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Coaching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역도 인상동작에 대한 근력의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Muscle Contribution on Snatch Motion)

  • 강찬금;박은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5-27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s, suggesting methods that can be utilized at games and coaching movements in the snatch, by analyzing the level of contribution of muscles to the movements of the snatch lift through three-dimensional imaging and EMG analysis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lifters. To this end, three high school students (the skilled group), three middle school student (the unskilled group) were selected; two digital video cameras and electromyography were used. The muscles measured by an EMG include gastrocnemius muscle, biceps femoris muscle, erector spinae, latissimus dorsi muscle, trapezius muscle, and brachioradialis. Based on the Ariel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PAS)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erforming snatch pulls, the skilled lifters were found to simultaneously move the weight centers of the body and the barbell close to vertical, close to the shoulders in the pulling portion; in snatching and grabbing the barbell from a sited pos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shorter the time for adjusting to change in the height of the barbell by using rotational inertia, the better it is to perform the movements. 2. The skilled lifters were observed to perform stable and efficient movements in grabbing the bar in a sited position, by moving the barbell and weight center of the body close to vertical and moving the shoulder joint under the bar fast. 3. The results of the EMG analysis of the entire movements from the snatching portion to the portion of grabbing the bar in a sited position show that when the skilled lifters lifted the barbell vertically during the pulling portion, their shoulder joints were extended to put more weight on biceps femoris muscle and brachioradialis; and in snatching and grabbing the bar from a sited position, it was found desirable to increase the myoelectrical activity of erector spinae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 in the movements of the hip joint between font and rear, as the weight centers of the body and the barbell move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unskilled lifters were found that in response to change in posture, they increase their muscular strength inefficiently in performing the movements throughout the entire lifting process.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Meditation Intervention on th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 김귀원;김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9-5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을 가지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차명상 프로그램이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B시 B대학 평생교육원에 자발적으로 등록한 경도-중등도의 우울증을 경험하는 20명을 선발하여, 실험 및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매주 2회씩 80분 동안 5주에 걸쳐 10회기의 차명상 프로그램 참여하였다. 마음챙김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을 사전, 사후, 추후에 각각 측정하여 반복측성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통제집단의 참여자들보다 마음챙김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도 유의미한 수준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인 자기 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 삶의 목적 및 개인적 성장이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각각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을 치유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킨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차명상 프로그램은 우울성향을 가진 중년여성들의 마음챙김 능력을 함양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적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한계점과 향후 후속연구에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Process Evaluation of a Mobile Weight Loss Intervention for Truck Drivers

  • Wipfli, Brad;Hanson, Ginger;Anger, Kent;Elliot, Diane L.;Bodner, Todd;Stevens, Victor;Olson, Ry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19
  • Background: In a cluster-randomized trial, the Safety and Health Involvement For Truck drivers interventio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dically meaningful weight loss at 6 months (-3.31 kg between-group difference). The current manuscript evaluates the relative impact of intervention components on study outcomes among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condition who reported for a post-intervention health assessment (n = 134) to encourage the adoption of effective tactics and inform future replications, tailoring, and enhancements. Methods: The Safety and Health Involvement For Truck drivers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a Web-based computer and smartphone-accessible format and included a group weight loss competition and body weight and behavioral self-monitoring with feedback, computer-based training,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Indices were calculated to reflect engagement patterns for these components, and generalized linear models quantified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 components and outcomes. Results: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full program-defined dose of the intervention had significantly greater weight loss than those who did not. Behavioral self-monitoring, computer-based training, and health coach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ietary changes, whereas behavioral and body weight self-monitoring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Behavioral and body weight self-monitoring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weight loss. Conclusion: Web-based self-monitoring of body weight and health behaviors was a particularly impactful tactic in our mobile health intervention. Findings advance the science of behavior change in mobile health intervention delivery and inform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grams for dispersed populations.

