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characters

검색결과 648건 처리시간 0.035초

토양경화의 토층공극 깊이의 차이가 Perennial Ryegrass 의 생육과 Thatch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Soil Compaction and Coring Depth on the Growth and Thatch Accumulation in Perennial Ryegrass)

  • 윤용범;이주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9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the change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growth and thatch accumulation in perennial ryegrass as affected by the different levels of soil compaction and coring depth. Soil compactions were treated with 10, 20, 30 and 40kg power roller and artificial core depth were 2.5, 5.0, 7.5 and 10.0cm under the ground, respectively. And, artificial core space were fixed 84.5% in all soil compaction level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tillers and root weight wa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 for soil compaction levels. 2. Relationships between shoot dry weight and thatch weight, and number of tiller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artificial core depths. It may indicate that thatch accumulation depend on the growth of shoot, and increase of shoot dry weight as growth progressed may due to increase of number of tillers, respectively. 3. Soil compaction level of 20kg was greatly influenced on the growth of shoot in all artificial soil depths. Thus, shoot dry weight and number of tillers were obtained the highest value, but thatch and root weight were obtained the lowest values at the soil compaction level of 20kg. It was suggested that soil compaction of 20kg is very suitable rolling factor for turf maintenance. 4. Thatch weight was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interaction of soil compaction levelXcoring depth.5. Thatch weight was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ed with root weight, and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ed with number of tillers by increase of soil compaction levels.

  • PDF

Four New Records of Two Genera Balanophyllia and Cladopsammia (Anthozoa: Hexacorallia: Scleractinia: Dendrophylliidae) from Korea

  • Choi, Eunae;Song, Jun-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3호
    • /
    • pp.183-190
    • /
    • 2014
  • The four species of the family Dendrophylliidae are newly recorded in Korea: Balanophyllia (Balanophyllia) cumingii Milne Edwards and Haime, 1848, Balanophyllia (Balanophyllia) vanderhorsti Cairns, 2001, Cladopsammia eguchii (Wells, 1982), and Cladopsammia gracilis (Milne Edwards and Haime, 1848). The two genera of Balanophyllia and Cladopsammia, to which the four species belong, are newly recorded in Korea. They were collected from the subtidal zones in Jeju-do Island, Korea by SCUBA diving from 1987 to 201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our dendrophyllid species based on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including growth form, size, budding, and color of colonies, shape and size of corallites, columella, theca, and septa. Balanophyllia (Balanophyllia) cumingii is distinguished by its solitary growth form, small and low subturbinate corallite with enlarged calice, and expanded basal part, exsert first and second septa, and Pourtal$\acute{e}$s plan. Balanophyllia (Balanophyllia) vanderhorsti is characterized by its quasi-colonial growth form, subturbinate corallites with compressed calice, thick theca, and Pourtal$\acute{e}$s plan. Cladopsammia eguchii is characterized by its phaceloid growth form of compressed corallites basally united with common coenosteum, flat spongy columella, thick theca, and Pourtal$\acute{e}$s plan. Cladopsammia gracilis is distinguished by its phaceloid growth form of corallites basally united with common coenosteum, and pronounced Pourtal$\acute{e}$s plan forming flower patterns.

