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wangyang Bay Area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2초

추계 광양만의 유기물 기원과 분포 특성 (Origi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t Gwangyang Bay in the Fall)

  • 이영식;강창근;최용규;이상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1호
    • /
    • pp.1-8
    • /
    • 2007
  • 유기물 증가에 미치는 환경인자를 중심으로 그 수평분포 특성, 원인, 주요오염원의 영향권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해 표층 해수와 표층 퇴적물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물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에 대한 주요 오염원은 크게 섬진강과 동천 등의 담수, 광양시 생활하수, 여수산업단지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었다. 해수와 퇴적물의 환경인자에 대한 수평분포 특성과 해수의 흐름 등을 고려하여 이들 주요 오염원의 영향권을 구분한 결과, (I)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 (II) 광양시와 동천의 영향이 큰 해역, (II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그리고, 오염원의 영향권 별 수질환경인자의 특성으로는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SiO_2-Si$, 담수와 생환하수의 영향이 큰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NH_4-N,\;SiO_2-S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표층해수의 경우 높은 수온, 높은 농도의 $NH_4-N$$PO_4-P$, 퇴적물의 경우 높은 농도의 $NH_4-N,\;PO_4-P,\;SiO_2-Si$로 특징 지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남해 광양만 퇴적물에서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수직적 군집 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Korea)

  • 김소영;문창호;조현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0-297
    • /
    • 2003
  • To describe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bottom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three short-cor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gravity core sampler on 24 August 2001: St. 1 core (27.5 cm)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bay, St. 14 core (30.5 cm) in the southwestern part, and St. 16 core (25.9 cm) near Yeosu Sound. Total cyst densities generally decreased from the top of the sediment samples through the bottom. The highest cyst densities were observed at 2-3 cm in St. 1 core, 4-5 cm in St. 14 core, and 0-1 cm in St. 16 core respectavely. Living cysts were observed till the bottom of the sediment samples. The increas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cyst proportion may indicate that the eutrophication process was recently escalated in the study area.

하계 광양만 주변 해역의 새우조망 어획조사 및 수산자원 음향조사 (Biomass Estimation with a Hydroacoustic Survey and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in Gwangyanh Bay in Summer)

  • 한인우;오우석;박근창;윤은아;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88-297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sampling inspection method and acoustic technique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useful organisms and non-commercial fish species distributed in the water of Gwangyang Bay, and evaluated the marine resources. In June, 2018, 38 species were caught in the shrimp beam trawl, comprising 3,594 marine organisms with a total weight was 65,415.3g. The acoustic survey showed that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le^2$) for the waters of Gwangyang Bay was highest in Transect 15 ($1,655.5m^2/n.mile^2$) and lowest in Transect 1 ($1.3m^2/n.mile^2$). The biomass was estimated to be 2,634.9 tons in the acoustic survey. This indicates that the acoustic survey method detected more fish shoals than the sampling inspection method.

Airborne Measurements of Ozone and Its Precursors over Yeosu-Gwangyang Industrial Area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Kim, So-Young;Seo, Seok-Jun;Park, Hyun-Ju;Son, Jung-Seok;Park, Ji-Hoon;Kim, Jong-Choo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3호
    • /
    • pp.139-1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O_3$ and its precursors based on data taken at the southern Korean coast. The average $O_3$ concentration in the high altitude was found to range from 32.3 to 90.8 ppb with a maximum concentration of 132 ppb. The ambient $O_3$ concentration was high at altitudes of 1000 m and 500 m above the southern sea near Gwangyang Bay and an industrial area containing emission sources.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NO_y$ and CO were 6.7-24.2 ppb and 0.152-0.487 ppm, respectively. During the aerial measurement period,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O_3$ was observed on June 1. The aerial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ozone concentration was observed to be 132 ppb in the high altitude the southernmost part of Yeosu. The measurement of vertical wind fields in the air indicated that $O_3$ formed in the southernmost part of Yeosu was transported by strong southwesterly winds to the northeast of Gwangyang Bay. This led to a ground $O_3$ concentration of over 100 ppb in Jinju, the northeastern part of Gwangyang Bay. On August 9, when the maximum $O_3$ concentration was 50 ppb, the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O_3$ concentrations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days. In particular, low $NO_2$ and TVOC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oth of which serve to form $O_3$ in photochemical reactions.