자기관리 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효과성 분석 (The Curriculum Effectiveness Analysis for Improvement of Self-management Leadership Competency)

  • 심태은;이송이;김유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13-523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관리 리더십' 교과목을 통하여 향상된 자기관리 리더십역량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대학의 자기관리역량 교과목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D대학교에서 핵심역량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교과내용을 수강한 실험집단 221명과, 교과내용을 수강하지 않은 통제집단 204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실험을 통하여 자기관리역량, 목표관리역량, 관계형성, 리더십, 협동역량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통제집단 보다 실험집단이 보다 높은 향상도를 보였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목표관리와 협동역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와 함께 자기관리와 리더십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인식하는 향상된 역량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목표관리 역량이 가장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 영역에서는 성격, 자아성찰, 자신감 등의 영역에서 역량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관리 영역에서는 시간관리, 목표설정, 비전 등의 영역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관계형성 영역 중 수강생들이 가장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내용은 의사소통, 경청, 대인관계, 코칭질문 등으로 나타났다. 리더십 역량과 관련해서는 문제해결과 영향력이 가장 많이 향상된 영역으로 나타났고, 협동능력에서는 팀플 역량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ㆍ희망증진프로그램이 자기간호 행위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백혈병 환자 중심-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elf-Efficacy and Hope on the Self-Care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eukemia)

  • 오복자;이은옥;태영숙;엄동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27-638
    • /
    • 1997
  • Most patients having leukemia suffer severely from emotional turmoil due to the generalized perception that cancer will be fatal. The conventional chemotherapy results in side effects such as severe bone marrow depression which interfere with self-care management, vital for improvement in their condition. Bandura's theory of the self-efficacy suggests that self- efficacy can be enforced by performance attainments,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the release of emotional arousal. Self-efficacy can be enforced by a program of vicarious experiences and verbal persuasion, while the emotional arousal can be relieved through a hope promotion program, If once self-efficacy increases, the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will also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test the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elf-efficacy and hope, on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leukemia.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approaches to enhance self-efficacy and hope were used : 1) a 20-minute long slide /tape for vacarious experiences : 2) a 10-minute long telephone call coaching for verbal persuasion ; and 3) two booklets for information about the symptoms of leukemia and treatment modalities and hope promotion. Thirty one patients were recrui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with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patients with leukemia undergoing chemotherapy. Sherer and Maddux's self-efficacy scale, Nowotny's hope scale, and Padilla's quality of life scale were employed with some modifications. A self-care behavior scal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paired t-test, Chi-square, ANCOVA and ANOV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levels of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four weeks of intervention(F=28.71, P=.0001 ; F=63.35, P=.0001 F=16.57, P=.0001). After ten weeks of intervention,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hope &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F=74.12, P=.0001 ; F=108.34, P=.0001 ; F=13,11, P=.001 : F=43.52, P=.0001). In conclusion,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creased mainly through an increase in self-efficacy, while increases in hope took more time and effort.

  • PDF

과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 및 효과 분석 (The Application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in Science Classes and Analysis of It's Effects)

  • 박수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353-364
    • /
    • 2009
  • 과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 기능과 협동 기능을 신장하도록 하는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을 위한'문제상황'을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후 학습자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하였다. 고등학교 10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온실효과를 줄이기 위한 미래의 에너지'와 '인도네시아 산불과 엘니뇨'라는 문제 상황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학습지를 활용한 교사중심 수업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능력 수준과 무관하게 문제중심학습이 교사중심 수업보다 과학 성취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이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수업의 즐거움 범주에서는 효과가 나타났으나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 범주와 과학적 태도의 적용 범주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주어진 문제상황에서 문제를 구체적으로 진술해 내는 과정을 가장 어려워하면서도 또한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과학 교육과정에 기초하면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상황의 개발이 우선적인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흡연 실태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Smoking condition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and relations with self-esteem in a local district)

