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Stage

검색결과 1,128건 처리시간 0.028초

상토에 함유된 Na함량이 오이와 참외의 생육, 광합성 및 잎의 수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in Artificial substrate on the Growth, Gas Exchange and Leaf Water Status of Cucumber (Cucumis sativa L.) and Korea Melon(Cucumis melo L.))

  • 서영진;김종수;김찬용;박소득;박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7-183
    • /
    • 2008
  • 상토에 함유된 Na이온이 과채류의 육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조건에 따른 상토의 수분변화, Na이온 및 EC의 경시적 변화, 광합성율, 증산율, 잎의 수분상태, 묘소질, 생육 및 수량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육묘온도가 $15^{\circ}C$에서는 상토의 수분감소는 적어 3일이 경과하더라도 관수개시점에 도달하지 않았다. 관수 1시간 후 부터 상토로부터 Na 이온이 유리되어 22시간이 지날 때 까지 Na의 농도가 계속 증가하였으며 Na 함량의 증가에 따라 EC의 상승이 있었다. 또한 관수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Na의 세탈에 따른 Na 농도가 감소되었고 Na 농도감소에 비해 EC의 감소폭은 적은 편이었다. 양이온 비율중 Na 함량이 60% 이상일 경우 저온에서는 광합성율, 증산율의 감소가 큰 편이었고 포화수분부족도 또한 저온에서 큰 폭으로 높아졌다. Na 함량이 높은 상토에서 육묘된 오이묘는 초장, 세근수 등이 대조상토에 비해 낮은 편이었고 본포 정식후에도 생육이 불량하여 48%정도의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도로절토사면(절개면)의 경관평가를 위한 요인분석 및 LISREL 모형구축 (Factor Analysis and LISREL Model Development for Landscape Estimation on The Road Cutting Slope Area)

  • 지길용;박일동;임성빈;금기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3-43
    • /
    • 2003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약 74%가 산지로 되어있어 도로건설에 따라 산지부 통과가 필연적이며, 이에 따라 터널이나 절토사면(절개면)과 같은 도로구간이 발생한다 절토사면의 경우, 전국 24개 노선 총 연장 900km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약 2,400 개소의 절토사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로 1km당 평균 2.7개소의 많은 절토사면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로의 절토사면은 붕괴사고 등과 같은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나 도로의 질적수준 지향에 따라 운전자에게 쾌적한 도로경관도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다양한 공법이 도입.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도로설계단계에서 도로경관에 관한 수요와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중 하나인 절토사면을 대상으로 기존에 연구된 관련연구를 검토함과 동시에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10개 공법별로 도로경관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를 요인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여 경관구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경관평가를 구성하는 정성적 특성을 반영하여 LISREL(공분산구조분석)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에 내재되어 있는 측정오차와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요인상호간의 관계를 고려한 경관평가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담배잎의 일생에 있어서 RuBisCO 함량과 Protease활성의 변동 (Changes of RuBisCO Content and Protease Activity during the Life Span of Tobacco Leaf)

  • 이학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3-74
    • /
    • 1993
  • Changes in the amount of ribulose 1, 5-bisphosphate carboxylase/oygenase(=RuBisCO) protein, namely fraction I protein, and the protease activity were determined in the 10th leaf of tobacco(Nicotiana tabacum, var. Ky-57) from 10 days after emergence through senescence at 5 days interval. The amount of RuBisCO per deveined leaf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early growing season, reached a maximal quantity at the around 20 days after leaf emergence, when the leaf has gone through its most rapid expansion, and began gradually to decrease till 30 days after leaf emergence, thereafter significantly declined to 45 days that the leaf has been dried up partly. The pattern of the ratio of RuBisCO protein to soluble protein in quantity changed similar to that of RuBisCO contents in a leaf, that was 43%, 60%, and 21% at the around 10 days, 20 days, and 45 days, respectively. And RuBisCO contents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r=0.98) throughout the life span of the leaf. So, it was assumed that the leaf color can be a useful indicator for judging whether RuBisCO contents higher or not in tobacco leaves without homoge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tease activities for degradation of casein were assayed at pH 5.5. 7.0. and 8.5 with crude extracts desalted on Sephadex G-25. The highest caseolytic activity was found at pH 5.5 throughout the life sawn of the leaf. Also, the activity at 5.5 became gradually to increase from 30 days after leaf emergence, when RuBisCO protein had became to disappear and remarkably increased in the last stage of senescence, although nitrogen contents of the leaf had reached low levels. The caseolytic activity at pH 5.5 was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RuBisCO contents throughout the life span of the leaf, but not in lineality between them. In other words, the caseolytic activity increased in a rapid exponential manner when RuBisCO contents had reached some low leve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eaf age, namely harvesting time,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production of the tobacco leaf containing higher RuBisCO protein. It was concluded that the practical harvesting time is between 20 days and 30 days after the leaf emergence from the present results.

