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retardant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식물생장억제제와 Triazole계 살균제 처리에 의한 'New Guinea' 임파첸스(Impafiens hawkeri hybrida)의 생육조절 (Growth Control in 'New Guinea' Impatiens (Impatiens hawkeri hybrida) by Treatmen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and Triazole Fungicides)

  • 이승우;노경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27-833
    • /
    • 2000
  • 본 실험은 왜화제인 daminozide, chlormequt, uniconazole, paclobutrazole과 triazole계 살균제인 hexaconazole, microbutanil, difenoconazole, terbuconazole, bitertan이 등이 'New Guinea' 임파첸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과 수행하였다. 왜화제를 처리한 실험에서 'Anguilla'와 'Papete' 모두 초장과 plant canopy는 모든 종류의 왜화제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특히 uniconazole과 pachlobutrazole이 지상부 생육억제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엽록소 함량은 오히려 증가하였고 줄기의 직경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된 약제의 가장 높은 농도에서 효과적이었다. Triazole계 살균제의 실험에서도 왜화제처리 실험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Papete', 'Pagopago', 'Martinique' 모두 초장과 plant canopy가 모든 약제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잎의 생장도 억제하였다. 반면에 엽록소 함량은 오히려 증가하였고 줄기의 직경은 처리된 약제의 고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New Guinea' 임파첸스 분화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hexaconazole, microbutanil, difenoconazole, terbuconazole, bitertanol 등과 같은 triazole계 살균제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생육에 미치는 생장억제제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of Periila fuetescens var. acuta)

  • 이종석;박영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usability as potted flowers and garden plants by controlled plant height using growth retard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warfing effe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the sun, but growth was well under full exposure to the sun. The plant height was decreased by application of Cycocel (CCC), Bonzi (paclobutrzol), Ancymidol, and Uniconazo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of Bonzi $5mg{\cdot}L^{-1}$ was most dwarfing effect for both full sun exposure or 70% controlled shading condition. No consistent different was found in stem diameter, leaf color change, the content of chlorophyll and anthocyanin when the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was altered. These factors were affected only by light intensity.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leaf length, leaf width, plant width and petiole length were all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growth retardants.

생장억제제 처리가 기내 배양한 나도풍란 (Sedirea japonica) 유묘의 유리당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Free Sugar and Protein Content of Sedirea japonica Seedlings Cultured In Vitro)

  • 조동훈;지선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45-149
    • /
    • 2005
  • 본 연구는 나도풍란의 기내 배양에서 몇 가지 종류의 식물생장억제제의 농도별 처리가 식물체 내 유리당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잎의 유리당의 함량은 생장억제제의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분석된 유리당 중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뿌리의 유리당 함량은 잎과는 반대로 생장억제제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함량도 같이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조사된 유리당 중 sucrose의 함량이 비교적 가장 높았다. 잎의 단백질 함량은 생장억제제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뿌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enching Treatment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in Datura suaveolens 'Orange Star')

  • 김주형;김시동;이희두;김태중;윤태;민경범;백기엽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1-236
    • /
    • 2009
  •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pacloblltrazol, ethephon, uniconazole 및 daminozide를 처리한 결과, ethephon을 제외하고는 생장억제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장이 단축되었다. 특히 생장억제제 중 uniconazole 처리시 초장과 초폭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엽폭과 엽장이 작아졌고 꽃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꽃크기 역시 단축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개회소요일수가 단축되었으며 개회횟수가 크게 증가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ethephon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며, 초장과 초폭이 커졌으며 개화일수의 증가로 개회횟수가 적어짐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생장억제제 관주처리에 의한 'Angel's Trumpet' 왜화의 정도는 uniconazole > daminozide > paclobutrazol순으로 나타났다.

Growth retardants stimulate guggulsterone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fungal elicitor in fed-batch cultures of Commiphora wightii

  • Suthar, Satish;Ramawat, K.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9-13
    • /
    • 2010
  • Guggulsterone, a hypolipidemic natural agent, is produced in resin canals of the plant Commiphora wightii. In this study, the stimulatory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ALAR (N,N-dimethylaminosuccinamic acid) and CCC (chlormequat chloride)] and fungal elicitor on guggulsterone accumulation in cell cultures of C. wightii are reported. CCC at $1\;mg\;l^{-1}$ enhanced guggulsterone content (${\sim}123\;{\mu}g\;l^{-1})$ when added on the fifth day after inoculation, while ALAR at $2.5\;{\mu}g\;l^{-1}$ increased guggulsterone content (${\sim}116\;{\mu}g\;l^{-1}$) when added on the tenth day. In a two-stage fed-batch process, combined treatment with fungal elicitor and growth retardant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sim}353\;{\mu}g\;l^{-1}$) in guggulsterone content in cell cultures after 17 days of growth. This represents an approximately fivefold increase over the guggulsterone contents in initial cultures of this plant.

벼 생육에 미치는 생장조정제의 영향 I. 묘의 생육 및 에칠렌생성에 미치는 생장억제제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Growth of Rice Plant I.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Ethylene Evolution of Rice Seedlings)

  • 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6
    • /
    • 1985
  • 벼 유묘와 상자묘의 생육억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일본청품종을 공시하여 5가지의 생장억제제를 사용종자 침종하여 생장억제 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묘의 에칠렌 생성량을 측정하여 생장과 에칠렌 생성량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생장억제제의 종류에 의해 묘의 억제효과에 차이가 있으나, 어느 약제나 처리농도가 높을 수록 억제 효과가 컸다. 2. 약제의 종류에 따른 억제효과는 S-327> BAS-106 >NTN -821>PP-333 >CGR-811의 순이었다. 3. 묘의 에칠렌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은 억제효과가 큰 S-327, BAS-106의 고농도에서 현저히 많았다. 4. 생장억제제 처리에 의한 묘의 초장과 에칠렌 생성량 사이에는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5. BAS-106과 NTN-821의 종자 처리에 의한 억제효과는 다비 조건에서는 제3엽기 이후에는 효과가 없었다.