광양만 북동부 해역의 해류관측 (Observations of Current in the Northeastern Gwangyang Bay)

  • 이재철;김정창;박명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36-142
    • /
    • 2006
  •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노량수도와 그 서쪽 해역에서 1-2개월 동안 6회에 걸쳐 관측한 유속자료를 분석하여 광양만 북동부의 순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노량수도에서는 광양만에서 진주만 쪽으로 평균 약 9 cm/s의 동향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며 대도 북쪽의 좁은 수로를 통하여 평균 6-13 cm/s의 서향류가 관측되었다. 그러므로 관측결과는 광양만 북동부 해역에 대도를 중심으로 밀도 분포의 영향을 받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순환은 여름철에 가장 강하고 갈수기인 겨울철에는 극히 약해질 수 있다. 바람의 영향이 순환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서 유속이 강할 때에는 포착되지 않은 반면에 유속이 비교적 약한 지역이나 겨울철에는 남해안에 평행한 풍속과의 상관성이 높아 남해안 지역의 에크만 수송이 만 내의 순환에 영향을 주는 비국지적 반응에 해당된다.

광양만 퇴적이력을 고려한 묘도-광양간 현수교 충돌방지공 하부 지반보강 (Ground Improvement under Ship Collision Protection of Myodo-Gangyang Suspension Bridge Concerning of Sedimental Condition in Gyangyang Bay)

  • 장용채;윤태섭;김경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660-671
    • /
    • 2008
  • The suspension bridge between Myodo and Gwangyang is located in the main navigation channel to Gwangyang Harbor. So, there is need for the collision protection against large vessels. As ship collision protection, artificial island with concrete block quay wall is planned. The risk analysis and non-linear numerical analysis are introduced to consider the ship collision effects. In the Gwangyang bay area, there are some different sedimental conditions in clayey stratums. For a desirable design, we classify into four zones and 2 layers in each zone, and then determine suitable soil properties considering these zones. As a ground improvement under artificial island, DCM and SCP methods are Planned.

  • PDF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The Summer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u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유옥환;이우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14-28
    • /
    • 2003
  • 2001년 6월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이었고, 평균 서식밀도는 1,286 개체/$m^2$였다.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고,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Tharyx sp.(44.8%), Lumbrineris longifolia(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6.5%),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4.5%),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3.6%), Sigambra tentaculata(1.7%)등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 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군집분석결과 7개 정점군으로 구분될 수 있었으며, 광양만의 서부해역은 환경교란에 의해 종조성에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저서생물군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Feasibility of seed bank for restoration of salt marsh: a case study around the Gwangyang Bay, southern Korea

