model which irradiated by radiation)

  • 고인호;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03-110
    • /
    • 2011
  • 방사선이 조사된 세포막 모델에서 $K^+$$Na^+$의 능동전달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된 세포막 모델은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슬폰화 혼성중합막이다. 이온의 초기플럭스는 양쪽의 $H^+$ 이온농도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실험범위 pH $0.5^{-3}$에서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 막의 $K^+$의 초기 플럭스는 $7.9{\times}10^{-4}\;-7.49{\times}10^{-3}mole/cm^2{\cdot}h$이고 $Na^+$의 초기 플럭스는 $10.6{\times}10^{-4}\;-7.68{\times}10^{-3}mole/cm^2{\cdot}h$이다. 방사선이 조사된 막의 $K^+$의 초기 플럭스는 $35.0{\times}10^{-4}\;-42.4{\times}10^{-3}mole/cm^2{\cdot}h$ 이고 $Na^+$의 초기 플럭스는 $52.0{\times}10^{-4}\;-43.3{\times}10^{-3}mole/cm^2{\cdot}h$이다. 막은 $K^+$를 선택하였고 $K^+/Na^+$의 비는 약 1.1이다. 조사된 막의 pH의 구동력은 조사되지 않은 막보다 약 3-4배 정도 유의 있게 증가하였다. 세포막 모델의 $K^+$$Na^+$의 능동전달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에 세포장해가 세포에서 나타나게 된다.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of Liliodendron tulipifera L. Seedlings)

  • 윤준혁;이도형;우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04-214
    • /
    • 2008
  • 본 연구는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 수준을 5.6, 4.9, 3.9, 2.9로 구분하고 묘목에 처리한 후, 지상부와 지하부의 부위별 건중량, 줄기의 길이생장, 토심별 뿌리생장을 조사하여 인공산성비 처리에 따른 백합나무 묘목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상부의 총건중량은 인공산성비 처리와 토양 종류별로 1% 또는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인공산성비의 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상부의 건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하부의 총건중량은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인공산성비 처리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토양종류에 대해서는 pH 2.9 처리구에서만 유의차가 있었다. 또한, 토양 A와 토양 C에서 pH 수준이 낮아짐에 따라 지하부 건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줄기생장률은 6월-8월까지 인공산성비 처리(p<0.01)와 토양 종류 간(p<0.01 또는 p<0.05)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6월에 줄기생장이 큰 폭으로 생장하였다. 또한 pH 3.9 와 pH 4.9 처리구에서는 생장이 오히려 촉진되기도 하였으며, pH 2.9 수준에서는 생장이 억제되었다. 토심 0-7cm와 7-14cm에서의 세근과 미세근량은 pH 수준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토심 14-21cm 에서의 세근량은 pH 수준별 처리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의 종류는 전반적으로 미세근에 대해서만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Downregulation of JMJD2a and LSD1 is involved in CK2 inhibition-mediated cellular senescence through the p53-SUV39h1 pathway

  • Park, Jeong-Woo;Bae, Young-Seuk
    • BMB Reports
    • /
    • 제55권2호
    • /
    • pp.92-97
    • /
    • 2022
  • Lysine methy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istone modifications that modulate chromatin structure. In the present study, the roles of the histone lysine demethylases JMJD2a and LSD1 in CK2 downregulation-mediated senescence were investigated. The ectopic expression of JMJD2a and LSD1 suppressed the induction of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activity and heterochromatin foci formation as well as the reduction of colony-forming and cell migration ability mediated by CK2 knockdown. CK2 downregulation inhibited JMJD2a and LSD1 expression by activating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ribosomal p70 S6 kinase (p70S6K) pathway. In addition, the down-regulation of JMJD2a and LSD1 was involved in activating the p53-p21Cip1/WAF1-SUV39h1-trimethylation of the histone H3 Lys9 (H3K9me3) pathway in CK2-downregulated cells. Further, CK2 downregulation-mediated JMJD2a and LSD1 reduction was found to stimulate the dimethylation of Lys370 on p53 (p53K370me2) and nuclear import of SUV39h1.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CK2 downregulation reduces JMJD2a and LSD1 expression by activating mTOR, resulting in H3K9me3 induction by increasing the p53K370me2-dependent nuclear import of SUV39h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K2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age-related diseases.

