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yang Bay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1초

광양만 북동부 해역의 해류관측 (Observations of Current in the Northeastern Gwangyang Bay)

  • 이재철;김정창;박명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36-142
    • /
    • 2006
  •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노량수도와 그 서쪽 해역에서 1-2개월 동안 6회에 걸쳐 관측한 유속자료를 분석하여 광양만 북동부의 순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노량수도에서는 광양만에서 진주만 쪽으로 평균 약 9 cm/s의 동향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며 대도 북쪽의 좁은 수로를 통하여 평균 6-13 cm/s의 서향류가 관측되었다. 그러므로 관측결과는 광양만 북동부 해역에 대도를 중심으로 밀도 분포의 영향을 받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순환은 여름철에 가장 강하고 갈수기인 겨울철에는 극히 약해질 수 있다. 바람의 영향이 순환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서 유속이 강할 때에는 포착되지 않은 반면에 유속이 비교적 약한 지역이나 겨울철에는 남해안에 평행한 풍속과의 상관성이 높아 남해안 지역의 에크만 수송이 만 내의 순환에 영향을 주는 비국지적 반응에 해당된다.

임해지역의 개발이 기상장에 미치는 영향예측 (Numerical Simulation of Effect on Atmospheric Flow Field by Development of Coastal Area)

  • 이상득;문태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919-928
    • /
    • 2006
  • The present study applied an atmospheric flow field model in Gwangyang-Bay which can predict local sea/land breezes formed in a complex terrain lot the development of a model that can predict short term concentration of air pollution. Estimated values from the conduct of the atmospheric flow field were used to evaluate and compare with observation data of the meteorological stations in Yeosu and the Yeosu airport, and the effect of micrometeorology of surround region by the coastal area reclamation was predicted by using the estimated values, Simulation results, a nighttime is appeared plainly land breezes of the Gwangyang-bay direction according to a mountain wind that formed in the Mt. of Baekwooun, Mt. of Youngchui. Land winds is formed clockwise circulation in the north, clockwise reverse direction in the south with Gangyang-bay as the center. Compared with model and observation value, Temperature is tend to appeared some highly simulation value in the night, observation value in the daytime in two sites all, but it is veil accorded generally, the pattern of one period can know very the similarity. And also,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is some appeared the error of observation value and calculation results in crossing time of the land wind and sea land, it can see that reproducibility is generally good, is very appeared the change land wind in the nighttime, the change of sea wind in the daytime. And also, according to change of the utilization coefficient of soil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with Gwangyang-Bay area as the center. Temperature after development was high $0.55\sim0.67^{\circ}C$ in the 14 hoots, also was tend to appear lowly $0.10\sim0.22^{\circ}C$ in the 02 hours, the change of u, v component is comparatively tend to reduced sea wind and land wind, it is affected ascending air current and frictional power of the earth surface according to inequality heating of the generation of earth surface.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을 이용한 보구치(Pennahia argentata) 계통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Using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of Silver Croaker(Pennahia argentata) Mitochondria DNA)

  • 박재원;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65-274
    • /
    • 2020
  • 보구치는 난류성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해양 저층에 주로 서식하는 어종이다. 광양만에 서식하는 보구치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를 발굴하고 해양 어류종에서의 계통유전학적인 위치를 분석하였다. 발굴된 미토콘드리아 DNA 내 605 bp COI 시컨스의 다중배열 결과 광양만 보구치들에서는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98~100%). 하지만 광양만 내해와 외해의 어획지점에 따라 염기서열 변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외해지점의 보구치들에서 COI 내 염기서열 변이가 높게 나타났다(43.2~70.3%). 나아가 13종 어류의 COI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광양만 보구치는 타이완에서 보고된 보구치와 하나의 계통군 (clade)으로 묶이고 진화적 거리는 0.036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어(M. miiuy)와 대두이석태(Pennahia Macrocephalus)에 속한 어종과 진화적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0.041~0.048).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산 보구치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정보를 제공함으로 연안환경에 따른 어류자원 모니터링 및 종다양성 관리에 주요한 유전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광양만 일대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 형성시기 (Properties of Deposits and Geomorphic Formative Ages on Marine Terraces in Gwangyang Bay, South Sea of Korea)

  • 이광률;박충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6-360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안단구의 형성과정을 종합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연구가 거의 드문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 일대 해안을 대상으로, 해안단구의 분포, 퇴적층의 층서 및 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OSL 절대연대 자료를 기초로 해안단구의 형성시기를 추정하였다. 해안단구 퇴적물을 포함하여 광양만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형 구성물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형 사이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광양만의 지형적 폐쇄성에 기인한 구성물질의 재순환 및 혼합의 결과로 판단된다. 광양만 일대 해안에는 규모가 작은 3단 이거 해안단구면이 발견된다. 고도가 가장 낮은 1면은 해발고도 $10{\sim}13m$에 분포하며, OSL 연대측정 및 퇴적물의 특성으로 보아, MIS 5a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 일대의 융기율은 0.141m/ka로 계산되며, 이를 적용하면, 해안단구 2면(18-22m)은 MIS 5e, 3면($27{\sim}32m$)은 MIS 7시기의 후반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후반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에서 지반 융기 및 해안단구의 발달 과정은 거의 유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남해 광양만 퇴적물에서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수직적 군집 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Korea)

  • 김소영;문창호;조현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0-297
    • /
    • 2003
  • To describe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bottom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three short-cor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gravity core sampler on 24 August 2001: St. 1 core (27.5 cm)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bay, St. 14 core (30.5 cm) in the southwestern part, and St. 16 core (25.9 cm) near Yeosu Sound. Total cyst densities generally decreased from the top of the sediment samples through the bottom. The highest cyst densities were observed at 2-3 cm in St. 1 core, 4-5 cm in St. 14 core, and 0-1 cm in St. 16 core respectavely. Living cysts were observed till the bottom of the sediment samples. The increas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cyst proportion may indicate that the eutrophication process was recently escalated in the study area.

