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검색결과 64,165건 처리시간 0.089초

암반비수에 의한 저온지이용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Use of Low and Wet Land By Underdrainage(1))

  • 주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54-1459
    • /
    • 1968
  • 본(本) 실험(實驗) 실시(實施)함에 있어서 포장(圃場) 10a를 시공구(施工區) 5a, 대비구(對比區) 5a로 나누고 시공구(施工區)는 인력(人力)으로 터파기를 하는데 깊이 1m, 거리 5m 경사(傾斜) 200분지(分之)1로 하고 관경(管徑) 4.5cm의 plastic 제(製) 흡수관(吸水管) (Glass nylon filter 권(卷))을 시공구(施工區) 5a에 pipe 전소요량(全所要量)이 100m (2.5m, 40개)이며 배수조절용수갑(排水調節龍鬚閘)은 2개소(個所) 설치(設置)하여 관개기(灌漑期)에는 매일(每日) 오후(午後) 5시(時)에 개방(開放)하고 오전(午前) 6시(時)에 닫어 지온(地溫)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평균(平均) $1.2^{\circ}C$ 상승(上昇)하고 비관개기(非灌漑期)는 맥류(麥類) 및 서류재배(薯類栽培)를 위(爲)해서 수갑(水閘)을 종일(終日)열어 배수(排水)의 목적(目的)을 달성(達成)시켜 서류(薯類) 및 맥류재배(麥類栽培)가 전연불가능(全然不可能)한 저온지(低溫地)가 재배가능(栽培可能)하였으나 배수(排水)와 지외(地外), 생육(生育), 수량(收量), 토양(土壤), 관개수질조사(灌漑水質調査)는 제이차(第二次) 시험(試驗)에서 취급(取扱)하기로 하겠다.

  • PDF

불도우저에 의한 개간 공법의 개선과 숙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nd Clearing Methods by Bulldozer & Fertilization of Cleared Soil)

  • 황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27-3641
    • /
    • 1975
  • The Government is trying to increase total food grain yield to meet national self sufficiency by means of increasing unit yield as well as extending crop land, and this year he set the target of 321,000 hectare of forest to clear for cropping.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learing hillock by bulldozer, and successful method to develope yielding potential of newly cleared land in short term. Since the conventional land clearing method is just earth leveling and root removing neglecting top soil treatment, the growth of crop was poor and farmer tends not to care the land. The top-soil-furrowing method is applied through out this study, that is advantageous especially for the land having shallow top soil and low fertility like Korean forest. In this study, various operating method were tried to find out most efficient method separately in connection with the land slope less than 25 percent and over, and several fertilizing methods to develop yielding potent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the natural land slope utiliz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land having less than 25 percent slope, reverse operating was more efficient than using forward gear of bulldozer. The operating time was 3 hour 32 minutes and 36 seconds using forward gear was 2 hour 32 minutes and 30 seconds for reverse gear operation per 1,000 square meter. 2) Bulldozer having angle blade adjustment needed 7hr 15min. for constructing of terrace per 10a compaire with the one having angle & tilt adjustment needed 6hr 4min for same operations. Special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r operation time of first period (earth cutting) such as bulldozer having angle blade adjustment needed 3hr 56min compaired with the one having angle & tilt adjustment 3hr 59min. In construction of terrace, the bull-dozer having tilting and angle blade adjustment was most suitable and performed efficiently. 3) For the fertilizer application treatment, the grass (Ladino clover) yield in first year was almost same as ordinary field's in the plot applied(N.P.K+lime+manure) while none fertilizer plot showed one tenth of it, and (N.P.K.+lime) applied plot yielded on third. 4) The effect of different land clearing method to yiel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reatment especially in the first year, and the conventional method was the lowest. In the second year, still conventional terracing plot yielded only half of ordinary field while the other plots showed as same as ordinary field's. 5) The downward top soil treatment plot showed most rapid improvement in soil structure during one year physio chemically, it showed increase in pH rate and organic composition, and the soil changed gradually from loam to sand-loam an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gainst the pF rate, and it gives good condition to grow hay due to the increase of field water capacity with higher available water content. 6) Since the soil of tested area was granite, the rate of soil errosion was increased about 2 to 5 percent influencing in soil structure more sand reducing clay content, and an optimum contour farming method should be prepared as a counter measure of errosion.

