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substances

검색결과 692건 처리시간 0.032초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on Phytoplankton Growth II. Algal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and Plant Extracts from Submerged Macrophytes

  • Nam, Sung-Jin;Park, Sang-Kyu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20-526
    • /
    • 2007
  • To select submerged macrophytes to suppress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through releasing allelochemicals, we conducted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from patches of submerged macrophytes and with aqueous extracts of those submerged macrophytes. In the first experiment, growth rates of M. aeruginosa decreased as biomass of Myriophyllum spicatum and Hydrilla verticillata increased. In the second experiment, M. aeruginosa showed approximately 50% growth reduction with extracts from M. spicatum and 24% reduction with extracts from Ottelia alismoides. Both M. aeruginosa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and plant extracts suggest that M. spicatum would be the best candidate to reduce M. aeruginosa growth.

4가지 물질 처리에 대한 목이버섯의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연구 (Mycelial growth and density of Auricularia auricula by treatments of four kinds of substances)

  • 장현유;김성규;박순애;임수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22-127
    • /
    • 2006
  • 4가지 물질의 분말을 10배액, 100배액, 500배액, 1000배액, 1500배액, 2000배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목이버섯 균사생장과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nna은 대조구에 비하여 10배액, 100배액, 500배액, 1000배액, 1500배액 2000배액의 6가지 처리 모두가 균사생장과 밀도가 좋았으며 그중 100배액이 가장 좋았다. L-citrulline 분말은 처리농도 500배액이 대조구에 비해 같은 기간 내에 7.86mm/15일이 더 빨리 자랐으며 균사밀도도 좋아 최적 희석배수를 나타내었다. L-carnitine 분말은 100배액은 대조구에 비해 균사생장이 3.4 mm/15일로 촉진되었으며 균사밀도도 촉진되었다. Garcinia cambogia 분말은 대조구에 비해 6가지 희석배수 모두 균사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배액의 가장 진한 희석배수에서 가장 균사생장이 억제되었고 1000배액은 거의 대 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L-citrulline, L-carnitine, Senna, Garcinia cambogia 순으로 균사생장과 균사밀도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다.

  • PDF

뽕나무 화아의 기내배양에 있어서 생장조절물질이 기관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substances on Organ Regeneration from in virto cultured Flower Buds of Mulberry(Morus alba L., Morus bombycis Koidz.))

  • 남혁우;문재유;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88
  • 뽕나무의 화아의 기내배양을 실시할 경우 배지종류 및 생장조절물질의 농도가 각 기관의 생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urashige and Skoog 배지는 Greshoff and Doy 및 Wolter and Skoog 배지에 비하여 자웅화아의 생장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자화의 성장은 2.0ppm BAP 농도에서 양호하였다. 2. 자화 및 웅화의 화아를 가지고 있는 삽수를 7일간 삽목하여 발아시킨 후 배양한 구가 삽목을 하지 않고 직접 치상한 구보다 화아의 발육이 양호하였다. 3. 고농도 Kinetin과 저농도 IAA를 혼용 첨가한 M.S.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여 발화되었고 건전한 주두 및 약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유통 식육 중 성장호르몬제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분석 (Analysis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in Meats)

  • 이윤애;심지연;이륜경;김승환;오현숙;조태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6-231
    • /
    • 2010
  • 본 논문은 합성형 성장호르몬으로 천연 프로게스테론에 비해 20~30배 강하게 작용하는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에 대한 정량한계, 표준물질의 직선성, 회수율 등의 유효성 평가 및 내부표준물질 선정을 통한 분석방법 최적화를 식품공전의 시험법을 기초로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유통식육 내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검출한계는 1.5 ug/kg, 정량한계는 5.0 ug/kg 으로 나타났으며 표준물질의 좋은 직선성 ($r^2$= 0.9968)을 확인 하였다. 내부표준물질의 비교결과 식품에 오염될 우려가 없는 progesterone-D9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시험한 결과 7.69분의 머무름 시간을 가지며, 정량이온은 m/z 324-100, 정성이온은 m/z 324-113으로 설정하였다. 내부표준물질에 대한 정량의 회수율 실험결과 67.5~109.5%로 높아진 회수율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전국의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에서 수거한 국내산 쇠고기 46건, 수입산 쇠고기 43건, 국내산 돼지고기 60건, 수입산 돼지고기 12건과 국내산 닭고기 35건의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잔류량을 실태 조사한 결과 검출된 경우는 한건도 없었다. 따라서,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에 대한 유통 식육은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한 주목종자(朱木種子)의 함유성분(含有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Endogenous Substances in Relation to Stratification of Dormant Taxus cuspidata Seeds)