침종액 중 BA 농도에 따른 숙주나물의 생장 (Effect of Benzyladenopurine Concentration in Soaking Solution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 강진호;류영섭;윤수영;전승호;김승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82-486
    • /
    • 2004
  • 숙주나물의 세근 발생 억제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BA의 처리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3개 공시품중(금성녹두, 어울녹두, 중록1호)을 이용하여 BA 농도 (0, 25, 50, 75, 100 ppm)를 달리하여 5시간 침종시킨 후에 6일간 재배된 숙주나물의 생장과 형태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 모두 하배축 길이가 7cm 이상의 개체비율은 50 ppm 이상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4cm이하의 비율은 오히려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4-7cm의 비율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던 금성녹두와 중록1호와는 달리 어울녹두는 50ppm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2. 세근은 75ppm 이상의 처리농도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았으며, 세근발생 비율과 개체당 세근수는 50 ppm 처리농도를 기준으로 증감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공시품종 모두 하배축과 뿌리 길이는 BA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그러나 하배축 중간 부분의 직경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금성녹두와 중록1호에서는 굵어졌던 반면, 어울녹두는 50ppm 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가늘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하배축 및 전체 생체중은 BA를 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처리할 경우 많았던 반면, BA를 처리할 경우 처리농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동절기 온도(溫度)에 따른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 (Effect of Different Temperatures on Growing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강진호;전승호;윤수영;홍동오;신성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6-189
    • /
    • 2005
  • 식물체의 개화는 온도와 일장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night-break 처리로 개화가 억제되는 상태에서 월동중의 유지온도가 일임성 식물인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자연상태의 대조구와 $10^{\circ}C$$20^{\circ}C$ 이하로 온도가 내려갈 경우 가온하는 3개 처리로 구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초장, 화서장,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자연상태에서 재배되는 것보다는 $10^{\circ}C$ 이상으로 가온하여 재배할 경우 길고 많거나 굵어졌던 반면, $10^{\circ}C$ 또는 $20^{\circ}C$ 이상으로 가온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 2. 엽과 포엽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 전체건물중은 자연상태에 비하여 $10^{\circ}C$ 이상으로 가온할 경우 10월 하순부터 많았던 반면, $10^{\circ}C$ 또는 $20^{\circ}C$ 이상으로 가온할 경우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월동중 유지온도가 높을수록 형성된 소화수는 많았으나, 형성된 소화의 개화는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소화가 개화된 개체의 비율은 자연상태에서는 전체가, $10^{\circ}C$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25% 정도에 이르렀으나, $20^{\circ}C$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전무하였다.

질소 및 가리 시용량이 버어리종 잎담배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Nitrogen and Potassium Rates on Yield and Quality of Cured Leaf in Burley Tobacco)

  • 김상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97-503
    • /
    • 1990
  • 질소와 가리 시용량이 버어리종 잎담배(1988년; Burley 21, 1989년 ; Burley 21과 KB 101)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 3수준(1988년 ; 17.5, 22.75, 28.0kg/10a, 1989년 ; 12.5, 17.5, 22.5kg/10a), 가리 3수준(1988년 ; 17.5, 35.0, 52.5kg/10a, 1989년 ; 25.0, 35.0, 45.0kg/10a)을 두어 포장에서 시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심기 생육에 미치는 질소 시용량의 영향은 년차간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리시용량은 적심기 생육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질소나 가리 시용량이 생육기간중의 엽중 질소함량에는 비교적 큰 영향을 미쳤으나 가리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았다. 3. Burley 21에 비하여 KB 101이 다수성이었으며, 질소감비상태에서의 생산성도 높았다. 4. 질소를 22.75kg/10a까지 시용할 때는 수량과 품질이 높아졌으나, 그 이상 시용할때는 수량은 증가되지 않고 품질은 낮아졌다. 5. 가리시용량이나 가리/질소 시용비에 따른 수량, 품질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가리/질소 시용비가 작을 때는 품질이 다소 낮아졌다 6. 질소시용량이 22.75kg/10a을 초과할 때, 잎담배 수량 및 품질면에서 유리한 점은 없었으며, 가리시용량은 35.0kg/10a이면 충분하며 그 이하로의 감비도 여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양한 물질처리에 의한 콩나물의 세근형성 및 생장 (Lateral Root Form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orouts Treated with Various Solutions)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홍동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0
    • /
    • 2005
  • 콩나물의 품질은 세근형성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세근형성 억제용 BA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풍산나물콩, 소원콩, 준저리 종자를 이용하여 녹차와 두충 잎, 옥수수 종자 추출물과 현재 콩나물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황토와 키토산이 콩나물의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성이 높은 하배축 길이가 7 cm 이상의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보다 준저리에서 현저히 낮았던 반면, 상품으로 출하가 불가능한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여타 처리보다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2. 두충잎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소원콩에서는 세근이 대부분 형성되나,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여타 처리에서는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세근형성 개체의 세근수는 두충잎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가장 적었으며, 키토산 처리를 제외한 여타 처리에서는 소원콩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준저리에서 가장 적은 경향을 보였다. 3. 준저리에서 가장 짧았던 콩나물 길이는 녹차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짧았다. 이러한 길이의 차이는 하배축과 뿌리 모두의 차이에 기인되었다. 4. 준저리에서 가장 적었던 개체당 전체생체중도 콩나물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보였다.