  • PDF

차밭에 설치된 차광망의 동해경감 효과 (Effect of Shade Net on Reduction of Freezing Damage at a Tea Garden)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4
    • /
    • 2014
  • 월동기간 동안의 차나무에 대한 차광망 색상과 차광율에 따른 동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차광율 변화에 대한 효과는 차광율이 높아질수록 차나무생육이 불량하고 동해 피해율이 높았으며, 무처리구 대비 55% 차광율에서 신초 및 생엽수확량이 좋게 나타났다. 차광망 색상별로 보면, 투명망(차광망 55% 수준) 처리구와 녹색 차광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와 검정 차광망 처리구에 비해 생엽수확량과 피해면적이 감소하였다. 투명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동해 피해율이 50%이상 감소하고, 생엽수확량은 무처리구보다 투명망 처리구에서 단위면적당(10a) 68kg 더 많았다. 차광망의 색상별 동해경감은 검정<녹색<투명 색상 순으로 동해 경감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처리구간의 미기상변화를 보면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평균기온은 $0.7^{\circ}C$ 낮았으며, 평균상대습도는 14.9% 높게 관측되었고, 지중온도는 $0.6^{\circ}C$ 낮은 반면에 토양수분은 4.6% 높게 관측 되었다. 또한 차광망 피복물 설치에 의한 평균풍속은 무처리구 대비 0.7m/s 감소하여, 바람에 의한 과잉 증발산과 토양의 건조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었으며, 동해경감의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온, 강수량, 이산화탄소농도 변화에 따른 CERES-Barley 국내품종의 종실수량 반응 (Grain Yield Response of CERES-Barley Adjusted for Domestic Cultivars to the Simultaneous Change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CO2 Concentration)

  • 김대준;노재환;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2-319
    • /
    • 2013
  • 주어진 작물모형이 기후요소 중 어떤 것에 얼마만큼 반응하는지 상대적인 민감도를 모르는 상태에서 계산결과만으로 미래 전망을 내리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기후전망에 근거한 국내 보리 품종의 민감도 변화 실험을 통해 기온, 강수량,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가 작물의 생산량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보리 품종(올보리-수원, 알보리-밀양, 새쌀보리-익산, 삼도보리-진주)에 맞게 품종모수가 조정된 CERES-Barley를 RCP 8.5 시나리오의 2071-2100 기후변동범위(1981-2010 기준 기온 $-1^{\circ}C{\sim}+8^{\circ}C$, 강수량 -50% ~ +50%, $CO_2$ 농도 330ppm ~ 900ppm)에 근거한 99개 처리조합에 의해 구동하였다. 이들 처리조합에 의해 생성된 11,880개 종실수량 계산결과를 토대로 각 기후요소의 변화에 따른 종실수량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이산화탄소농도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반면 강수량 변동에 대한 반응이 가장 무디었고, 온도변화에 대해서는 기준온도대비 상승, 하강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품종 별로 차이가 뚜렷하였다. CERES-Barley는 우리나라에서 농업부문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널리 사용되므로 실험설계 시 이러한 모형의 민감도를 감안하여야 현실성 있는 생육모의가 가능하다.

논에서 콩 재배시 보릿짚 시용과 경운방법에 따른 토양 물리성과 수량 (Effects of Barley Straw Application and Tillage Method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Soybean Yield in Paddy Field)

