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nam Area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36초

중식당경영주들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직업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ransition as Perceived by Chinese Restaurant Owners)

  • 서정희;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9-154
    • /
    • 2015
  •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서 소규모 중식당을 경영하는 경영주 268명을 대상으로 통계프로그램 SPSS(18.0)와 AMOS(18.0)를 사용하여 이들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직업전환의도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규모 중식당 경영주들은 오너쉐프 130명(48.5%), 홀 서빙 63명(23.5%), 배달 75명(28.0%)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소규모 중식당 경영주들은 물리적 환경은 직업긍지와 경제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영업스트레스는 직업긍지와 경제만족에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물리적 환경과 영업스트레스는 직업전환의도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직업긍지, 경제적 만족)은 직업전환의도에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규모 중식당 경영주 들은 물리적 환경(주방시설과 홀시설)에서 보다 영업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영업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을 약화시키고, 직업전환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소규모중식당 경영주들에게는 영업장 시설보다는 서비스교육과 같은 실질적인 영업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중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최적 분포형 선택 (The Selection of Optimal Distributions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s using Multi-criteria Calibration Techniques)

  • 김연수;김태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중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보정 과정에서 분포형의 정도가 융설과 유량의 최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연구하였다. 분포형 수문모형으로는 HL-RDHM를 이용하였고, 분포형 정도에 따라 집중형, 준분포형, 완전분포형 등 3개의 모형을 구성하여 최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유역은 108개의 격자로 구성되며, 격자별로 융설과 관련하여 15개, 유출량 관련 13개의 매개변수를 다중최적화기법인 MOSCEM를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최적 매개변수 산정을 위하여 2004-2005년의 기상학적 자료와 융설량과 유출량 관측자료가 이용되었고,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2001-2004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다중최적화기법 적용 결과 집중형의 경우, 초기 값에 의한 결과로 부터 RMSE 값이 융설량은 평균 35%, 유출량은 약 42% 개선되었고, 준분포형과 완전분포형의 경우는 융설량은 평균 40%, 유출량은 약 43% 정도의 RSME 값이 향상되었다. 전반적으로 집중형보다는 분포형 모형이 최적화 과정에서 융설과 유출량 예측에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준포형과 완전분포형의 경우 최적화 성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출보다는 융설에서 분포형 정도에 따른 모형의 민감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되었다.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변화 예측 (Prediction of Land-Use Change based on Urban Growth Scenario in South Korea using CLUE-s Model)

  • 이용관;조영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5-88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해 한반도의 시공간적인 미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한 CLUE-s 모형의 입력 자료로 2008년 환경부 토지이용도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에서 1980년부터 2011년까지 5년 간격의 토지이용 통계 자료를 구축하였다. 토지이용 항목은 총 6개(수역, 시가지, 논, 밭, 산림, 초지)로 분류하였으며, 다양한 토지 변화요소(Driving Factor)와 특별토지이용 정책 자료로 환경부의 국토환경성평가 지도를 적용하였다. 시나리오 예측 결과는 각 도별로 2008년의 토지피복 통계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시가지를 대상으로 한 실측값과의 오차율은 경기도(9.47%), 강원도(9.96%), 충청북도(10.63%), 충청남도(7.53%), 전라북도(9.48%), 전라남도(6.92%), 경상북도(2.50%), 경상남도(8.09%)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은 미래 도시성장을 수학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모형 내에서 조정된 성장률과 국가 정책으로 인한 실제 성장률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100년의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 결과 시가지는 2008년에 비해 28.2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논, 밭, 산림은 각각 8.27%, 6.72%, 1.6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내산 및 중국산 참기름과 변조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and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Edible Oils)

