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Saccharomyces cerevisiae C-2로 제조한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 백승예;남윤규;주정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2-125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helf-life of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After we prepared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by using Gugija, Liriope tuber, nuruk, cooked ric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C-2, changes of its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and $20^{\circ}C$. Ethanol contents was decreased from 8.3% to 7.2% for storage of 9 days at $4^{\circ}C$ and 6 days storage at $20^{\circ}C$, respectively.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was increased from 63.1% to 66.0% after storage for 9 days at $4^{\circ}C$. Total acceptability of 9 days storage makgeolli at $4^{\circ}C$ was still good. In conclusion, shelf-life of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was 9 days at $4^{\circ}C$ in this respect of ethanol contents, antihypertensive action and total acceptability.

PCR-DGGE를 이용한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발효 과정과 저장 기간 중 효모와 세균 균총의 변화 (Changes in Yeast and Bacterial Flora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using PCR-DGGE)

  • 민진홍;남윤규;주정일;정재홍;이종수;김하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16
    • /
    • 2012
  •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미생물 분포와 최적 저장 기간을 확립하기 위하여 먼저 구기자-맥문동 막걸리를 제조한 후 $4^{\circ}C$$20^{\circ}C$에 저장하면서 효모, 총 세균 그리고 젖산균의 생균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가 완료되어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는 동안 효모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30일간 저장한 후에는 약 62%가 감소되었다. $20^{\circ}C$에서 수행한 저장 실험에서는 15일간 저장한 후 초기 효모균수의 87%가 감소하였으며 30일간 저장한 후에는 약 95.2%가 감소되었다.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DGGE 분석에 의해 S. cerevisiae와 미동정의 Saccharomyces sp.가 동정되었는데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Saccharomyces sp.가 더 빨리 사멸하였다. 저장 기간 중 총 세균 수와 젖산균의 변화 양상은 유사하였다. $4^{\circ}C$에서 저장 하였을 때 저장 15일 시점에서 총 세균 수는 약 64%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저장 30일까지 총 세균수의 변화는 크게 없었다.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에는 초기 세균 수가 저장 15일 시점에서 총 세균수의 약 95%가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 저장 30일 시점까지 총 세균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DGGE분석을 통해 발효 개시 시점에서는 W. cibaria가 우점균이었다가 점차 L. fermentum과 P. acidilactici가 증가하여 저장 기간 동안 이들이 우점균으로 존재 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