  • 이상복;김병수;강종국;김선;김재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93-598
    • /
    • 2006
  • 보리 후작 평야지 논에서 콩 안전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보릿짚 시용 후 무경운, 경운로타리 등 경운방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릿짚 시용으로 경운 유무에 관계없이 토양 중 유기물함량, 총질소, 인산 및 치환성 양이온 등이 증가하였다. 2. 토양물리성 중 공극과 토양수분함량은 경운로타리 > 로타리 > 경운로타리 후 보릿짚피복 >보릿짚소각 후 경운로타리 > 무경운 순으로 높았다. 3. 보릿짚 분해율은 파종후 30일째까지 빨랐고 그 이후는 서서히 분해되었으며, 얕게 매몰된 무경운이 경운로타리보다 빨리 분해되었고, 잡초발생량은 무경운과 보릿짚 피복에서 관행대비 각각 36%, 40% 억제되었다. 4. 콩의 뿌리활력과 근류형성능 및 콩 개화기의 생육은 무경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5. 수량은 볏짚시용 후 무경운 처리에서 3,070 kg/ha으로 보릿짚 소각한 관행에 비하여 19% 증수되었으나 경운로타리는 관행수준이 었다. 따라서 평야지 논에서 콩 재배시 강우가 잦을 경우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는 토양과습을 더욱 조장하므로 무경운 골 작조 후 재배함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시설재배 브로콜리 중 Indoxacarb 및 Pymetrozine의 잔류 소실특성 (Residue Dissipation Patterns of Indoxacarb and Pymetrozine in Broccoli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양승현;이재인;최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5-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 하는 브로콜리 중 indoxacarb 및 pymetrozine의 경시적 잔류변화를 조사하여 생물학적 반감기와 감소상수를 산출하여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포장시험은 충주시(포장 1) 및 군산시(포장 2)에 소재한 시설재배지에서 수행되었으며 약제살포 후 0, 1, 2, 3, 5, 7, 10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브로콜리 중 잔류량은 HPLC-DAD로 분석하였으며, indoxacarb 및 pymetrozine의 회수율은 각각 94.3~105.4% 및 81.8~96.0%이었으며, MLOQ (Method Limit of quantitation)는 모두 0.05 mg/kg이었다. 브로콜리 중 indoxacarb 및 pymetrozine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2.9일, 3.2~3.8일이었으며, 감소상수의 95% 신뢰수준 하한치는 indoxacarb 0.1508 및 0.2017, pymetrozine 0.1489 및 0.1577로써 포장별, 약제별 유의적 차이(p<0.05)가 없었다. 브로콜리 중 농약 잔류량 소실특성의 주요 요인은 증체로 인한 희석효과이었으며, 브로콜리의 수확 10일전 PHRL은 indoxacarb의 경우 30.06(포장 1) 및 18.07(포장 2) mg/kg이었고, pymetrozine은 4.84(포장 1) 및 4.43(포장 2) mg/kg이었다.

호밀과 유채의 혼파비율이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영양소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Rate of Mixture on the Growth Ch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Rye and Rape)

  • 권응기;김병완;성경일;김창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4
    • /
    • 1996
  • Rye(Secale cereale L.) shows lower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content when it was harvested before winte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effect forage rape(Brassicu napus Subsp oleifera), which carries early maturity and can be harvested before wintering, on the increase of the forage yield and nutrient content when rye was sown mixed with the rape. Optimum sowing rate of the rye/rape mixture was also pursued in this study. The five treatment of rye single, rape single, ryel20+rape 1Okg/ha, rye84+rape 7kg/ha and rye60+rape 5kg/ha were sown on 2 September 1989. Rape single plot was cut one time(l9 November 1989) and the other plots were cuted two times(19 November 1989 and 20 May 1990). In botanical composition of the mixtures, rape recorded dominant ratio with 64~69% at the autumn cut. The rye84+rape 7kg/ha mixture plot mark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with 4.46t/ha among all the experimental plot at the autumn cut(P<0.05). In year total yield of dry matter(t/ha), rye single, rape single, rye120+rape IOkg/ha, rye84+rape 7kg/ha and rye60+rape 5kg/ha marked 13.6, 4.1, 12.7, 12.9 and 11.8, respectively. In crude protein content, the rye single plot was 17.2% at the autumn cut on the other hand the mixture plots showed increasing tendency with 18.0~19.9%. In crude fiber content, the mixture plots were remarkably lower than rye single plot. In year total yield of crude protein, rye84+rape 7kg/ha mixture plot showed the highest yield with 1.6lt/ha among all the experimental plots. Ratio of crude protein yield to crude fiber yield, rye84+rape 7kg/ha tend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mixture plots. It is confirmed that the rye/rape mixture can produce more forage than the rye single cropping when they are harvested in late autumn, besides the mixture forage contains higher crude protein than that rye single forage. It can be said that the rydrape mixture is more useful than the rye single cropping, and optimum sowing rate of the mixture is 84kg/ha of rye+7kg/ha of rape.