대관령지역에서 사료용 옥수수 품종별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ies of Corn Varieties at Deakwanryoung District of Korea)

  • 임영철;정종원;한성윤;최기준;임용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44
    • /
    • 2001
  • 대관령지역에서 사료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여 생산성이 높은 품종을 농가가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수원 19호를 대비품종으로 하고 현재 많이 재배되는 8개 장려품종을 공시하여 1999년도에 난괴법 3반복으로 대관령지소(해발 800m) 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 중 간장은 DK501, GL499 품종이 각각 180, 198cm로 가장 적었고 그 외 품종은 230cm 내외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착수고는 간장이 적은 품종에서 낮게 나타났고 P3525, DK729는 각각 120, 116cm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10~l5cm 높았다. 경직경은 수원19호에 비하여 DK501를 제외한 전 품종에서 굵었으며 특히 P3144W가 24.2cm로 가장 굵었다. 생엽수는 숙기가 늦은 DK729, G4743이 각각 12.0, 12.3개/주로 가장 많았다. 출사기는 8월 10일~20일로 품종간에 10일 차이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가장 빠른 품종은 DK501로 8월 10일, 가장 늦은 품종은 G4743으로 8월 20일이었다. 암이삭 비율은 출사기가 빠른 품종에서는 46% 이상 늦은 품종은 40% 이하이었다(P>0.1). 건물 및 TDN 수량은 P3352 품종이 각24.710, 17,470kg/ha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DK729, G4743순이었다(P<0.05). 따라서 대관령지역에서는 조.중생종 품종인 P3352가 가장 수량도 많고 생육특성 면에서도 유리하여 적합한 품종으로 생각된다.

  • PDF

Growth Characters and Life Cycle of Mungbean Per Sowing Period

  • Ji-ho Chu;Byeong-won Lee;Ji-young Kim;Seok-bo Song;Yeong-kwang Joo;Sang-ik H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4-134
    • /
    • 2022
  • Mungbean is used for not only seed but sprout, so, consumption of mungbean has been on the rise in Korea. Life cycle of mungbean tends to be short among Legume. For that reason, Mungbean can be harvested for various cropping system and season per regions and farmers regardless of sowing date and harvesting date. So, Prior research is needed about growth characters and life cycle of mungbean per sowing period. Mungebean cultivar 'Dahyun' and 'Sanpo' supplied by Korea Agriculture Technology Promotion Agency(KOAT) is cultivated in wagner pot. Sowing period is proper time of seeding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that is major cultivation region of mungbean in korea from early May to mid July every 2 weeks. Length at maturity stage tends to increase from early May(sowing date: 4th May) to early July(sowing date: 5th July), but after that, It tends to decrease from mid July(sowing date: 19th July). Number of branches and nods shows a similar trend. Length of pod has no tendency and no difference per sowing date. Number of pod per plants has also no tendency per sowing date. Test plots sowing in late May has the most number of pods.(Sanpo 22.9pods, Dahyun 16.8) Number of seeds per pod tends to increase to late May and Test plots sowing in mid July has the most number of seed per pod. In case of sowing at early May, Days of emergence is 7d. its summation of temperature is 132.2℃. After that, it tends to decrease to mid June. After mid June, Days of emergence is fixed to 3d. Average temperature growing up in this season, Summation of temperature from sowing to emergence takes the lowest point in test plots sowing in mid June.(Sanpo 88.6℃, Dahyun 88.6) Days of flowering tends to fasten from early May to mid July. Two cultivar shows same level. Days of maturity tends to fasten to mid June, after that tends to slow. In case that many research results about growth characters and life cycle mungbean per sowing period are drawn, it is expected that it result in increase of cultivation area and income of farmer.