  • PDF

Effects of Gibberellin Biosynthetic Inhibitors on Oil, Secoisolaresonolodiglucoside, Seed Yield and Endogenous Gibberellin Content in Flax

  • Kim, Sang-Kuk;Kim, Hak-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35
    • /
    • 2014
  • Flax (Linum usitatissimum L.) has been used for the edible oil in Korea. The evaluate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flaxseed yield, oil content, and gibberellin level, chloromequat chloride (CMC), paclobutrazol (PBZ), and prohexadione-Ca (PHC) were used as plant growth retardants in this study. These plant growth retardants were foliar-sprayed to flax plant at 55 days after seeding. The concentrations of each plant growth retardant were as followed: CMC 250, 500, 1000 ppm, PBZ 40, 80, 160 ppm and PHC 500, 1000, 2000 ppm. PHC treatment to forming bolls was more stimulated than CMC and PBZ. The highest ripened seed rate was observed in PHC treatment at 2000ppm. The high see yields were obtained in PHC treatment following PBZ and CMC, in turn. Seed yield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in PBZ and PHC was found to be increased 12.4 ~ 23.9%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HC showed higher flaxseed production and oil yield than that of CMC and PBZ.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higher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 (PHC) increased flaxseed yield and oil content.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PHC treatment was observed in 2000 ppm. It concludes that the foliar application of PHC 2000 ppm may be useful for the increasing oil and higher seed production in flax plants.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on Lodging-related Traits in Direct 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Ju, Young-Cheoul;Park, Jung-Soo;Han, Sang-Wook;Park, Kyeong-Yeol;Rho, Young-De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8-252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and midsummer drainage on lodging-related characters in direct seeding rice culture on flooded paddy surfaces. Treatme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continuous flooding, two time midsummer drainages (TTD), and inabenfide or trinexapac-ethyl application after TTD. Culm length was reduced most by 11.4cm in trinexapac-ethyl treatment after TTD, followed by 4.1cm in inabenfide treatment after TTD compared to TTD treatment. A significant reduction in culm length occurred at the 3rd internode in inabenfide treatment applied at 40 days before heading (DBH), while trinexapac-ethyl application at 8 DBH reduced the 3rd>2nd>1st internode. The culm diameter of the 4th internode was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trinexapac-ethyl following TTD compared to TTD treatment. Thickness of culm wa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inexapac-ethyl but not by inabenfide applications. Lodging index was the highest in continuous flooding and the lowest in trinexapac-ethyl treatment after TTD. Subsequently, field lodging did not occur in plots treated by trinexapac-ethyl. Rice plants subjected to midsummer drainage or growth retardants showed higher ripened grain ratio and 1000-grain weight, resulting in higher rice yie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inexapac-ethyl, which can be applied at the relatively later growth stage after proper judgement of lodging occurrence, could be a useful tool for reducing lodging in direct seeding rice culture on flooded paddy fields.

  • PDF

생장억제제 처리가 나도풍란(Sedirea japonica) 유묘의 생장과 inver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Invertase Activity of Sedirea japonica Seedlings in vitro)

  • 지선옥;조동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99-504
    • /
    • 2005
  • 본 연구는 몇 가지 생장억제제를 배지에 처리하였을 때 기내 배양한 나도풍란 유묘의 생장과 그들의 invertase활성 검정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나도풍란에 식물생장억제제 인 ancymidol과 paclobutrazol을 각각 배양용 배지에 첨가했을 때, 농도가 높을수록 엽장이 감소한 반면, 엽폭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근장은 짧았으나 근수 및 근직경은 증가하였다 Uniconazole 0.05 mg/L에서는 잎과 뿌리생장이 대조구보다 오히려 촉진되었다. 처리한 모든 종류에 있어서 그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잎 모양은 원형으로 변하면서 작아졌다. Invertase 활성을 알아보기 위 한 soluble acid invertase 활성과 soluble alkaline invertase활성은 잎에서는 생장억제제 농도가 낮은 처리에서 높았고, 뿌리에서는 정반대의 경향이었다. 지상부 및 지하부의 전분함량은 잎에서는 invertase 활성이 높았던 저농도에서 높았으며, 뿌리에서는 invertase 활성이 높았던 고농도에서 높았다.

생장 조절제(B995.CCC) 산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B995 and CCC on the Growth arid Yield of Soybean)

  • 위성옥;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290
    • /
    • 1984
  • 대두에 왜화제인 B 995와 CCC를 살포시기별(본엽 4, 5, 6 매), 농도별 (500, 1000, 2000, 3000 ppm)로 엽면살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별로는 경장에서만, 살포시기별로는 결협율에만, 그리고 농도별로는 경장, 분지수, 결협율, 주당협수와 수량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견장의 단축은 CCC보다는 B 995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결협율은 본엽4 매시의 살포에서 가장 높았다. 3.농도별효과를 보면 저농도보다는 고농도인 3,000ppm에서 경장의 단축, 분지수, 결협율 그리고 주당협수의 증가와 수량의 증대를 나타냈다. 4. 주경절수, 경건중, 엽록소와 100입중은 약제살포시기 및 농도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5. 수량은 경장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분지수, 주당협수, 결협율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6. 왜화제의 엽면살포는 주요수량구성 요소증대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