  • 위흡;고대식;한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30
    • /
    • 1975
  • 휴면기간(休眠期間)이 긴 주목종자(朱木種子)의 습층처리(濕層處理)에 따른 종자내(種子內) 생장(生長) 촉진물질(促進物質)과 생장(生長) 억제물질(抑制物質), 당(糖), 전분(澱粉), 단백질(蛋白質) 및 지방(脂肪) 등(等) 성분(成分)의 소장(消長)과 발아촉진(發芽促進)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코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습층처리(濕層處理)에 의(依)하여 종자내(種子內) 배육(胚肉)에 있어서의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은 증가(增加)하고 생장(生長) 억제물질(抑制物質)은 급감(急減)하여, 이 양자간(兩者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처리(處理) 1년 이후 11월부터 이듬해 3월사이에 이루어져서 발아(發芽)를 촉진(促進)한다고 생각되며 한편 종피(種皮)에 있어서의 생장(生長) 촉진물질(促進物質)은 배육(胚肉)에 있어서와는 달리 거의 소장(消長)에는 변동(變動)이 없고, 생장(生長) 억제물질(抑制物質)의 양(量)은 급감(急減)하여 지는 것으로 미루어, 종피(種皮)와 발아촉진(發芽促進)과의 관계(關係)는 촉진물질(促進物質)보다 억제물질(抑制物質)의 소실(消失)에 영향(影響)되며 익년(習年) 11월부터 그 다음해 3월사이에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2. 상치종자(種子)의 발아력(發芽力) 시험결과(試驗結果) 생장(生長) 억제물질(抑制物質)이 발아(發芽)를 좌우(左右)하는 것으로 보아 주목종자(朱木種子)의 발아(發芽)는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보다 생장(生長) 억제물질(抑制物質)에 영향(影響)함이 크다고 생각된다. 3. 습층처리(濕層處理) 함으로서 배육내(胚肉內) 당(糖)과 조단백질량(粗蛋白質量)은 함수율(含水率)과 함께 증가(增加)하나 조지방(粗脂肪)과 전분량(澱粉量)은 감소(減少)하며 이들 성분(成分)의 소장(消長) 또한 발아촉진(發芽促進)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것 같다.

  • PDF

뽕나무 古條揷木의 發根에 關한 組織 및 生化學的 硏究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Rooting of Hard-wood Cuttings in Mulberry (Morus species))