  • PDF

안개에 기인하는 한국(韓國)들잔디(Zoysia japonica)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Korean Lawngrass(Zoysia japonica)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이병렬;천상욱;한성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2-269
    • /
    • 1995
  • 인공안개조건하에서 한국들잔디의 생장.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 반응을 검토코자 온실내 pot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안개조건에서 들잔디의 초장 및 엽령은 전 생육기간을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파종 후 100일째 분얼수 및 지상부 생체중등의 수량은 각각 24 및 29% 감소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발생 잡초수는 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그 발생량은 두배 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주요한 발생초종은 바랭이, 피, 미국개기장, 쇠비름, 흰명아주, 한련초 및 방동사니류 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 잡초와의 경합은 40일 이상 경합 기간의 처리가 들잔디의 초장을 크게 감소시켰고 분얼수는 전 경합기간처리에서 감소되었다. 또한 안개조건에서 pot당 입묘수 및 지상부생체중은 역시 40일 이상으로 경합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들잔디의 초장을 근거로 한 약해는 토양처리된 Oxyfluorfen에서 가장 컸고 안개처리조건하에서는 Bensulide에서 약해정도가 더 컸고 그에 따른 초장감소가 인정되었으나 Flazasulfuron 및 Mecoprop는 오히려 초장이 증가되었다. 한편 지상부생체중으로 본 약해는 Flazasulfuron 처리에서는 무처리와 대등하였으나 나머지 다른 제초제들은 심하게 증가하였다. 약제처리 후 40일째 생체중을 근거로 한 잡초방제가는 안개조건의 Bensulide 및 Mecoprop 처리에서 각각 6 및 13% 감소하였다.

  • PDF

반추가축전용 기후변화대응 비식량자원 거대억새의 생육부위 및 시기에 따른 체내 이용가치 비교 연구 (Effect of Different Parts and Growing Stage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as a non-Food Resource that does not Contribute towards Climate Change on Metabolic Availability in Ruminants)

  • 오성진;송완선;김미소;최솔잎;이수록;김은성;김용수;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7-450
    • /
    • 2013
  • 거대억새 1호는 한국에서 새로이 개발된 품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대억새 1호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 반추위 발효 시험 및 in situ 건물소화율을 조사하였다. in vitro 발효에 따른 pH는 전반적으로 거대억새 1호 시험구들이 RS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1y4m에서 다른 시험구에 비해 가장 높은 acetate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propionate 및 전체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서 시험구들간 유의성이 배양 9, 24 및 48시간에서 나타났다. in situ 건물소실율 시험 결과 RS(60.51%) > 1y4m(57.65%) > 2y4m(57.63%) > 2y8m(46.28%)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른 예취시기가 거대억새 1호의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반영한다. 그러나 거대억새 1호가 반추가축을 위한 양질의 조사료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실제 사양시험이 우선되어야 한다.

시설채소의 수경재배방법별 소비수량과 생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ater Consumption and Growth of Vegetables Cultivated by Hydroponics in' the Green House)

