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ju Stream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상류수계 영산강 하상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오염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Upper Yeongsan River System)

  • 오강호;김주용;고영구;윤석태;서구원;박배영;신상은;김해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20-527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upper Yeongsan River drainage system, sediment samples from the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Hwangryong river, Gwangju and Jiseok strea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size and metal and organic carbon contents. The metal contents in the sediments are mainly dependent on organic matter contents in the domestic sewag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and geology around the streams. Enrichment factor (EF) and index of geoaccumulation (Igeo) representing the degree of metal contamination in the sediments are relatively low in the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main stream, Hwangryong river and Jiseok stream. However, those of Gwangju stream show the EF maximum values of P=8.30, Cu=5.55, Zn=14.29 and Pb=7.45 and the Igeo maximum values of P=3.58, Cu=4.43, Zn=3.22 and Pb=1.59.

머신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주천 수질 분석에 대한 예측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for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Gwangju Stream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 정유정;이정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31-538
    • /
    • 2024
  • 수질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광역시 도시 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한 수질 지표는 수생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XGBoost와 LightGBM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광주천의 중요한 지점인 하류 평촌교(PyeongchonBr)와 상류 방학교(BangHakBr_Gwangjucheon1) 수계의 수질 검사 항목 중 통계적 검증 결과 유의미한 항목인 질소(TN), 질산염(NO3), 암모니아 양(NH3) 세 가지 수질 지표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회귀 모델 평가 지표인 RMSE를 이용하여 예측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수계별 개별적인 모델을 구현하여 교차 검증 후 성능을 비교한 결과, XGBoost 모델이 뛰어난 예측 능력을 보였다

Effect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on Downstream Water Quality and Their Comparisons with Upstream Water Quality in Major Korean Watersheds

  • Jang, Seong-Hui;Kim, Hyun-Mac;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2권4호
    • /
    • pp.465-475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spatial and temporal effect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on the water quality of downstreams (Tan Stream, TS; Daemyeong Stream, DS; Gwangju Stream, GS, and Kap Stream, KS) located in four major watersheds along with impact analysis of nutrient enrichments on the WWTPs during 2004~2008. In the four streams, seasonal means of BOD, COD, TN, and TP were significantly (p<0.01) greater in the downstreams ($D_s$) than the upstreams ($U_s$). The removal effect of nutrients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the WWTPs was much less than the BOD, indicating a greater nutrient impact on the downstreams. Seasonal dilution of organic matter, based on BOD, during the summer monsoon of July~September was most pronounced in the downstreams of all four watersheds. However, mean TN in the downstreams during the monsoon varied little in all four streams. Regression analysis of TN in the downstreams against TN from the WWTPs showed that in the TS, and DS regression slopes in the upstreams were similar to the slopes of downstream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S (p<0.001) and KS (p<0.01). Tan-Stream WWTP showed low removal efficiency of BOD and COD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nutrients, whereas, two WWTPs of Gwangju and Kap Stream had low removal effects in TN and TP. Regression analysis of TN and BOD in the downstreams showed that they was closely related (p<0.01) with stream water volume only in the GS. Our data analysis suggests that greater treatment efficiencies of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the WWTPs may improve the downstream water quality.

광주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n Geological Groups of Stream Sediments in the Gwangju Area)

  • 김종균;박영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4호
    • /
    • pp.481-492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에 대해 규명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 104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다. 화학분석을 위한 시료는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고,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해,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와 기존 암석에 대한 연구에서 얻어진 암석화학적인 특성과의 비교를 위해, 선캠브리아기 화강편마암 지역, 쥬라기 화강암 지역, 백악기 화순안산암 지역으로 분리하였다 광주지역 하상퇴적물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51.89\~70.63\;wt.\%,\;Al_2O-3\;12.91\~21.95\;wt.\%,\;Fe_2O_3\;3.22\~9.89\;wt.\%,\;K_2O\;1.85\~4.49\;wt.\%,\;MgO\;0.68\~2.90\;wt.\%,\;Na_2O\;0.48\~2.34\;wt.\%,\;CaO\;0.42\~6.72\;wt.\%,\;TiO_2\;0.53\~l.32\;wt.\%,\;P_2O_5\;0.06~0.51\;wt.\%\;and\;MnO\;0.05\~0.69\;wt.\%.$이다. 하상퇴적물과 암석에 대한 AMF 삼각도에서, 암석은 칼크-알칼리계열에 도시되는데 비하여, 하상퇴적물은 솔레아이트 계열과 칼크-알칼리계열의 경계부위에 도시된다. 이는 $Fe_2O_3$ 함량이 암석에서보다 하상퇴적물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iO_2$에 대한 $K_2O+Na_2O$의 비교그림에서, 하상퇴적물은 암석에서와 같이 subalkaline 계열에 점시된다. 하상퇴적물의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 원소 함량은 $Ba 590\~2170ppm$, Be$1\~2.4$ppm, Cu $13\~179ppm$, Nb $20\~34ppm$, Ni$10\~50ppm$, Pb $17\~30$ppm, Sr $70\~1025$ ppm, V$42\~135$ ppm, Zr$45\~171$ ppm, Li$19\~77$ppm, Co$4.3\~19.3$ppm, Cr$28\~131$ppm, Cs$3.1\~17.6$ ppm, Hf $5\~27.6$ ppm, Rb $388\~202$ ppm, Sb$0.2\~l.2$ ppm, Sc$6.4\~17$ ppm, Zn $47\~389$ ppm, Pa $8.8\~68.8$ ppm, Ce$62\~272$ppm, Eu$1\~2.7$ppm and Yb$0.9\~6$ppm의 범위를 보인다.