  • 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1
    • /
    • 1981
  • 뽕나무의 古條揷木에 있어서 不定根의 發根力과 가장 密接한 關係가 있다고 생각되는 要因으로서 揷穗의 組織學的인 差異와 生理作用에 重要한 役割을 하는 生長調節物質을 生物的으로 檢定하고, 그 物質의 作用과 糖類, C/N率, 核酸, 아미노酸等 含有物質이 뽕나무의 發根力과 어떤 關係가 있는지를 究明하기 爲한 試驗을 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뽕나무는 系統과 品種에 따라 그 發根力에 큰 差가 있었다. 發根력力이 가장 强한 系統은 M. Lhou(51.00%${\pm}$, 그 다음이 M. alba(37.27%${\pm}$47.59)이며, M. bombycis(31.25%${\pm}$29.11)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品種的으로는 檢持, 仲間木, 甲選, 薄葉魯桑이 發根力이 가장 强했고 改良鼠返, 荊桑, 鶴田이 가장 弱했다. 2. 古條揷木에 있어서 發根力과 密接한 關係가 있는 組織的인 差는 厚膜組織을 이루는 石細胞群의 配列狀態로서 發根力이 弱한 品種은 皮層內에 이 組織이 2~3層으로 連結되어 있었고, 發根이 强한 品種群은 連結되어 있지 않고 分散되어 적은 數가 존재하였다. 3. 根基組織과 發根力과의 關係는 發根力이 强한 品種일 수록 그 突出程度가 높은 正의 相關($r=0.78^*$)을 나타내었고, 原始木部의 長 및 幅과도 正의 相關($r=0.73^*$)이 認定되었으며, 皮目과는 가지 表面에 차지하는 面積이 클수록 間接的인 要因의 하나였다. 4. 揷穗에서 抽出한 生長調節物質을 綠豆 幼胚軸을 利用한 生物的 檢定結果 發根力이 强한 品種群에서는 全般的으로 發根을 促進하는 物質의 活性이 높았고 發根力이 弱한 品種群에서는 發根을 抑制하는 物質의 活性이 높은 傾向을 보였다. 5. 發根力이 强한 品種群에서 나타난 發根促進 物質로는 $R_f$ 0~0.1이 phenolic substance로 推測되는 物質이며 $R_f$ 0.3~0.5의 物質은 indole acetic acid이었고 $R_f$ 0.8~1.0은 indole acetic nitrile로 推定되는 生長促進 物質이었다. 6. 揷穗內 各 組織의 生長調節物質은 量的 또는 그들간의 均衡이 다르게 存在하는데 이들 物質은 相助的으로 作用하므로서 發根에 영향을 미치고 特히 冬芽로부터 下降하는 物質이 없으면 發根이 되지 않았는데 그 決定的인 作用時期는 揷木後 1週日間이었다. 7. 發根과 깊은 關係가 있는 揷穗內의 營養物質로서는 炭水化物 및 全糖의 含量이 發根과 各各 正의 相關($r=0.72^*$, $r=0.67^*$)이 認定되었으나 還元糖과는 負相의 相關($r=-0.75^*$)을 나타내었으며 澱粉과는 負의 傾向値를 나타내었다. 8. 發根에 關與하는 營養要素로서 C/N率은 높을수록 發根率이 높았는데($r=0.67^*$) 이것은 炭水化物 含量이 높은데 基因하였다. 9. RNA 및 DNA 含量과 發根力과의 關係는 揷水 當時에는 RNA 및 DNA 含量의 差異가 없었으나 揷水後 RNA의 含量은 發根力이 强한 品種群이 弱한 品種群에 比하여 2週間 顯著히 增加하는 傾向을 보였다. 10. 아니모酸과 發根力과의 關係는 發根力이 높은 品種群에서 aspartic acid 및 cystine의 含量이 높은 傾向을 보였다.

  • PDF

Effect of application of coffee sludge and dried food waste powder on the growth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 Jeon, Young-Ji;Hwang, Hyun-Chul;Eun, Jin-A;Jung, Samuel;Oh, Taek-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1호
    • /
    • pp.193-204
    • /
    • 202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nd the change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The organic matter contents of coffee sludge and dried food waste powder were 44.26 and 51.18%, respectively. These values exceed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organic fertilizers recomme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South Korea by more than 30%. Accordingly, they indicate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as organic fertilizer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oil properties after cultivation showed that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coffee sludge amended soils was two-fold higher than that of dried food waste powder amended soils. However,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orus was two times lower in the coffee sludge amend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dried food waste powder was actively used to decompose organic substances, and that phosphoric acid was added by the soil microorganisms used to decompose organic substances. In term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growth, leaf discoloration was observed for all treatments except with the standard rate of dried food waste powder. The standard rate of dried food waste powder also produced relatively better results than other treatments with regard to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root length (34.08 cm), root diameter (0.78 cm), and fresh root weight (4.77 g plant-1). Therefore, the standard rate of dried food waste powder produced better results than other treatments and can be used as an organic fertilizer in the growth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발광다이오드 광량 및 파장에 따른 Chlorella vulgaris의 생장 및 생화학적 조성 변화 연구 (Effects of the Spectral Quality and Intensity of Light-Emitting Diodes on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Chlorella vulgaris)