  • PDF

참당귀(當歸) 꽃대발생(發生) 년차(年次)에 따른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묘생육(苗生育) 특성(特性)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s with Different Bolting Years in Angelica gjgas NAKAI.)

  • 유홍섭;이승택;장영희;김관수;김영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3-198
    • /
    • 1996
  • 참당귀(當歸) 종자(當歸)의 채종방법(採種方法)을 확립하고 추태년령별(抽苔年齡別)로 1년생, 2년생, 3년생에서 채종(採種)한 종자의 발아(발아)및 묘생육(苗生育) 특성(特性)을 알아보고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의 천립중(千粒重)은 3년생 4.48g 2년생 3.53g, 3년생 2.89로 3년생 참당귀에서 채종(埰種)한 종자(種子)가 적었다. 2. 최초(最初) 발아(發芽) 일(日)은 3년생 추대 종자 보다 1년생 추대종자에서 3日정도 먼저 발아(發芽)되었으며, 발아기간(發芽期間)은 4일(日)짧았다. 3. 발아률(發芽率)은 1년생 85.5%, 2년생 87.0%, 3년생 87.9%로 3년생 추대종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2년생, 3년생 추대종자보다 1년생 추태종자(抽苔種子)에서 발아세(發芽勢), 발아계교(發芽係敎)가 높고 최초발아(最初發芽) 및 평균(平均) 발아(發芽) 일(日) 수(數)가짧아 발아력(發芽力)이 높았다. 4.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3년생 종자보다 2년생, 1년생으로 추태년령(抽苔年齡)이 낮아짐에 따라 초장(草長)이 길고 엽수(葉數)와 엽수진전(葉數進展)이 많았으며 주당(株當) 엽중(葉重)이 높았다. 5.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은 1년생, 2년생, 3년생으로 추태년령(抽苔年齡)이 높아짐에 따라 근장(根長)이 길고 근동(根童)이 크며 주당(株當) 근중(根重)이 높았다. 6. T/R율은 1년생 619%, 2년생 360%, 3년생, 121%로 나타났다. 7. CGR은 지상부(地上部)는 1년생 0.0037g, 2년생 0.0032g, 3년생 추대종자에서는 0.0017g이 었으며, 지하부(地下部)는 1년생 0.000, 2년생 0.0010g, 3년생 추대 종자에서는 0.0019g 이었다.

  • PDF

Growth and Maturity in Response to Planting Times in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 Park Sei Joon;Youn Jong Tag;Lee Jae Eun;Kim Wook Han;Kwon Young Up;Shin Jin Chul;Seong Rak Ch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15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growth and maturity and to clarify the function of supernodulating characters, excessive nodules and high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rate (BNF), on maturity in response to different planting time in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Two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Sakukei4 and SS2-2, and their parent cultivars, Enrei and Shinpaldalkong2, were planted on May 24 and June 15, 2004. The degrees of the shortening of growth days by the planting time delay were 18 to 22 days in four cultiva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However, four cultivars showed the different maturity properties. Sakukei4, mutated from Enrei, showed later maturity than that of Enrei, and 882-2, mutated from Shinpaldalkong2, showed earlier maturity than that of Shinpaldalkong2. The plant and nodule dry weights at R6 stage of Sakukei4 showed the smallest decrement and those of SS2-2 was showed the largest decrement by the delay of planting time. The photosynthetic rates of Sakukei4 during the late reproductive growth period were slowly decreased, however those of SS2-2 were steeply decreased in two planting time treatments. Overall, the growth of Sakukei4 was decreased slowly, however the growth of SS2-2 was decreased sharply according to the delay of planting time. The percentage of seed yield of Sakukei4 in June planting plot compared with May planting plot at R8 stage was $92\%$, which was the lowest decreasing rate of yield among the cultivars, and in the case of SS2-2, it was in $76\%$, the highest o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ses of supernodulating mutants by the delay of planting time were very similar to the wild types. This means supernodulating characters in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might not affect to the maturity property. Additionally, the maturity property c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to decide or to select on the developments of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which have a low productivity by an excessive nodules, especi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