광주천의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의 동태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Periphyton in Gwangju Stream)

  • 조혜경;정명화;김규만;심성순;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69-78
    • /
    • 2010
  • 광주천의 5개 지점에서 2003년 4월부터 2004년 2월 까지 부유 및 부착 조류를 조사한 결과 총 8강 19목 6아목 35과 4아과 79속 274종이 동정되었다. 군집 구조는 규조류가 절대우점하는 가운데, 녹조류와 남조류 등이 포함된 다양한 종조성을 나타냈다. 조사기간 동안 부유조류는 방림교정점과 양동시장정점에서 총 137종이 채집되어 가장 다양한 부유조류 분포를 나타냈고, 유촌교정점에서 118종이 출현하였으며 동산타워정점에서는 50종이, 증심천정점에서는 43종이 출현하였다. 월별 출현종 변화는 양동시장정점에서 가장 컸고 동산타워정점에서 가장 작았으며 강우가 출현종 변이의 큰 요인이었다. 부착조류도 규조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광주천 조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에서 조류의 총 개체수와 성관성을 가장 크게 보인 요소는 클로로필 a (평균: R=0.795)의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 성장에 중요한 영양염류인 TN과 TP도 양동시장정점에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상요인으로는 7일 전 강우와 총 개체수 사이에 비교적 높은 상관성이 나타났는데 광주천의 상류인 동산타워정점에서 R=0.810의 상관도를 기록하였다. 기온과 습도는 거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BOD와 COD, DO, pH의 경우도 미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총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지점별로 살펴 보면, 동산타워정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사시점의 7일 전 강우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그 영향력이 감소되었다. 클로로필 a의 농도와 개체수의 상관성은 개체수가 점차로 증가하는 하류에서 그 상관성이 높았으며, 이 두 가지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pH, DO, BOD, COD, SS, TN, TP 등은 모두 가장 하류인 유촌교정점에서보다 양동시장정점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무등산 도립공원의 지질과 경관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 안건상
    • 암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21
    • /
    • 2010
  •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담양, 화순에 걸쳐있으며, 형상이 둥글고 부드러워 넉넉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무등산은 동경 $126^{\circ}06'-127^{\circ}01'$, 북위 $35^{\circ}06'-35^{\circ}10'$에 위치하며, 최고봉인 천왕봉의 높이는 1,187 m이다. 무등산 서측은 광주광역시가 자리하는 평야지대이며, 동측은 좁은 분지를 가진 산악지대이다. 무등산 북쪽의 하천을 따라,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등의 유명한 정자들이 분포한다. 무등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광주함몰대의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다. 무등산의 정상부는 암회색을 띠는 석영안산암이 분포하며, 주상절리를 이루는 이 암석의 K-Ar 전암연령은 $48.1{\pm}1.7Ma$이다. 북측의 원효사 부근은 미문상화강암이, 남서측은 유문암이 분포하여 풍화양상이 매우 다르다. 무등산의 주능선은 남북방향으로 북봉에서 천왕봉, 장불재를 거쳐 안양산으로 이어진다. 무등산의 지형은 크게 화산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능선을 이루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암은 화산지형인 주상절리이며, 남서부의 새인봉과 마집봉에는 산지지형인 암석단애와 암석돔(새인봉), 판상절리가 발달한다. 무등산에는 산지지형 중 침식지형에 해당하는 세 가지 형태의 풍화동굴이 발달하는데, 이들은 각각 원암의 특성을 반영한다. 무등산에 넓게 발달한 네 지역의 너덜은 산지지형인 퇴적지형에 속한다. 무등산은 암괴류의 발달로 폭포의 발달은 미약하나, 용천이 잘 발달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도심 하천의 이화학적 환경과 수생식물 분포 비교연구 (Comparison both Physicochemical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Hydrophytes in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욱;유윤미;황인천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20-128
    • /
    • 2005
  •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영산강 수계 중 광주시 권역에서 선택한 총 14개 조사지역에서 수질의 이화학적 환경과 수생식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전체 수생식물은 35과 68속 85종 9변종으로 총 9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수계별로 수질의 이화학적 환경에 따라 오염지역과 비 오염지역을 구분하고 수생식물 분포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장 오염이 심한 것으로 여겨지는 광주천의 하류인 유덕동 일대에서 오염된 곳에 주로 분포하는 흰 꽃여뀌와 소리쟁이 등이 우점하였으며, 침수식물과 부엽 식물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황룡강 일대와 영산강 상부지역 일대는 비교적 수질이 양호하여 비오염지역으로 판단되며, 이 지역에서 생육하는 달뿌리풀, 고마리, 물억새 등이 분포하였다. 광주시를 통과하는 동안 생활하수가 많이 유입되는 광주천 하류는 수생식물이 생육하기 힘든 수질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수질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광역시 풍암매립지 주변 하상퇴적물과 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and Waters around the Pungam Landfill in Gwangju City, Korea)