  • 강치희;박재갑;박정웅;전상수;이승철;하정욱;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0
    • /
    • 2002
  • 경남 도내에서 유통 중인 국내산 참기름과 중국산 참기름 각각 30건과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 등의 식용유지를 첨가하여 변조한 참기를 12건에 대한 지방산 함량을 GC에 의한 정량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산 참기름의 주요 지방산 평균 함량은 palmitic acid 8.26$\pm$0.04%, stearic acid 4.57$\pm$0.05%, oleic acid 39.25$\pm$0.05%, linoleic acid 46.82$\pm$0.07, linolenic acid 0.52$\pm$0.02%, arachidic acid 0.58$\pm$0.03%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참기름은 palmitic acid 9.24$\pm$0.03%, stearic acid 5.11$\pm$0.04%, oleic acid 38.65$\pm$0.04%, linoleic acid 46.02$\pm$0.06%, linolenic acid 0.42$\pm$0.04%, arachidic acid 0.56%$\pm$0.04%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국내산 참기름은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중국산 참기름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nic acid는 반대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국내산 참기름에 콩기름을 0%, 3%, 9%씩 첨가했을 때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각각 0.52$\pm$0.02%, 0.73$\pm$0.05%, 1.25$\pm$0.04%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옥수수기름을 0%, 5%, 9%씩 첨가했을 때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각각 46.82$\pm$0.07%, 50.22$\pm$0.06%, 51.14$\pm$0.05%로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참기름의 산지별 확인과 식용유지를 첨가한 변조참기름에 대해서는 각각의 지방산 함량에서 특이성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지역에서 구입한 국내산과 중국산 참기름에서 유사한 결과치를 보여 앞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참깨나 참기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on estimated breeding value and accuracy for economic traits in Gyoungnam Hanwoo cow (Korean cattle)

  • Kim, Eun Ho;Kim, Hyeon Kwon;Sun, Du Won;Kang, Ho Chan;Lee, Doo Ho;Lee, Seung Hwan;Lee, Jae Bong;Lim, Hyun Ta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429-43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elite cows by analyzing the estimated breeding value (EBV) and accuracy using the pedigree of Hanwoo cows in Gyeongnam. The phenotype trait used in the analysis are the carcass weight (CWT),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T) and marbling score (MS). The pedigree of the test group and reference group was collected to build a pedigree structure and a numeric relationship matrix (NRM). The EBV, genetic parameters and accuracy were estimated by applying NRM to the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BLUP) multiple-trait animal model of the BLUPF90 program. Looking at the pedigree structure of the test group, there were a total of 2,371 cows born between 2003 to 2009, of these 603 cows had basic registration (25%), 562 cows had pedigree registration (24%) and 1,206 cows had advanced registration (51%). The proportion of pedigree registered cows was relatively low but it 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a point of 20,847 cows (68%) between 2010 to 2017.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EBV, the CWT improved from 4.992 kg to 9.885 kg, the EMA from 0.970 ㎠ to 2.466 ㎠, the BFT from -0.186 mm to -0.357 mm, and the MS from 0.328 to 0.559 points. As a result of genetic parameter estimation, the heritability of CWT, EMA, BFT, and MS were 0.587, 0.416, 0.476, and 0.571, respectively, and the accuracy of those were estimated to be 0.559, 0.551, 0.554, and 0.558, respectively. Selection of superior genetic breed and efficient improvement could be possible if cow ability verification is implemented by using the accurate pedigree of each individual in the farms.

Pseudocercospora dendrobii에 의한 덴드로비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Dendrobium sp. Caused by Pseudocercospora dendrobii)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75
    • /
    • 2002
  • 2001년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덴드로비움 재배포장에서 잎에 검은 잎마름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아래 잎에 원형 또는 부정형의 점무늬가 생기며 표면은 옅은 갈색의 작은 함몰된 병반이 차차 증가하여 검게 변하면서 썩고 나중에 회색을 띤 검은색으로 말라죽으면서 낙엽이 된다. 조사한 포장에서 발생율은 64.8%이었다. 균사의 색깔은 짙은 올리브색이고, 분생자병은 옅은 회갈색을 띠며 $5{\sim}10$개의 격벽을 가지고 분지하며 끝 부분이 가늘고 둔하다. 크기는 $63{\sim}164{\times}3.2{\sim}4.9{\mu}m$이었다. 분생포자는 옅은 올리브색이며 가늘고 긴 곤봉모양이며 곧거나 약간 굽으며 $1{\sim}5$개 격벽을 가지며, 크기는 $46{\sim}98{\times}3.2{\sim}3.9{\mu}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20^{\circ}C$이었다. 이 병원균의 병징 및 균학적 특징,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 dendrobii에 의한 덴드로비움 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우리나라 일부 지역 주민들의 혈중 알루미늄 농도 (Blood Aluminum Concentrations among Residents of the South-east Costal Area of Korea)