Disialoganglioside GD2의 Anti-idiotypic Antibody (Ab2)에 의해 유도된 Anti-anti-idiotypic Antibodies (Ab3)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anti-idiotypic Antibodies (Ab3) Induced by Immunization of Anti-idiotypic Antibodies (Ab2) Mimicking Disialoganglioside GD2)

  • 박윤선
    • IMMUNE NETWORK
    • /
    • 제3권2호
    • /
    • pp.118-125
    • /
    • 2003
  • Background: Disialoganglioside GD2 is a tumor-associated antigen that is overexpressed on tumor cells of neuroectodermal origin, such as melanoma and neuroblastoma. Anti-idiotypic antibodies that mimic GD2 may induce more effective immune responses than GD2 antigen itself, because they are protein antigens and are known to be able to break immune tolerance.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potential of anti-idiotypic antibodies as tumor vaccines, the ability of anti-idiotypic antibodies (Ab2) to induce anti-anti-idiotypic antibodies (Ab3) that bind to the original antigen GD2 was investigated. Methods: Six monoclonal anti-idiotypic antibodies (1A8, 1G5, 2B6, 3A4, 3D6, 3H9) to monoclonal antibody M2058, which is a monoclonal antibody to GD2, were produced in mice. Three (1A8, 3A4, 3H9) of them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bility to inhibit the binding of Ab1 to D142.34 (murine melanoma cell expressing GD2). These 3 different Ab2 were injected into rabbits, and rabbit Ab3 induced by each of them were characterized. Results: Ab3-containing sera from two rabbits immunized with 1A8, 3A4, or 3H9 bound significantly (P<0.05) to D142.34 but not to B78.96 (GD2-negative cell), and bound significantly (P<0.05) to isolated GD2 but not to GD1a. Ab3-containing sera from two rabbits immunized with 3A4 or 3H9 inhibited significantly (P<0.05) the binding of Ab1 M2058 to D142.34, and inhibited significantly (P<0.05) the binding of Ab1 M2058 to the Ab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idiotypic antibodies 3A4 and 3H9 have a potential to be used as vaccines against tumors expressing GD2 by inducing GD2-specific antibodies (Ab3).

원형치수 계산도구에 의한 바디스 원형 평가 연구 (A Study on Basic Pattern Evaluations Utilizing a Bodice Sloper Size Measurement Tool)

  • 홍지운;권숙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27-440
    • /
    • 2016
  • This study uses comparison tests of bodice basic patterns to research improvements in wearing evaluation methods based on differences in bodice basic patterns and body size. As study methods, we calculated body sizes for six types by selecting four types of bodice basic pattern and utilized bodice basic pattern size measurement tools. The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bodice basic patterns per each part and body size difference by bodice basic pattern size measurement tool, shoulder angle cover rate was J&K type 57.57%~68.41%, N type 53.13%~65.57%, L type 51.87%~63.73%, and H type 59.03%~68.20%. In the item of neck base circumference, it was J&K type 6.4~-16 mm, N type 10.7~-31.9 mm, L type -5.2~-13.4 mm, and H type -6.2~-15.4 mm. In the item of armscye circumference, it was J&K type -18.9~-59.4 mm, N type -15.2~-51.3 mm, L type -38.9~-52.7 mm, and H type -17~-42.2 mm. In the item of biacromion length, it was J&K type 23.2~-4.7 mm, N type 18.4~-10.4 mm, and H type 3.5~-5.7 mm. In the item of interscye back, it was J&K type and N type 17.6~-13.6 mm, L type 11.9~-13.6 mm, and H type 3.2~-11.8 mm. The item of interscye front was found in the sequences of study type and L type. Second, the Kruskal-Wallis test result (according to bodice basic pattern) indicated meaningful differences in items of shoulder angle cover rate, neck point to breast point, bust point-bust point, biacromion length and armscye circumference and H type had an overall higher rank.