하계 광양만 주변 해역의 새우조망 어획조사 및 수산자원 음향조사 (Biomass Estimation with a Hydroacoustic Survey and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in Gwangyanh Bay in Summer)

  • 한인우;오우석;박근창;윤은아;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88-297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sampling inspection method and acoustic technique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useful organisms and non-commercial fish species distributed in the water of Gwangyang Bay, and evaluated the marine resources. In June, 2018, 38 species were caught in the shrimp beam trawl, comprising 3,594 marine organisms with a total weight was 65,415.3g. The acoustic survey showed that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le^2$) for the waters of Gwangyang Bay was highest in Transect 15 ($1,655.5m^2/n.mile^2$) and lowest in Transect 1 ($1.3m^2/n.mile^2$). The biomass was estimated to be 2,634.9 tons in the acoustic survey. This indicates that the acoustic survey method detected more fish shoals than the sampling inspection method.

남해안 광양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별 분포 특성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iobenthos at Gwangyang Bay, Korea)

  • 이희갑;강태욱;노현수;김동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3호
    • /
    • pp.400-421
    • /
    • 2019
  • 본 연구는 남해안의 대표 만 중에 하나인 광양만에서 저서생태계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2010 ~ 2011년까지 20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중 선충류와 저서성 요각류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2011년 여름에 만 내측 정점 10에서 가장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냈으며($13ind.10m^{-2}$), 2011년 겨울에 만 내측 정점 4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다($3,109ind.10m^{-2}$). 서식밀도의 계절적 변동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조성은 계절별로 환경요인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 분류군인 저서성 요각류의 서식밀도는 여름철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 및 평균 입도와 음의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05, p<0.01), 선충류의 서식밀도는 겨울철 평균 입도와 저층 수온을 제외하고 환경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형저서동물의 일반적인 서식밀도 변동 경향은 겨울철 낮은 수온에 의해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내다 수온이 높아지는 봄철과 여름철에 증가하고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과는 다르게 광양만은 일정한 경향 없이 불규칙한 변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계절적 변동 경향으로 미루어 광양만의 저서생태계는 자연적인 환경요인 보다는 인위적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물류중심지 광양항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Gwangyang Port as Logistics Hub)

  • 이광배;모수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3-91
    • /
    • 2005
  • The goal of the project on developing Korea as the logistics hub of Northeast Asia is to develop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as international logistics centers by promoting and attracting more warehouses. As is well known, there is intense competition among ports located in major economic blocs to become the regional logistics hub. Gwangyang is second to none in terms of being favo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Northeast Asia. Gwangyang Port, however, lacked in SOC construction and faced the poor government support politics hub of Northeast Asia. They are i) expanding the logistics infrastructuressuch as expressway and railroads between Yeosu Airport and Gwangyang Port, ii) Setting up new port hinterland and industrial complex in the vicinity of Gwangyang Port iii) securing high value-added fixed cargo traffic, and iv) improving laws and institutions.

  • PDF

광양만 권역에서의 고농도 오존 사례에 대한 기상 및 대기질 분석 (The Analysis of Atmospheric Flow Field and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High Level Ozone Case on Gwangyang Bay)

  • 최현정;이화운;임헌호;송재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7호
    • /
    • pp.743-753
    • /
    • 2008
  • Gwangyang Bay is often severely confronted by photochemical pollutants due to its location and dense emissions. It is located in a basin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s crossed by a remarkable cluster of hills and mountains of a small horizontal scale that forms a channel. Clearly, the air flow fiel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flow pattern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ispersion of pollutants emitted. In these situations, the distribution of the ozone concentration is extremely complicated because of the superposition of circulations of the air flow fields, especially in complex coastal reg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the high level ozone on Gwangyang Bay particularly during the episode day (for 5 years). Among these days, A high level ozone was induced by the development of a sea/land breeze local circulation system, as well as by an anabatic/catabatic flow from the mountains and valley with weakening of the synoptic wind. High level ozone distribution pattern(6 types) on Gwangyang bay is analyzed and the comparison of each pattern reveals substantial localized differences in intensity and distribution of ozone concentration from the site coherence and UPA analysis of ozone concentration. The observed VOC concentration had much difference in concentrations and daily variations between Jungdong and Samil.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동림;현상민;이태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35-43
    • /
    • 2003
  • 수심도, 표층퇴적물. 그리고 탄성파 자료들을 이용하여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와 후기 제4기 퇴적층의 발달양상을 연구하였다. 최근 30년 동안 광양만의 해안선은 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해안지역 매립으로 급격히 변하였으며 광양만 면적은 현재 25%정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광양만내 항로지역의 해저퇴적물 준설로 인해 해저지형이 변화하였다. 표층퇴적물은 광양만 서측지역에 뻘질퇴적물이 분포하는 반면, 모래질뻘 퇴적물은 동측지역에 분포한다.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광양만의 퇴적층은 기반암위에 2개의 퇴적층서, Unit I과 II로 구성되며, 이들 퇴적층서는 중간반사면(reflector-M)에 의해 부정합적으로 경계된다. 하부의 Unit II층서는 광양만의 수로지역에 집중 분포하며, 저해수면 동안 쌓인 하천기원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상부 Unit I층서는 섬진강하구에서 여수해협을 향해 전진하는 퇴적양상을 보인다. 이 층은 빙기 이후 흘로세 고해수준 동안 섬진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델타환경을 이루면서 형성된 퇴적층서로 해석된다. 특히 천부가스층이 퇴적층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일부지역에서는 준설로 인해 해저면에 노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