  • 이성림;고은경;최정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3-13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smoking condi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knowledge regarding smoking and oral hygien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esteem,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developing programs for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Methods : From September 7, 2010 to September 16, 2010,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66 femal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dental hygienics at a local district in Jeollanam-do.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multiple range test, Perason's correlatio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Results : 1. Smoking condition of study subject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17.1%, where 14.0% of previous smoking history, and 68.9% of currently nonsmoker. 2. Analysis on the knowledge related to smoking and oral hygien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 esteem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have shown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non-alcohol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knowledge about smoking and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ccording to current resident status, but no difference found in self-esteem. Higher academic grade was related to high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better ics. aalcell. Better health, but no diffeoral hygiene were related to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be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vorable interpersonal self-estehip was related to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3. Analysis on knowledge regarding smoking related health and oral hygien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anti-smoking knowledge in non-smoking group(60.44) compared to currently smoking group or group with previous history of smoking, and bett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non-smoking group(53.54) than other group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Correlation analysis among smoking related knowledge,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and self-esteem has foun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smoking related knowledge and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0.481, p<0.001). 5. Among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higher level of smoking related knowledge and satisfaction to specialty was related to high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which was lower in current smoker than past smoker, and higher academic grade was related to higher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y. Conclusions : Following results emphasize the need to establish a novel curriculum by which effective programs for smoking prevention and education of anti-smoking specialist could be provided as well as promoting coaching anti-smoking activity.

유산소 운동과 짐볼 운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만아의 간 기능평가 지수와 Adipokine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Gym-ball Exercise on the Liver Function Test Index, Adipokin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Children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이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61-12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12주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군과 짐볼 운동군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중, BMI, 체지방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Adiponectin의 증가와 Leptin의 감소로 인해 인슐린저항성과 혈당, 인슐린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Adipokine들의 긍정적인 기능들로 인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을 평가하는 간 기능 평가지수인 AST와 ALT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비만아동뿐만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 있어 유산소운동 뿐만 아니라 짐볼 운동에서도 운동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규칙적인 운동은 심폐체력 증진 및 혈중지질의 감소와 함께 혈중 Adiponectin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서 인슐린저항성 개선을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기능 개선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발병의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형 웰니스 척도(KWS)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Wellness Scale)

  • 최경화;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127-17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중요 영역에서의 웰니스(wellness) 추구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웰니스 척도개발을 위하여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심층 인터뷰, 개방형 설문 1, 2차를 거쳐서 도출된 31개 요인, 182문항은 최종 10개 요인, 99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한국의 일반 성인 351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 결과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요인 58문항을 도출하였고, 각 요인에서 중요한 개념을 반영한 문항들을 일부 수정해서 10개 요인 63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고, 또 다른 집단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10개 요인(일, 공동체, 가족, 타인, 경제력, 자아존중, 여가, 신체 건강, 영성, 자기 성장) 63문항을 도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도출된 웰니스 척도와 그 하위요인들이 실제로 웰니스를 측정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신적 웰빙 척도(K-MHC-SF)와 웰니스 지표(Wellness Index for Workers)를 사용하여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Happiness Scale)과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변인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경로에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웰니스 척도의 '자아존중' 은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남자 노인의 골프 수행력 향상을 위한 연구 : 동적 준비운동을 중심으로 (A Study for Improving the Golf Performance of Senior Male Golfers : a focus on Dynamic Warm-up Exercise)

  • 곽규훈;정채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9-77
    • /
    • 2020
  • 우리나라 골프 열기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골프 강국에 못지않다. 55세 이상의 시니어 골프 인구도 25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들은 골프참여 보다 골프 경기력 향상에 관심이 높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남자 노인의 골프 수행력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동적 준비운동이 골프 체력과 골프타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동적 준비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실험집단(n=13)과 통제집단(n=14)으로 구분하여 사전-사후설계로 이원변량분석에 의한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골프 체력에서는 유연성 요인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으며, 골프타구에서는 헤드 스피드, 비거리, 어택 앵글이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동적 준비운동이 남자 노인의 골프 수행력에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동적 준비운동을 통해 신체의 유연성 가동범위 증가로 헤드 스피드, 어택 앵글에 긍정적 전이로 이어지게 되면서 비거리 향상과 함께 경기력 수준이 높아진다는 정보를 도출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