Poly(ethylene glycol)-dextran 수용액 2상계에서 단백질 분획계수에 미치는 금속염의 효과 (Effects of Salts on the Partition of Proteins in Poly (ethylene glycol)-Dextran Aqueous Two Phase System)

  • 이삼빈;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6-150
    • /
    • 1987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텍스트란 수용액 혼합물이 형성 하는 2상계에서 단백질의 분획현상에 대한 pH와 금속 이온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PEG(5%)/dextran(9.5%)을 포함하는 5mM 인산 완충용액으로된 수용액 2상계에서 상층부와 하층부의 용적비를 1.0으로 하였을 때 분획계수는 각 단백질들의 등전점에서최소치를 나타 내었으며, pH가 등전점에서 벗어날 수록 단백질 분획계수는 증가하였다. 특히 pH11.0에서는 분획계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소수성이 가장 큰 BSA는 50배 ${\beta}-lactoglobulin$과 소수성이 비교적 적은 ovalbum은 각각 10배 증가하였다. 금속염 첨가는 pH3.0에서 단백질과 분획계수를 증가시키나. pH7.0과 pH11.0에서는 급격하게 감소시켰다. 단백질의 총전하가 양전하를 띠게 되는 pH3.0에서는 LiNa>K의 순으로 분획계수는 감소하였다.

  • PDF

Anatomical Study on the Heart Meridian Muscle in Human

  • Park Kyoung-Sik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human heart meridian muscle, the regional muscle group being divided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s. The inner parts of the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s, blood vessels and to expose the inner structure of the heart meridian muscle in the order of layer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cdot$ The heart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muscles, nerves and blood vessels. $\cdot$ In human anatomy, the difference between terms is present (that is, between nerves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cdot$ The inner composition of the heart meridian muscle in the human arm is as follows: 1) Muscle H-l: latissimus dorsi muscle tendon, teres major muscle, coracobrachialis muscle H-2: biceps brachialis muscle, triceps brachialis muscle, brachialis muscle H-3: pronator teres muscle and brachialis muscle H-4: palmar carpal ligament and flexor ulnaris tendon H-5: palmar carpal ligament & flexor retinaculum, tissue between flexor carpi ulnaris tendon a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tendon,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H-6: palmar carpal ligament & flexor retinaculum, flexor carpi ulnaris tendon H-7: palmar carpal ligament & flexor retinaculum, tissue between flexor carpi ulnaris tendon a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 is tendon,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H-8: palmar aponeurosis, 4th lumbrical muscle, dorsal & palmar interrosseous muscle H-9: dorsal fascia, radiad of extensor digiti minimi tendon & extensor digitorum tendon 2) Blood vessel H-1: axillary artery,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H-2: basilic vein, brachial artery H-3: basilic vein, inferior ulnar collateral artery, brachial artery H-4: ulnar artery H-5: ulnar artery H-6: ulnar artery H-7: ulnar artery H-8: palmar digital artery H-9: dorsal digital vein, the dorsal branch of palmar digital artery 3) Nerve H-1: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median n., ulnar n., radial n., musculocutaneous n., axillary nerve H-2: median nerve, ulnar n.,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 the branch of muscular cutaneous nerve H-3: median nerv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H-4: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ulnar nerve H-5: ulnar nerve H-6: ulnar nerve H-7: ulnar nerve H-8: superficial branch of ulnar nerve H-9: dorsal digital branch of ulnar nerve.