  • 김시원;이경희;김유현;김선주;임창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44
    • /
    • 1989
  • In the vinyl house cultivation, the water consumption, evapotnanspirafion ratio, growth condifion by the growing stages and yields of tomato and cucumber were investigated when they cultivated by nutriculture, rice hull charcoal culture and NFF cultur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ir temperature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ca j was 1.9$^{\circ}$C higher tha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the rrnocirnum and minimum air temperature in the vinyl house was 4.6C and 1.7$^{\circ}$C high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respectively, and the mean daily evaporation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4.3rnm that is 02rnrn more than the outdoor evaporation 2. In the tomato cultivation, the growth of rice hull charcoal culture was the best among the three methods, and the growth of NFT culture and nutriculture were worse than the soil cultivation which is standard, and among the nutriculture, the growth of EC 1.3m.mho plot was the best. 3. In the cucumber cultivation, the growth of rice hull charcoal culture was the best, and while the growth condition of NFT culture was worse than the standard soil cultivation, the growth of nutriculture was better than the standard soil cultivation, and the growth of EC 1.3m.mho plot was the highest among the different treatments in the nutriculture. 4. In the tomato cultivation, the total water consumption of rice hull charcoal culture plot was 1107.5rnm which is the highest amount among the three methods, and in the nutriculture, the total water consumption of EC 1.3m.mho plot was 22lAmm which i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different treatments. 5. In the cucumber cultivation, the total water consumption of rice hull charcoal culture was 11762rnm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total water consumption of EC 1.3m.mho plot was 284.9rnm which is more than the 278.9mm of EC 1.Smmho plot and 262.9mm of EC 1.7rnmho plot. 6. The crop coefficient(Kc) of tomato was 0.82 in NFT culture, 4.67 in rice hull charcoar culture and 0.86~0.91 in nutriculture. 7. The crop coefficient(Kc) of cucumber was higher than tomato as 1.13 in NFT culture, 520 in rice hull charcoal culture and 1.08~1.19 in nutriculture. 8. The evapotranspiration ratio in the mid and late season were higher than the beginning and elongation stage, and the average evaportranspiration ratio of tomato and cucumber was 3.81 and 424, respectively, in the rice hull charcoal culture plot. 9. In the tomato cultivation, the total yield per plant of rice bull charcoal culture was 1443.Og which is the highest, and in the nutriculture, their yields were worse because of the damage of downy nidew disease. 10. In the cucumber cultivation, the total yield per plant of rice hull charcoal culture was 1965.7g which is the highest, and while the yield of NFT culture was ahout 25% lower than the stadard soil cultivation, the yield of nutriculture was higher than the standard soil cultivation, and among the treatments in the nutriculture, the yield of EC 1.3m.mho plot was the highest.

  • PDF

질소 및 토양수분이 대두의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itrogen and Soil Moisture Content on Yield Components of Soybeans)

  • 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69-75
    • /
    • 1974
  • 1. 질소시비를 하지않은 콩에서 개화기이후의 토양수분부족은 충분한 생육을 한 콩보다 생육일수가 3-4일 단축되었다. 2. 엽면적은 발아후 40일경까지는 처리의 영향이 컸다. 3. 경장 경경 분지수 분지장은 파종후 70일경에 거이 완성되었고 초기생육이 불량한 경우 가장 떨어졌다. 4. 질소 증시가 협수를 증가시키지 못했고 개화기의 토양수분부족은 협수를 심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콩은 분지협보다 주경협이 많았으며 또 다입협율이 높았다. 5. 주경절입별 착입수는 3-4절과 10-12절에 많았다. 3-4절에는 충분한 생육을 한 콩에서 많았고 10-12절에는 빈약한 생육을 한 콩에서 많았다. 6. 1주입수가 적은콩이 백입중은 높았다. 7. 단백질함량은 백입중이 낮은콩(N$_{0}$D$_4$)에서 가장 낮았고 유지는 1주입수가 적은콩에서 낮았다.

  • PDF

시설재배논에 석탄회,석고,패각시용이 토양화학성과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y Ash,Gypsum,and Shell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in Plastic Film Housed Paddy)

  • 하호성;강위금;이협;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5-69
    • /
    • 1998
  • 토양반응이 산성이고 칼슘함량이 낮은 식양질 논에서 토양개량제인 석탄회와 석고, 패각을 석탄회80, 패각4, 석탄회56+석고24, 석탄회40+석고24+패각0.8톤/ha 시용하여 시설 봄배추를 재배했을 때, 이들의 토양개량 및 작물중수 효과를 검토하였다. 전반적으로 석탄회,석고,패각 시용은 토양화학성을 개선하였다. 개량제 중 석탄회 단용구에서는 토양의 산도중화능이 우수하였고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및 붕소의 증가와 아연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석탄회+석고+패각 혼용구에서는 토양산도의 중화와 함께 마그네슘의 증가와 철, 망간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배추 수확기 토양에서의 세균수/진균수와 (세균수+방선균수)/진균수 비는 석탄회 단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량제시용에 따른 배추의 생육은 초기에만 알카리장해로 부진하였고 중기 이후에는 대조구와 달리 칼슘결핍 없이 증수된 경향이었다. 처리별 증수효과는 대조구 수량 135.3t/ha을 기준으로 석탄회+석고+패각 혼용구에서 23%, 석탄회+석고 혼용구에서 21%, 석탄회 단용구에서 19%, 패각 단용구에서 18%였다. 수확된 배추체내 N, P, K, Ca, Mg, Fe, Mn, Zn, B, 환원당, 비타민-C는 석탄회 단용구와 석탄회+석고+패각 혼용구에서 높았다.