  • 한지승;;최태진;오석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878-888
    • /
    • 2023
  • Growth responses of Chlorella vulgaris exposed t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and wavelengths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were investigated. C. vulgaris was cultured under red LED (650 nm), blue LED (450 nm), green LED (520 nm), and fluorescent lamps (three wavelengths, control). The maximum growth rates (µmax) of C. vulgaris were highest under the blue LED, followed by the red LED, green LED, and fluorescent lamps. The low compensation photon flux density (I0) and low half-saturation constants (Ks) were observed in C. vulgaris cultured under the red LED, indicating that high C. vulgaris growth is closely related to the low light intensity of the red LED suggesting that the red LED can be useful for the biomass production of C. vulgari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under the blue LED during the stationary phase, there was an increase in useful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proteins and lipids, which are beneficial for biomass production. In conclusion, the red LED is an economical light source that can enhance cell density, and the blue LED is effective in promoting valuable intracellular substances.

처리토에 녹비 식물 청보리 경작 시 휴믹 물질이 식물생장 및 생물학적 토양 인자에 주는 긍정적 영향 (Positive Effects of Humic Substances on Plant Growth and Biological Soil Indicators when Spring barley is Green Manured on Reclaimed Soils)

  • 강수아;박혜선;이윤노;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9권1호
    • /
    • pp.51-62
    • /
    • 2024
  • A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itive impacts of humic substances (HS) on the growth of green barley, a type of green manure plant.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pot culture using two different types of reclaimed soils that had been treated by land farming (DDC) and thermal desorption (YJ) method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conditions consisted of three treatments: plant only (P), plant plus 2% HS, and no plant (control). After 89 days of culture in a controlled growth chamber, the growth of spring barley and activity of seven soil enzymes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HS had a substantial (p<0.10) positive effect on shoot biomass in both types of soil. Furthermore, the addition of HS notably (p<0.05) enhanced all seven soil enzyme activities in both soils. Both the aboveground and belowground parts of barley plants were returned to soil and aged for 10 weeks in the same growth chamber, which resulted in notable enhancement in soil health indicators. These improvements included an increase in organic matter, a drop in bulk density, and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seven different soil enzymes. When lentil seeds were planted in the aged soils, the development of the seedlings was more vigorous than that in the control in both soils, although allelopathy of barley suppressed lentil germination in soil with pH 7.0 but not in soil with pH 8.5.

논토양미생물의 Diazinon과 부식물질에 대한 기질 친화성 (Affinity of Diazinon and Humic Substances as a Substrate of Microorganisms in Paddy Soil)

  • 송재영;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5
    • /
    • 1992
  • Diazinon과 부식물질인 humin, HA, FA에 대한 토양미생물의 기질 선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정비재에 diazinon과 부식물질을 각각 처리하여 항온($30^{\circ}C{\pm}1$)으로 유지하면서 토양미생물의 균수와 MO 활성, ${\alpha}$, -${\beta}$-ES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부식물질 첨가에 따른 diazinon의 분해속도를 조사하였다. 1. 토양미생물의 균수가 부식물질 처리구에서는 초기 1일부터 급격히 증가한 반면 dizainon 처리구에서는 3일후 부터 증가하였으며, 10일후 부식물질 처리구가 diazinon 처리구보다 약 1.5배 많았다. 2. MO 활성은 부식물질 처리구에서 diazinon처리구보다 3일까지 높았으며, HA > FA > humin의 순이었다. 3. ${\alpha}$-ES와 ${\beta}$-ES 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humin과 HA에서는 diazinon보다 5일이후 높았지만, FA는 diazinon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4. 부식물질을 첨가함으로써 diazinon의 분해속도는 지연되었으며, 10일후의 분해율은 humin, HA, FA 첨가구에서 각각 51.4%, 58.9%, 62.4%이었고, 무첨가구에서는 71.9%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