  • PDF

산 처리와 pH 조절을 이용한 사문석군 광물로부터 규소와 철산화물 회수 및 광물 탄산화 연구 (Silica and Iron Oxide Recovery and Mineral Carbonation from Serpentine Minerals Using Acid Dissolution and pH Swing Processes)

  • 백지연;조연우;이정헌;권나윤;김예람;최숙;김성희;노열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1호
    • /
    • pp.13-22
    • /
    • 2016
  • 이 연구는 사문석군 광물을 산 처리하고, 용출액을 pH 조절 하여 사문석군 광물로부터 규소와 철산화물 회수와 광물탄산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암석시료는 홍성 구항면에서 채취한 사문암으로 안티고라이트와 자철석로 구성되며, $SiO_2$(45.3 wt.%), MgO(41.3 wt.%), $Fe_2O_3$(12.2 wt.%)의 화학조성을 보였다. 자원회수실험은 $75{\mu}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한 사문암을 1 M의 염산, 황산, 질산으로 각각 용해시켜 잔류물을 추출(1 단계)하였고, 남은 용출액에 $NH_4OH$를 추가하여 pH=8.6까지 상승시켜 형성된 붉은색 침전물을 회수(2 단계)하였다. 광물탄산화 실험은 침전물이 제거된 상층액에 $CO_2$를 주입한 후, pH=9.5까지 상승시켜 형성된 백색의 침전물을 회수(3 단계)하였다. 각 단계에서 회수된 잔류물과 침전물의 광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XRD, TEM-EDS 분석을 실시했고, 용출액과 침전물이 제거된 상층액에 함유된 원소(Si, Mg, Fe)의 농도 변화는 ICP-AES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용출된 금속은 Si, Fe, Mg이었다. 안티고라이트는 산과 반응한 후에도 판상을 유지하나 비정질실리카로 변했다(1 단계). pH=8.6에서 회수된 침전물은 Fe, Si, O로 구성된 비정질광물로, 2~10 nm 크기의 구형 나노물질이었다(2 단계). 마지막으로 $CO_2$를 주입한 후, pH=9.5에서 회수된 침전물은 nesquehonite[$Mg(HCO_3)(OH){\cdot}2(H_2O)$]와 lansfordite[$MgCO_3{\cdot}H_2O$]로 $1{\sim}6{\mu}m$ 크기를 가진 주상의 결정질광물이었다(3 단계). 따라서 산 처리된 사문석군 광물에서 나노물질의 실리카(잔류물)과 철산화물(침전물)을 회수가능하며, $CO_2$ 반응과 pH 조절을 이용하여 탄산염광물을 형성하였다. 회수된 실리카와 철산화물은 다른 물질로 합성하는 전구체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광물탄산화 반응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고정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uminogermanate Precursor의 자기조합(Self-assembly)을 통한 단일 벽을 갖는 나노-볼형 및 나노-튜브형 광물 유도 (Single-walled Hollow Nano-tubes and Nano-balls Assembled from the Aluminogermanante Precursors)

  • 송윤구;;이영부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5호
    • /
    • pp.501-5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단일 벽(Single-wall) 구조를 갖는 나노크기의 속이 빈(hollow) 볼(Ball)형(NBs; Nano-balls), 짧은 길이 튜브(S-NTs; Short-fiber Nano-tubes)형 및 긴 길이 튜브(L-NTs; Long-fiber Nano-tubes) 물질을 동일한 조성 Al/Ge=1.33을 갖는 Aluminogermanate(ALGE) Precursor 최초 혼합용액의 단순한 pH 조절 과정에서 자기조합(Self-assembly)을 통해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먼저 pH=13으로의 염기성화(Na/Al=28~30) 및 최종 pH=9 조건에서 5 nm의 균질한 크기를 갖으며, 화학조성인 Al/Ge=1.5~1.6인 속이 빈 구조의 NBs가 합성되었다. pH=13으로의 염기성화 및 최종 pH=4 조건에서는 3.3 nm 지름, 길이 15~20 nm, Al/Ge=2.6~2.8의 S-NTs가 합성되었다. 그러나 pH=9로 염기성화(Na/Al=3.8) 시킨 후 최종 pH=4조건에서는 나노-튜브의 길이가 100 nm 이상인 L-NTs가 처음으로 합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LGE Precursor로부터 -Ge-OH 표면에서의 $H^+$-dissociation 정도 차이, 즉, $Na^+$ 양 및 최종 pH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의도하는 형태의 ALGE 나노물질 유도가 가능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