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management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 지역별 지하수위 변동 요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Hydraulic Factor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by Region in Jeju Island)

  • 정지호;박재성;고은희;박원배;정진아
    • 지질공학
    • /
    • 제32권2호
    • /
    • pp.257-27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전역에 대해 발생하고 있는 지하수위 저하 현상의 원인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지하수위, 강수, 지하수 이용량 시계열 자료 및 토지 이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지하수위 저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반응표면 분석법 및 민감도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역별 강수 및 지하수 이용량 변화가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였으며, 획득된 영향력 지도 및 다양한 공간통계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하수위 하강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별 지하수량 관리를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서부지역의 지하수위 하강률이 동부지역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부지역은 지하수 이용량이 지하수위 변동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부지역의 경우,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강수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지하수위 저하율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강수량 대비 지하수 이용량의 증가율이 서부지역에 비하여 빠르게 발생하고 있고, 동부지역의 넓은 기저 지하수대 형성 양상 및 해수 침투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점에서 미루어 보았을 때, 지하수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의 절대량은 줄어들었음에도 염수압으로 인하여 지하수위 저하가 크지 않은 것처럼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종합하였을 때, 서부지역에 대한 지하수량 관리를 위해서는 강수 및 지하수 이용량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동부지역은 이 외 광역적인 수리학적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요소(해수면 변동, 염수-담수 경계 위치, 등)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부 및 서부지역의 지하수위의 변동 특징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 지하수량 관리를 위해 각 지역에 최적화된 관리 방안이 제시 및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in Sukhuma District of Laos

  • VONGPHACHANH, SINXAY
    • 물과 미래
    • /
    • 제52권8호
    • /
    • pp.28-33
    • /
    • 2019
  • This study is presented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in Sukhuma District of Southern Laos. The groundwater recharge is estimated by using the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from observation groundwater levels at eleven domestic wells and five paired observation wells (shallow and deep). The results show that a value of specific yield for the shallow fractured sandstone aquifer in the Sukhuma District is quantified at approximately 0.03, Groundwater recharge for 2012-13 and 2015-16 is estimated at 5% (118 mm) and 4% (95 mm) of annual rainfal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planning in Sukhuma District. The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may be also useful for studying the groundwater recharge in regions with limited field data.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포항시 지하수 잠재가능성도 작성 및 검증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ping and its verific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in Pohang city)

  • 이사로;김용성;원종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15-12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공간자료 분석을 통한 포항지역의 지하수 개발적지 선정 및 검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물수지, 토지이용, 임상도, 토양분포, 지형고도, 경사, 수문지질 및 선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자료 및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산출성 표본자료와 상관 분석하여 수문지질 특성평가를 실시하여 수문지질특성에 따른 지하수 산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항시의 지하수 개발 적지 선정을 위한 지하수 잠재 가능성도를 작성하였고, 이를 지하수 산출량 자료와 비교 검증을 하였다. 검증 결과 지하수 개발 적지 분석 결과와 지하수 산출량 자료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지하수 개발 적지 선정 결과는 지하수 개발에 관련된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유역단위 지하수 수질등급 평가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on a Watershed Scale by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 김정직;현윤정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186-195
    • /
    • 2021
  • In Korea, groundwater quality is monitored through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NGQMN) administer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For a given contaminant, compliance to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is assessed on a annual basis by monitoring the number of incidents that concentration exceeds the regulatory limit. However, this approach provides only a fractional information about ground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more crucial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contamination cannot be obtained. For better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on a watershed, a more spatially informative and intuitive method is required. This study presents two statistical methods to convert point-wise monitoring data into information on groundwater quality status of a watershed by using a proposed grading scale. The proposed grading system is based on readily available reference standards that classify the water quality into 4 grades. The methods were evaluated with NO3-, Cl-, and total coliform data in Geum River basin. The analyses revealed that groundwater in most watersheds of Geum River basin is good for domestic or/and drinking with no treatment. But, there was notable quality degradation in Bunam seawall and So-oak downstream standard watersheds contaminated by NO3- and Cl-, respectively.

먹는샘물과 병입수로 이용되는 천연 광천수의 국내외 관리와 연구 동향 분석 (Recent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nagement and Research of Natural Mineral Water Used for Bottled Water)

  • 고동찬;고경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6호
    • /
    • pp.9-27
    • /
    • 2018
  • In recent years, the sales of bottled spring water (BSW)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ing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hich accompanied great interests in conservation and reclamation of natural mineral water (NMW). In this study, management and research activities on NMW in Europe, USA, and Codex Alimentarius were reviewed. In each region, NMW is regulated with its own quality standards that differ from ordinary drinking water, and management actions are strictly implemented to protect water resources and to secure quality of NMW. Many studies on NMW were carried out for monitoring inorganic constituents including major and trace elements in national levels for bottled NMW, groundwater, and tap water in other countries. In Korea, NMW became commercialized in 1995 when BSW was legally approved as a drinking water. To further promote utilization of various types of NMW in Korea, regulations and policies for NMW need to be revis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NMW management trends. Further, studies of NMW that compile a comprehensive set of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of NMW are also needed to properly understand occurrences, hydrogeological and geochemical processes of NMW, as well as to evaluate its potential use as a natural resource.

제주특별자치도 물인프라 현황 및 개선방향 (Current statu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water infrastructure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 김진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97-505
    • /
    • 202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s water infrastructure and recommends directions for improvement. JSSGP relies on groundwater for most of its water resources. Recently, water usag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residents and tourists while the quality of groundwater has been steadily worsening. Deterioration in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can be seen through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nitrate nitrogen and microorganisms. To overcome such problems, water consumption must be reduced by water demand management in all fields including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water use. The quality of water resources should be preserved through the management of pollutant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great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leakage rates in household and agricultural water, which is currently at the highest level in the country. Furthermore, diversification of water intake sources other than groundwater is needed, especially for agricultural water supply. For water and sewerage facilities, compliance with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nd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s must be achieved through the optimization of operation management. This process requires recruiting professionals, improving existing workers' expertise, and improving facilities.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gional Groundwater Recharge Ratio)

  • 최병수;안중기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7-65
    • /
    • 1998
  • 근래에 우리나라에서도 지하수부존량과 개발가능량의 산정방법에 관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고있으나 대개 전국적이거나 광역적인 개념으로 검토되어 왔다. 지하수 이용계획 수립 또는 지하수 환경 영향평가의 관점에서는 소 구역의 지역단위 개념으로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분석하여야 하므로 지역단위 지하수함양량 산정방법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지역단위 지하수함양량 산정에 대하여 실무적으로 쉽게 적용할수 있는 두가지 방법을 연구하여 제안하였다. 그 하나는 SCS-CN방법에 의하여 강우의 침투량을 구하고 여러해의 평균 침투량과 평균 강우량을 비교하여 지하수 함양율을 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연상태의 지하수위 변동량을 관측 분석하여 지하수 함양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 PDF

매립지 지하수 오염물 확산이송의 유한요소 모형 (A Finite Element Model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Landfill Site)

  • 류병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95-511
    • /
    • 1996
  • The quantitative study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a porous media is a difficult task. For complex problems, numerical solutions are the most effective means to study the movement of contaminants in the groundwater, The solute transport model used in this study has proved to be an efficient tool to model contaminant transport for complex problems. The model demonstrates its effectiveness in reproducing the coniamination by ihlorides of the groundwater at the landfill site due to leachath from the wastes. It describes the two dimentional solute transport and alteration of the water quality and forecasts the contamination for different management alternatives of the landfill. The model also indicates how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can be contained within the lower site if a barrier is constructed downstream of the disposed was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