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mi Industrial Complex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구미공단 형성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1969-73년 구미공단 제1단지 조성과정을 사례로 (A Study on the Multi-scalar Processes of Gumi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1969-1973)

  • 황진태;박배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7
    • /
    • 2014
  • 본 논문은 1960년대 말과 70년대 초기의 구미공단 조성과정을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흔히 한국의 발전주의 시기 산업화 과정을 "발전주의 국가론"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국가 스케일의 정치-사회-경제적 과정에 주목하거나, 혹은 국가관료의 계획합리성에 입각하여 설명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전략관계적 국가론과 다중스케일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이러한 관점을 비판하면서, 국가 안에서, 혹은 국가를 통해서, 작동하는 다양한 사회세력들이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에서 복합적으로 서로 경합하고 타협하면서 산업화와 관련된 국가의 행위들이 결정되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견해를 구미공단이 조성되던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힌다. 구미공단 조성과정은 전자산업을 육성하려는 국가관료들의 계획합리성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박정희 대통령의 고향이라는 정치적 이유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국가의 정치지도자와 관료들의 역할뿐만 아니라, 구미지역에 장소의존적 이해를 가진 로컬 행위자들과 한국과 일본을 오가면서 활동하던 재일교포 사업가, 지역과 국가 스케일에 모두 연결된 지역구 국회의원 등 다중스케일적 행위자의 역할이 구미공단의 조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었음을 이 논문은 밝힌다.

  • PDF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동인 (Evolution Characteristics and Drivers of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3-320
    • /
    • 2018
  • 본 연구는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기반하여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내 외적 동인을 분석하였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공간적 산업적 영역의 확대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우리나라 대표적인 IT산업 클러스터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의 성장기, 2000년대 중반 이후의 성숙기 그리고 2010년대 중반부터의 성숙정체기로 진화한 이후 쇠퇴기로 들어서고 있다. 이는 기반구축기에서 성장기를 거쳐 성숙기로 진화하기까지 구미국가산업단지에 크게 영향을 미쳤던 국제적 국가적 수준의 외적 동인이 아닌, 대기업의 역외 유출, 중소기업의 미흡한 연구역량 그리고 획기적인 제도적 기반의 미흡과 같은 내적 동인이 중소기업들의 경영상 어려움을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력 강화를 통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재활성화기로 진화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적 차원에서 영세 소기업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 그리고 지원기관의 역할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경제를 이끌어 갈 중견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시켜 이를 지역에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게 하여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지속가능한 혁신 생태계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미공단 불화수소 누출사고 주변 지역 근로자들의 화학물질과민증 유병률 (MCS/IEI Prevalence Rate of Workers Around an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Gumi Industrial Complex)

  • 한혜지;우극현;최성용;전병학;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34-541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rate of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idiopathic environmental intolerance(MCS/IEI) among workers in the Gumi industrial complex around the region of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2012. Materials: We evaluated MCS/IEI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Quick Environmental Exposure and Sensitivity Inventory(QEESI). A total of 535 workers at six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Gumi indus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February to March 2015. After exclusion of incompletely answered questionnaires, 271 were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 rate and proved positive rate of MCS/IEI were 5.9%(16 out of 271) and 3.7%(10 out of 271), respectively. The scores of chemical intolerance, other intolerance, symptom severity and life impact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in females than those of males. In terms of masking index scores, 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p=0.003) than female. The self-reported MCS/IEI prevalence rate, 7.7%, of workers exposed to hydrogen fluoride in 2012 was higher than no-exposure group(5.6%),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815). Conclusions: Although the prevalence rate of MCS/IEI symptoms of workers exposed to hydrogen fluoride gas in 2012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no-exposure group,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y on the exposure group of hydrogen fluoride.

구미국가산업단지의 트리메틸아민 악취모델링 (Odor Modeling of trimethyl amin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 이은주;칸 무수미;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87-199
    • /
    • 2016
  • 구미공단 대규모합성섬유제조업체들의 총괄 점오염원 및 개별 점오염원에 의한 각각의 트리메틸아민 관련 기여도 평가예측을 위하여 CALPUFF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개별 점오염원의 총괄 점오염원에 대한 트리메틸 관련 상대적 기여도를 산출하였다. T사 배출설비 개선 후 총괄 점오염원의 트리메틸아민 배출에 의한 본 연구 CALPUFF 모델링 결과로서 2011년 겨울(1월), 봄(4월)에는 주로 구미 3공단에서, 여름(7월), 가을(10월)에는 주로 구미 1공단에서 트리메틸아민 농도의 최대값이 도출되었다. 한편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는 구미 1공단의 경우에 트리메틸아민 예측 최대값 범위가 매우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구미3공단의 경우는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오히려 트리메틸아민 예측 최대값의 상한치가 더욱 커졌으나 그 상한치를 제외하였을 때는 T사 배출설비 개선 전의 트리메틸아민 측정치의 상한치와 비슷하였다. 이와 같이 T사 배출설비 개선이 공단별 트리메틸아민 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구미 1공단에서는 컸으나 구미 3공단에서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한편 본 연구 CALPUFF 모델링 결과로서 트리메틸아민 농도 예측치는 트리메틸아민 농도의 측정치 범주와 거의 일치하므로 본 연구의 총괄 점오염원에 의한 트리메틸아민 기여도 평가에 대한 유효성을 보여주었다.