  • 박천영;신인현;배종필;안건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0-302
    • /
    • 2003
  • 광주광역시의 풍암매립지 주변에 분포하는 하상퇴적물, 주변토양, 침출수의 배수관 내에서 채취한 슬러지 그리고 물(하천수, 침출수,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하상퇴적물에서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규칙적인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하상퇴적물에서 가장 풍부하게 산출되는 주원소는 Fe(7.08wt.%)이다. 하상퇴적물 GJ-23, 34는 중금속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지만, 심각한 환경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는 아니다. 주변 토양 중에서 침출수 저장고와 인접한 토양(GJ-8)에서의 철 함량은 35.1wt.%, 비소 함량은 38.8ppm으로 가장 높다. 침출수구에서 채취한 슬러지 시료 GJ-7의 Cr함량은 .45.6ppm으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훨씬 초과한다. 침출수는 총용존물질(2210, 2470mg/L)과 전기전도도(468, 530ms/cm)가 높고, 양이온에서 Na, K가, 음이온에서 HCO$_3$가 우세하다. 침출수인 PK-3은 Cl함량이 비교적 높아 파이퍼도에서 Na-Cl 영역에 점시된다. 지하수와 하천수는 질산성질소의 함량이 음용수 기준을 훨씬 넘어서 식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복호 조류군집의 다녀간 변화에 관한연구 (A Study on Yearly Variation of Algae Community in Dongbok Reservoir)

  • 정진;조영관;고창옥;김운중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72
    • /
    • 2001
  • The algae in Dongbok reservoir consists of 6 class, 14 orders, 30 families, 63 genera, 145 species, 13 varieties, and 1 formula in 159 taxa during jan. 1995 to Dec. 1999. Species numbers according to major taxa were appeared as Chlorophyceae 80 taxa, Bacillariophyceae 28 taxa, and Cyanophyceae 17 taxa. The ratio of total standing crops were Bacillariopyceae 44%, Cyanophyceae 30%, and Chlorophyceae 225. Various species remarkably appeared during fall to early winter comparing with other seasons. Stnading crops of algae decreased from 1.1~3.7 million units/$\ell$ in 1995 to below 1.0 million n\\units/$\ell$ ever after 1996. Species number was very variable as 9~37 in down stram comparing with 12~34 in middle stream, 15~24 in upper stream.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1.1~4.0 in 1995, 1.5~3.5 in 1996~1997, 2.1~3.6 in 1998, and 0.3~3.4 in 1999. Dominant indices were 0.35~0.97 in 1995, 0.44~0.86 in 1996, 0.43~0.89 in 1997, 0.39~0.80 in 1998, and 0.45~0.97 in 1999.

  • PDF

광주지역 주요하천에서 TOC 특성과 수질오염지표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TOC and Water Pollution Index in Major Streams of Gwangju)

  • 양윤철;이대행;이경석;안상수;송형명;이세행;윤상훈;김선정;전홍대;조영관;서광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3-210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placement of COD to TOC, which is more accurate and reliable in analysis, as the water quality pollution index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the correlations for organic matter, suspended solids and nutrient materials during 2012 to 2015. The oxidation rates were compared by calculating the values of BOD-C/TOC & COD-C/TOC. The average value of TOC was 3.4(1.1 ~ 8.0) mg/L at 14 sites during the period. The ratios of BOD-C/TOC and COD-C/TOC, that mean the resolvability amounts among all carbon materials, were 28.8% and 62.7%,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to COD at all sites was 0.718 (p<0.01), the highest value in comparing all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to COD at Gwangju stream was 0.753 (p<0.01), the highest compare to the values at other riv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to COD was 0.757 (p<0.01) at all sites in the range of TP-III ($0.1{\leq}TP$) and the value was 0.762 (p<0.01) in the range of TN-II ($2.0{\leq}TN$<3.0). As a result, TOC could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index of organic matter instead of C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