  • PDF

'홍이슬' 포도의 상품성 기준과 적정 착과량 (Suitable Yields Reflecting Consumer Preferences in 'Hongisul' Grapes)

  • 박요섭;이별하나;정명희;김희섭;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03-30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홍이슬' 포도의 관능적 품질을 객관적으로 예측하는 지표와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기호가 반영된 적정 착과량을 구명하여 국내 포도 시장에서의 품종 다양화와 신품종의 보급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 한 이화학적 품질 한계 조사 결과, 당산비가 '홍이슬' 포도의 소비자 선호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확인되었으며, 상품성을 갖는 당산비 한계는 86.3으로 조사되었다. 착과량 조절에 따른 과실품질 조사 결과, '홍이슬' 포도 역시 다른 품종과 같이 생산량이 적을수록 과실 품질이 향상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10a당 1,400kg의 착과량 처리구는 당산비가 상품성 기준인 86.3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착색이 불량하고 과육 연화가 더디게 진행되는 등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반적인 과실의 성숙이 불량하였다. 또한 착과량이 10a당 1,200kg 이하에서는 과실 품질이 우수한 수준으로 착과량에 따른 차이가 없어 '홍이슬' 포도 재배 시 생산량을 10a당 1,200kg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생산성과 소비자 기호를 반영한 과실 품질을 동시에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결과는 '홍이슬' 포도의 수확기와 과실 품질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북서부지역에 발생하는 서부양벚과실파리의 발생 월동 후 발생 동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Western Cherry Fruit Fly, Rhagoletis indifferens Curran (Diptera: Tephritidae), after Overwintering in the Pacific North West Area of USA)

  • 송유한;안광복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17-227
    • /
    • 2007
  • 서부양벚과실파리(Rhagolettis indifferens Curran)은 미국 북서부지역 및 California 북부에서 재배되는 단체리(Prunus avium)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체리의 수출을 위한 식물검역에서 Zero Tolerance의 규제를 받고 있는 이 해충의 방제를 위해 농가에서는 월동 후 우화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약제를 살포하고 있으며, 살충제 처리의 적기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부양벚과실파리를 대상으로 월동 후 성충의 우화 및 발생시기, 유충의 밀도변화, 번데기의 용화시기 및 밀도변화 등을 정량적으로 추적하여 개체군 밀도의 경시적 변동과 월동 후 우화시기를 예측하는 모형 검정의 기초자료로 사용코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황색끈끈이트랩, 우화케이지, 용화트랩 등을 이용하여 실제 과원에서 각 태별 발생경과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체리 과실이 달리는 시기부터 일정 간격으로 과실을 수거하여 시기별 과실 내부의 유충 수를 조사하였고, 실내에서 용화케이지를 이용하여 용화시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월동 성충의 우화는 5월 중순에 시작하여 6월 초순에 정점에 도달하였고, 6월 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과실 당 1마리 이상의 유충이 존재하였다. 7월 중순에 번데기의 수가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월동 중에 토양습도 등의 조건에 따른 번데기의 발육속도 및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대량의 번데기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에서 나타난 과실파리의 월동 후 개체군 밀도변동과 용화시기를 Song et al.(2003)의 모형에서 예측한 결과와 비교한 결과 모형에 의해 예측된 발생일과 실측 발생일과는 1$\sim$2일 차이로 매우 정확하게 예측이 되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에서 획득한 포장 실측자료는 누적 우화일, 유충의 발육단계, 산란일 등 다른 중요한 생물학적 사건을 예측하는 모형의 정확도 검정에도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