국가주도형 산업집적지의 내생적 발전 가능성 - 구미 IT 클러스터를 사례로 - (Putting Seeds of Endogenous Development into the State-led Industrial Cluster : the Case of Gumi IT Cluster in Korea)

  • 이철우;최요섭;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97-410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주도형으로 조성된 대표적인 산업집적지인 구미 IT 클러스터의 내생적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2005년부터 추진되어 온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정책의 미니클러스터 사업에 대하여 심층 고찰한 것이다. 구미 IT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산 학 연 주체들로 구성된 미니클러스터들은 관 주도의 외생적 조직으로 형성되었으나, 점차 자생적 조직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율적인 학습 커뮤니티 조직으로 진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국지적 학습과 지식 공유가 활성화될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국지적 뿌리내림으로 참여기업들뿐만 아니라 지역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성과는 정부주도형으로 형성된 외생적 산업집적지가 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의 산업집적지 활성화 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 결과는 미니클러스터 사업과 같이 자생적인 학습 커뮤니티 조직이 활성화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클러스터 사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 PDF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아세트알데히드 악취모델링 (Odor Modeling of acetaldehyd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 이은주;무하매드 사이드;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22-3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ALPUFF 모델링을 수행하여 구미국가산업단지 공단지역에 악취로 인한 주민의 민원이 빈번한 지역과 아세트알데히드 배출 주요 점오염원인 구미국가산업단지 공단지역 합성섬유제조업체 악취배출시설과의 상관관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CALPUFF 모델링 결과로서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구미공단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최대값이 T사 배출설비 개선 전보다 O ($10^{-5}g/m^3$)에서 O ($10^{-6}g/m^3$)으로 저감되고 겨울(1월)과 봄(4월)에 구미 1공단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개선되어서 구미 3공단에서 자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구미공단 내 최대값이 도출되었다. 또한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도출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구미공단 내 최대값 예측범위는 T사 배출설비 개선 전의 구미공단 내 최대값 예측범위보다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총괄 점오염원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여도 평가 예측을 위한 CALPUFF 모델링 최대값은 '구미대구지역 HAPs 조사연구'의 측정 최대값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에 상호 비교할 수 있는 비슷한 값을 보였고 민원추세와도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총괄 점오염원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여도 평가 예측에 대한 유효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총괄 점오염원에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배출에 의하여 확산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에 대한 T사 점오염원의 상대적 기여도가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개선 전보다 대부분 배 이상 낮아짐이 예측되었다. 반면에 이에 대한 W사 점오염원의 상대적 기여도는 T사 배출설비 개선 후가 T사 배출설비 개선 전보다 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것은 T사 배출설비 개선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W사 점오염원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여도가 커졌음을 의미하였다.

포항과 구미의 대규모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ustrial Areas of Pohang and Gumi Cities)

  • 백성옥;김수현;김미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2호
    • /
    • pp.167-17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emporal,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VOC, and to characterize the VOC concentrations in two large industrial complexes located in Pohang and Gumi cities. Twenty -four hours continuous sampling of selected VOC was made with STS 25 sequential tube samplers and double-bed adsorbent tubes. Air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three hour interval for 7 consecutive days in each site during summer and winter. VOC were determined by thermal desorption coupled with GC/MS. A total of 27 VOCs of environmental concern were determined, including aliphatic, aromatic and halides. Generally. concentrations of toxic VOC were higher in Gumi than Pohang, and VOC levels in industrial areas were typically several-fold higher than those in residential areas. The most abundant VOC appeared to be toluene for both cities. However, chlorinated VOC were higher in Gumi than Pohang, while aromatic VOC were more abundant in Pohang than in Gumi. Two cities showed relatively different variations of VOC concentrations within a day. It is likely that traffic related sources a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VOC in Pohang, and industrial solvents usages are important sources in Gumi.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occurrence and levels of atmospheric VOC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type of industries in each cit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ny control strategies or to establish the priority rankings for VOC in large industrial complexes, the type of industries and the occurrence of VOC in the atmospher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Industrial Crisis Area: Industrial Environment and Crisis Status in Gumi Region)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303
    • /
    • 2019
  • 본 연구는 구미지역을 둘러싼 산업 환경의 변화와 그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의 구미지역의 산업위기 실태를 분석하였다. 구미지역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전환, 모바일기기 및 디스플레이 업종을 비롯한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그리고 삼성과 LG그룹 등 중핵기업의 역외 이전과 같은 국제적 국가적 국지적 차원에서의 환경 변화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한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에 지역 차원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하기 위해 자동차부품, 첨단의료기기 그리고 탄소소재 산업 등의 육성을 통해 산업구조를 다각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구미지역은 여전히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모노컬쳐적이고 대기업 의존적인 산업구조에 지나치게 고착되어 있어 지역산업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지역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다. 기업차원에서는 2010년대 들어 대기업의 역외 이전이 활발해지면서 각종 환경 변화에 대한 대기업의 보호막이 축소되었다. 그 결과 영세한 중소기업들의 위기 요인들이 점차 국가적 국제적 스케일로 확대되고 보다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어 현재의 산업위기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미지역은 산업위기 극복에 있어서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의 강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차원에서 융 복합 기술에 기반한 혁신역량의 향상 및 사업다각화의 실현과 지역차원에서 기업과 산업의 자생적인 공진화를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제도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Forecasting of Stream Qualities at Gumi industrial complex by Winters' Exponential Smoothing

  • Song, Phil-Jun;Um, Hee-Jung;Kim,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9권4호
    • /
    • pp.1133-1140
    • /
    • 2008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of the trend for stream quality in Gumi industrial complex with Winters'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It used the five different monthly time series data such as BOD, COD, TN, TP and EC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6. The data of BOD, COD, TN, TP and EC are analyzed by time series method and forecasted the trends until December 2007. The stream qualities change for the better about BOD, COD, TN and TP, but the stream qualities resulted by EC is still serio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