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um Arabic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복합상분리법에 의한 마이크로캡슐 제조 -젤리강도 및 경화제에 따른 특성변화- (The influence of Jelly strength and Hardening agent on microcapsules by complex coacervation)

  • 김혜림;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9_10호
    • /
    • pp.1172-1177
    • /
    • 2003
  • Microcapsules were prepared by complex coacervation between gelatin and gum arabic. The object of this work is evaluation of the effect of jelly strength, hardening agent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urface morphology and DSC. It was found that the 300bloom jelly strength caused microcapsules' size larger. When the amount of hardening agent increased, the particle mean diameter was larger. The amount of hardening agent was determined to be 10m1 for getting suitable size to finish the fabric.

항균제 및 향료의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항균 . 방향섬유에 관한 연구(1) -항균제/향료의 마이크로캡슐화 - (A Study of Antibacterial and Aromatic Fibers Vsing Microencapsulation of Antibiotics and Perfume (1) -Microencapsulation of Antibiotics/Perfume-)

  • 김호정;박차철;김한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12-518
    • /
    • 1996
  • Microcapsules containing 2, 4, 4'-trichloro-2-hydroxydiphenyl ether and perfumes were prepared by the coacervation using poly (vinyl alcohol) and crosslinking agents. Effects of dispersing agents, core materials, agitating speed and crosslinking agents on microcapsule size were investigated. The mean and deviation of microcapsule diamet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itation speed. The diameters of m;crocapsu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dispering agent concentration at 6, 000 rpm of agitation speed, but it was not changed at 10, 000 rpm. The dispering effect of PVA is better than that of gum arabic. The slight increase in the diameter of microcapsule was observed when the amount of core material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was increased, the diameter of microcapsule was decreased.

  • PDF

ER 브레이크 및 클러치를 이용한 이송 테이블의 위치추적제어 (Position Tracking Control of a Moving Table Using ER Brake/Clutch)

  • 최승복;이호근;김승래;정재천;한문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208-21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ER 브레이크와 ER클러치를 피드백작동기로 사용하여 이송테이블의 위치 추적제어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아라빅 검(arabic gum)계통의 ER유체를 자체조성한 후 전기장에 대한 빙햄(Bingham)모델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다. 빙햄모델에 근거하여 평판형의 ER브레이크와 실린더형의 ER클러치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계단입력(step input)전기장에 따른 출력토오크특성을 통하여 이들 작동기의 동적모델을 얻었다. 이들 작동기와 연계된 이송테이블시스템의 운동지배방정식을 유도한 후 위치추적제어를 위한 슬라이딩모드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어기 설계시 이송해이블의 부하질량 변화에 대한 시스템 불확실성과 마찰력을 고려하여 제어성능의 강건성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제어시스템의 제어영역(control bandwidth)을 주파수 영역에서 고찰한 후 여러 레적에 대한 위치추적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입상활성탄에 의한 합성폐수의 용존유기물질의 새로운 흡착등온 모델 및 운동학적 흡착 연구 (Study of new adsorption isotherm model and kinetic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ynthetic wastewater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 김성현;신성훈;김진혁;우달식;이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029-2035
    • /
    • 2014
  • 본 논문은 입상활성탄에 의해서 합성폐수에서의 용존유기탄소의 흡착평형과 회분식 실험을 통해 흡착성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흡착평형의 새로운 모델식을 제안하였고 이 식을 바탕으로 회분식 실험데이터를 모사하였다. 합성폐수의 유기성분은 Beef extract, Peptone, Humic acid, Tannic acid, Sodium lignin sulfonate, Sodium lauryle sulfate, Arabic gum powder, Arabic acid (polysaccharide), $(NH_4)_2SO_4$, $K_2HPO_4$, $NH_4HCO_3$, $MgSO_4{\cdot}7H_2O$ 등으로 구성되었다. 농도가 낮은 영역 (0~2.5 mg/L)에서는 선형적인 흡착평형을 보여주었고, 농도가 높은 영역 (2.5~6mgl/L)에서는 우호적인 흡착평형을 보여주었다. 사용되어진 생물학적 처리방법에서 나오는 유출수의 합성폐수는 알려진 양으로 준비되어졌다. 흡착평형 모델링은 Freundlich, Langmuir, Sips 및 하이브리드 식을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특히, 선형과 Sips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흡착평형식은 낮은 농도와 높은 농도 역에서 매우 좋은 흡착평형식이었다. 용수 및 폐수처리에 활성탄 흡착에 있어서, 선형식과 Sips식을 합친 새로운 하이브리드 식은 새로운 흡착평형식이 될 수 있었다. 하이브리드 흡착평형식 (선형+Sips)을 이용하여 LDFA 운동학적식을 통하여 다양한 흡착제 양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에서의 실험데이터를 잘 모사할 수 있었다.

더덕 종자의 펠렛팅을 위한 소재 탐색 및 기술개발 (Selec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Seed Pelleting Material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최경구;이윤수;차광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0-133
    • /
    • 2006
  • 더덕 종자의 파종시 산파에 의한 종자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입모 후 잡초 발생에 의한 제초 관리가 어려워 재배 농가에서 어려움이 많아 발아 미세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화 점파 및 멀칭 재배가 가능하고 제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덕 종자 펠렛팅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피복물질을 이용한 펠렛팅 종자의 발아율은 PID처리가 가장 높았으며 Illite, PIT, Diatomite, BT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접착물질은 PVP 처리가 가장 발아율이 높았으며 PVA, XG, CMC, A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펠렛팅 종자의 피복소재별 성형율, 강도는 PID 가 가장 좋았으며, 발아율에 가장 좋은 물리적 특성은 수분 접촉시 split형의 1/2 균열이 생기고 수분 흡수력은 S자형의 흡수 양상을 보였다. 토양함수량에 따른 발아율은 50% 조건에서 PID처리가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수량이 높을수록 펠렛팅 종자의 발아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ER 댐퍼를 이용한 유연구조물의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Flexible Structures Using ER Dampers)

