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delines of Question-Sett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일부지역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실습행태에 따른 개인방호 및 기구멸균에 관한 인식조사 (Research on Dental Hygienics Students' Perception of Personal Protection and Instrument Disinfection of by Practical Training Type in Some Areas)

  • 가경환;구인영;이명선;문선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3-202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ercept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and instrument sterilization of students who are in attendance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which have bedside training as a regular subject in their curriculum for third-year students. 'Completely True' is the highest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the importance of wearing gloves, mask and medical gown from all groups. 'Completely True' is the highest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for replacement of gloves from all groups. 'Moderate True' is the highest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for replacement of mask from the group without practical training and 'Completely True' is the highest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the importance of hair cleanliness from all groups regardless of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For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of instrument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the group with inside and outside practical training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level. Consequently, the right education for prevention of infection by setting inclusive guidelines to enhance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actice seems continuously necessary.

병원 성인 환자의 사후 간호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col for Nursing Care after Death for Adult Patients in Hospitals)

  • 김기경;김앵도;안경아;천주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1호
    • /
    • pp.75-8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protocol for nursing care after death for adult patients in hospitals. Methods: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to develop a care after death protocol. The preliminary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guidelines,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from groups of experts and clinical nurses. Cont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n=6) and nurses (n=30) in two hospitals. Results: The preliminary protocol recommendations were modified by validation and the open-question analysis results. The final protocol comprised three general recommendations and 43 recommendations in five steps that are verification and notification of a death, personal care of the body, viewing the patient, patient transfer, and documentation and self-care. Conclusion: This study result provides nurses with a consensus information on patient care after death and family support in a hospital setting. This nursing protocol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fter death for adul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can be us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for nurses to accomplish their important role.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 (The Tendency of the Written Test Questions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in National Qualification Test of a Landscape Engineer)

  • 소현수;임의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102
    • /
    • 2015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축적된 국가기술자격검정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조경사 과목의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한 출제기준은 조경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최근 '서양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낮아진 반면에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에서 약 30여 종의 전통수종과 11가지 유형의 전통조경 시설물이 포함되는 전통조경요소가 다루어졌다. 또한 역사서, 지리서, 실학서, 원예서, 문집 및 기타, 정원도 및 회화자료로 분류되는 전통조경 관련 기록물 25개가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원의 조영 시기와 관련된 왕, 별서의 조영자나 소유자, 기록물의 저자, 중국 문인으로 구성되는 인물들이 문항에 등장하였다. 셋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 중에서 선사시대와 발해시대에 해당하는 문제는 없었으며 조선시대에 집중 분포되었다. 이에 조선시대로 한정하여 고찰한 전통공간 사례지는 별서가 가장 많았고, 도성 궁궐, 주택, 누 정 대, 서원 순서였으며, 읍성과 사찰의 사례지는 낙안읍성과 용주사뿐이었다. 넷째, 조선시대 전통공간과 관련하여 사례지의 조성 시기, 조영자, 입지 특성, 건축 구조, 평면 형태, 정원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적 내용 파악이 요구되었다. 또한 한국조경사 교재 9권으로부터 문항에서 추출한 전통공간 사례지의 출현 여부를 검토한 결과 동춘당, 풍암정사, 십청정, 곡수대, 유상대, 심곡서원은 등장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보편성이 결여된 지엽적 사실에 대한 정보를 묻는 문제, 조경사 교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와 대상지가 포함된 문제 등과 같은 한국조경사 기출문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