  • Lee, Seon-Mi;Cho, Yong-Chan;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2호
    • /
    • pp.123-129
    • /
    • 2012
  • Salt marsh is an important transitional zone among terrestrial, riverine, and marine ecosystems and is a productive habitat that interacts extensively with adjacent landscape elements of estuarine and coastal ecosystems. Nowadays, in addition to various human activities, a variety of natural processes induce changes in salt marsh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to restore disturbed salt marshes and to propose their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seed banks. The study area is a prepared area for the Gwangyang Container Port located in the southern Korea. This area was formed by accumulating mud soils dredged from the bottom of the forward sea. This land was created in a serial process of preparing the Gwangyang container port and the salt marsh was passively restored by seeds buried in mud soil dredged from seabed. As a result of stand ordination based on veget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land, stand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olerance to salinity in the order of $Suaeda$ $maritima$, $Salicornia$ $europaea$,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on the Axis 1. Landscape structure of the projected area was analyzed as well. Edges of the projected area were divided from the marginal waterway by the dike. Four types of vegetation appeared on the dike: $Alnus$ $firma$ plantation,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Lespedeza$ $cyrtobotrya$ plantation, and grassland. In the more internal areas, two types of vegetation sequences appeared: $Aster$ $tripolium$ community-$Suaeda$ $glauca$ community-$Salicornia$ $europaea$ community sequence and $Aster$ $tripolium$ community-$Suaeda$ $maritima$ community-$S.$ $europaea$ community sequence. Mixed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H' = 0.86) and $S.$ $europaea$ community showed the lowest (H' = 0.0). Evenness is the highest in Mixed community (J' = 2.26) and the lowest in $S.$ $maritime-S.$ $europaea$ community (J' = 0.0). Several plant communitie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on the land created by mud soil dredged from the bottom of Gwangyang Bay. Moreover, community diversity in this area approached a similar level with those from other studies involving natural salt marshes. Therefore, restoration effect based on community diversity obtained in our study can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achievement. In this respect, although most salt marshes in Korea and other places worldwide have been destroyed or disturbed by excessive land use, feasibility of seed bank as a restoration tool is greatly expected.

광양만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의 서식처 이동에 의한 먹이원 변동 파악을 위한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 적용 (Isotopic Evidence for Ontogenetic Shift in Food Resource Utilization during the Migration of the Slipmouth Leiognathus nuchalis in Gwangyang Bay, Korea)

  • 최보형;조현빈;박기연;곽인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4-90
    • /
    • 2020
  • 섬진강 하구와 광양만에 서식하는 주둥치의 서식처 및 섭식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둥치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δ13C) 값은 염분이 30 psu보다 낮은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개체에서 광양만에 비해 낮은 값이 나타났으며, 이는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주둥치가 해당 정점에서 섭식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채집된 주둥치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 (δ15N) 값은 정점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이들이 각 서식처에서 유사한 영양위치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주둥치는 만 전체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광염성 어류의 특성을 잘 대변하는 것을 보였는데, 상대적으로 소형개체들이 하구역에서 채집되는 반면 대형 개체들이 광양만에 분포하여 크기에 따른 서식처 분리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둥치의 δ13C 값의 서식처 간 차이와 δ15N 값의 일관성은 섬진강 하구에서 유어기에 주로 동물플랑크톤을 섭이하는 반면, 광양만에서 성어기에 저서무척추동물을 섭이하는 육식성 섭식 특성과 함께 이동 중 서식환경에 따른 먹이자원의 이용에서의 변이를 잘 나타내어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광염성 어류의 서식처 특성과 먹이 이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의 유용성을 잘 보여주었다.

지화학적 자료에 근거한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저서환경 (Characteristics of Surficial Sediment and Benthic Environments Based on Geochemical Data in Gwangyang Bay, Korea)

  • 현상민;팽우현;이태희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93-102
    • /
    • 2004
  •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이해와 저서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총 110개의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상은 다섯 개의 퇴적상(니질, 사니질, 사질, 니사질 및 역사질을 포함한 니질 퇴적상)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니질 퇴적상이 광양만의 주된 퇴적상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C/N 및 C/S에 근거한 저서환경은 유기물중의 C/S비가 일부 시료에서 2.8이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일부 지역에서는 무산소 환경상태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퇴적물중 황화수소 함량은 최고 367 ppm에서 최소 약 1 ppm(평균 92 ppm)으로 나타났고 지역에 따라 심한 변동을 보이고 있다. 산화환원에 민감한 원소들(Mn, V, Mo, Cr)간의 상관관계는 조사지역 중 묘도 안쪽 지역에서 강한 양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높은 TOC함량과 높은 황화수소 함량 및 산화환원에 민감한 원소의 높은 농축이 묘도 안쪽의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묘도안쪽 지역이 부분적으로 무산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잠재적으로 오염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