  • 서정욱;김병권;김유미;정진용;임현주;예병진;홍영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6-204
    • /
    • 2016
  • Objectives: Aluminum is well known as a potent neurotoxicant. There are many reports that aluminum can be toxic to humans and to animal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aluminum exposure among humans in Korea.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urrent aluminum concentrations among the adult population in regions of Korea. Methods: We selected 439 adults aged 20-89 years from the Busan-Ulsan-Gyeongnam region and certain other sites. Blood aluminum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The geometric means (GM)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 of aluminum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and we also confirmed the proportion of excess of the aluminum reference value. Results: Total GM (95% CI) of aluminum levels was 14.26 (13.43-15.14) ppb. Levels among males (15.58 [14.09-17.22] ppb) were higher compared to among females (13.51 [12.54-14.55] ppb), and levels increased with subject age from 40 years and over. Three point one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exceed the reference value of 50 ppb. Lastly, aluminum concentration has a log-normal distribution with lnN (x; 2.89, 0.642), x>0.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 of blood aluminum concentrations among the normal population in Korea, and we found some adults exceeding the reference levels. However,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with other studies, an extended study including measurement of serum aluminum level is require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various population groups, including occupational exposure of workers, is required.

초등학교 과학실에서 발생하는 화학폐기물에 대한 실태 (A Status on the Chemical Wast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 김성규;허승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awareness of chemical waste produced in elementary school laboratory experimentation and how this awareness relates to collection and disposal of chemical waste. More specifically, the study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ndling of chemical waste and factors such as years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 class size and amount of waste produced. The target population were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area and 237 subjects were responded. Among the 237 responses, 37 cases that did not complete the questionnaire were eliminated. Therefore, 200 respons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questions. The categor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their skills of management and treatment of the chemical wast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10.0,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such as class size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also analyzed by $x^2-test.$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years of teaching and class sizes in the training experience of chemical waste disposa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laboratory size and class sizes in the laboratory actual condit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times of experimentation and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terms of the discharge amount of chemical wast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ears of teaching and class sizes. Fourth, in the simple chemistry waste disposal process in the science laboratory, there also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inds of experimental equipments that used in the experimentation and the years of teaching. Based o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reat amount of the chemical wastes produced in the science laboratory dumped into the drain and the treatment process of chemical waste was also inattentive. Eve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the basic problems occurred in the science laboratory is disregarded. Therefore, not only students but teachers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disposal process of chemical waste in the laboratory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 pollution. Furthermore, the efforts of preventing environment pollution are needed such as open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bout environment education, minimal use of chemicals, treatment of chemical waste, and so forth.

임도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의 침식방지 및 녹화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Forest Road Cut-slope Erosion Control and Rehabilitation Techniques using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30-37
    • /
    • 2013
  • 이 연구는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침식억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평균침식량을 분석해 본 결과, 침식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보면 곡선부에서의 일반돌망태시공지(5,840 $cm^3$)>대조구(5,833 $cm^3$)>직선부의 일반돌망태 시공지(5,621 $cm^3$)>곡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4,298 $cm^3$)> 직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4,117 $cm^3$)의 순으로 나타나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것이 임도절토비탈면의 침식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임도 곡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 및 일반돌망태시공지의 토양침식억지효과가 직선부보다 낮게 나타나 이러한 구조물은 곡선부보다는 직선부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기간 중 평균식생피복률은 곡선부에서 45(28~65)%로 나타나 동일한 기간 직선부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의 평균피복률 56(30~85)% 보다 약 11(2~20)% 낮은 값을 나타내어 직선부에서의 식생피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절토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는 안정화된 이후 임도 절토 비탈면의 토양침식을 억지하는 효과로 인해 식생피복률이 증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AS Method을 통해 본 119소방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의 지역 경제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Regional Economic Effect by Construction of 119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rough RAS Method -In the Case Gyangsngnamdo-)

  • 류태창;김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1-4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재난 관리를 위한 소방종합정보시스템(119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구축에 따른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으로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산업연관표(Input-Output Tables)로부터 산출되는 투입계수를 기초로 한 산업간 상호의존관계분석으로 RAS방식을 통해 도출된 중간거래표를 이용 지역경제 산업간, 지역간의 연관관계를 파악 정책적인 외생변수의 변화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으로 구분하여 지역경제 구조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예상 투입액을 3가지로 구분하여 도출한 결과 생산유발효과에서는 약 287억원${\sim}$424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에서는 약 75억원${\sim}$114억원, 고용유발효과에서는 약 103명${\sim}$157명, 소득유발효과에서는 38억원${\sim}$57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