  • 최승복;이재홍
    • 소음진동
    • /
    • 제8권2호
    • /
    • pp.313-32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장 강도에 따라 댐핑력 조율이 가능한 ER댐퍼를 이용하여 유연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수행하였다. 아라빅 검 ER유체를 자체 조성한 후 전단 모드하에서의 빙햄모델을 실험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알맞은 크기의 ER댐퍼를 설계제작하였다. ER댐퍼를 장착한 양단고정형 유연구조물시스템을 구성하고, 제어기 설계를 위한 운동지배 방정식과 경계조건을 도출하였다. 시스템변수중 실제시스템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불확실 변수로 고려하여 슬라이딩모드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정현파와 랜덤가진에 대한 제안된 제어시스템의 우수한 진동제어 효과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Pine Flavor Microencapsulation by Spray Drying

  • Lee, Shin-Jo;Lee, Yang-Bong;Hong, Ji-Hyang;Chung, Jong-Hoon;Kim, Suk-Shin;Lee, Won-Jong;Yoon, Jung-R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47-751
    • /
    • 2005
  • Microencapsulation of pine flavor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ptimum wall material and spray drying condition. ${\beta}$-Cyclodextrin, maltodextrin, and a 3:1 mixture of maltodextrin and gum arabic were evaluated as wall materials. The latter mixture was determined to be the best wall material based on dispersion capacity and flavor yield. Spray drying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a $3^3$ fraction factori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was an inlet air temperature of $175^{\circ}C$, inlet airflow rate of $0.65\;m^3/min$ and atomizing pressure of 180 kPa, which resulted in a 93% flavor yield. The best particle shape observed by SEM was a round globular shape obtained under the above spray drying condition, whereas lower temperatures and higher inlet airflow rates resulted in initial and full collapses, respectively. The round globular shapes remained stable for at least one month.

저융점을 가진 Core 물질을 이용한 내구성 Microcapsule 제조 기술 (The Study of Encapsulation Technique for Microcapsule Using Core Materials with Low Melting Point)

  • 노근에;강유진;김상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3-284
    • /
    • 2001
  • A series of microcapsule were synthesized by using several PCM(Phase Change Material) as a core material and gelatin/arabic gum, melamine/formaldehyde as a shell material. Coacervation technique and in situ polymerization were adopted in synthesizing microcapsules. In the microencapsulation by coacervation, tetradecane and octadecane were used as core materials. In the microencapsulation by situ polymerization tetradecane, pentadecane, hexadecane, heptadecane, octadecane, and nonadecane were used as core material. The synthesized microcapsule was examined to observe the shape of the microcapsule. The particle size analysis was performed by particle size analyzer. The thermal properties(e.g. melting point, heat of melting, crystallization temperature, heat of crystallization, differences between melting point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ere obtained by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stirring rate effect was investigated during the microencapsulation. It was found that with increasing the stirring rate much smaller microcapule was produced. However, this did not necessarily lead to formation of spherical microcapsule.

계면활성제 특성에 따른 나노입자 분산안정도 향상 연구 (The Effects of the Surfactant Type on the Nanofluids Stability)

  • 강치훈;홍성욱;강용태;구준모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5-280
    • /
    • 2008
  • The effects of the surfactant type, i.e., CTAB(cationic), SDS(anionic), and GA(polymeric), on the stability of 0.1 vol.% $Al_2O_3$ nanofluids we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size and zeta potential of nanoparticles in nanofluids with pH,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time were experimentally observed. The nanofluids adding CTAB, which ionizes of the same charge with the bare particle surface, was found to have the best stability regardless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whereas those with SDS became unstable under low surfactant concentration conditions, i.e. lower than the critical micellel concentration(CMC), before the charge reversal occurred. With higher SDS concentration over CMC, they became stable. Gum Arabic, which had been used often to stabilize the nanofluids, was also tested.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surfactants to add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pH and the sign of the bare particle surface charge.

  • PDF

Fluidized bed granulation을 이용한 참기름의 저온 미세캡슐화 (Low-Temperature Microencapsulation of Sesame Oil Using Fluidized Bed Granulation)

  • 정찬민;이민경;이현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1
    • /
    • 2009
  • 식품의 원료인 참기름을 캡슐화하기 위해 전보(11)에서 최적화한 model system을 기초로 피복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3%의 gellan gum을 첨가한 후 유화압력을 20.7 MPa로 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공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여 캡슐화 수율, surface oil, 수분함량, 입자 크기, 캡슐의 저장 안정성 및 제품 응용성을 비교하였다.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top spray dryer에 의한 캡슐보다 상대적으로 surface oil 함량이 낮고 수율이 높으며 입자 크기가 컸다. 제조한 캡슐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flavor retention을 측정한 결과 참기름 원료 자체를 저장한 경우 향기 성분은 1% 이하의 잔존 함량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향기 성분이 소실되었다고 보았으나,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각각 37%, 42%의 향기성분을 보유하여 향기 성분 포집성 및 보존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쇠고기 죽 제품에 응용한 후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참기름 캡슐을 사용한 제품들이 모두 참기름 원료 자체를 사용한 제품보다 풍미의 강도 및 기호도면에서 모두 높았고 특히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을 사용한 제품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참기름 원료와 같이 향기 성분이 소실 되기 쉬운 소재를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저온 미세 캡슐화하면 풍미의 안정성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