  • PDF

산업별 창업 결정요인의 세 가지 가설 검증, 2008-2014년 (Three Hypothesis Tests for Determinants of Business Start-up)

  • 이창근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17-2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산업별 창업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요인, 소득 요인, 기술 혁신 요인 외에 지역 요인에도 초점을 맞춰 지역 산업구조 특성 및 지역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별 창업 결정 요인에 있어서 창업의 세 가지 이론은 대체로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경기쇠퇴기에 오히려 창업이 증가하였고, 지역 내 소비 뿐 아니라, 1인당 지방재정지출의 경우에도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업을 통한 지역경제 성장을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창업보육센터가 제조업 부문에서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창업 지원정책의 일환인 창업보육센터 외에도 다양한 산학 주도형 창업보육시설 또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에 있어서 인구증가는 잠재적 수요 창출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요소였으며, 지역 산업구조 특성과 지역 내 인적자본의 영향은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집적효과가 동(同)산업의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기타 서비스업의 경우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인적자본 변수가 창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입자 도포가 제올라이트 막 구조 및 분리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stal Particle Deposition on Morphology of Zeolite Membrane and its Separation Performance)

  • 이용택;정헌규;정동재;윤미혜;안효성
    • 멤브레인
    • /
    • 제18권3호
    • /
    • pp.198-205
    • /
    • 2008
  •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결정핵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일한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다공성 지지체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이 수용액을 튜브형 다공성 세라믹 지지체에 일정 유속으로 공급하고, 세라믹 지지체의 반대편에 진공을 유지하여 일부 수용액이 지지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였다. 수용액 상에 분산된 제올라이트의 농도, 도포시간 그리고 분산 수용액의 공급속도 등이 결정핵 도포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급유속이 100 mL/min, 도포시간이 4분인 경우 농도가 0.01 wt%에서 0.3 wt%로 증가할수록 도포량이 0.0019 g에서 0.0208 g으로 증가하였다. 농도가 0.01 wt%, 공급유속이 100 mL/min인 경우 도포시간이 1분에서 4분으로 증가하는 경우 도포량이 0.0004 g에서 0.0019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도가 0.3 wt%이고, 도포시간이 1분일 때 유속이 100 mL/min에서 300 mL/min으로 빨라진 경우 도포량이 0.002 g에서 0.01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포량이 증가할수록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통한 물과 에탄올의 총투과속도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닐하우스에서 상토의 조성에 따른 묘삼의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Ginseng Seedlings as Affected by Mixed Nursery Soil under Polyethylene Film Covered Greenhouse)

  • 박홍우;장인배;김영창;모황성;박기춘;유진;김장욱;이응호;김기홍;현동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3-36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composition of nursery soil for raising seedling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otal 9 kinds of raw materials were used such as peat-moss, perlite, leaf mould, rice bran, gull's guano, castor-oil plant bark, palm bark, cow manure and chicken manure for optimum composition of nursery soil in ginseng. Occurrence of damping-off in ginseng was lowered about 50% in nursery soil type 1, 2 and 4 than in other types nursery soil in June, and occurrence rate of rusty root also lowest in nursery soil type 1. As the salinity of nursery soil increased, so did the occurr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 in ginseng seedling. The cause of salinity increasing in nursery soil has closely relation to $NO_3-N$, $P_2O_5$ and $Na^+$ content. Plant height, root length, diameter and weight were longer and heavier in nursery soil type 1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leaf mould was 50 : 20 : 30 based in volume) than in other types of nursery soil. So nursery soil type 1 was selected for raising seedling of ginseng.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EC) of selected nursery soil type 1 was 5.55 and 0.13 dS/m. Contents of $NO_3-N$ and $P_2O_5$ were 21.0 and 40.0 mg/L, and $K^+$ 0.36, $Ca^{2+}$ 3.38, $Mg^{2+}$ 2.01 and $Na^+$ $0.09cmol^+/L$,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