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spray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한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니코니아의 제조와 전기 전도도 (Prepara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candia Stabilized Zirconia by using Ultrasonic Spray Pyrolysis)

  • 최영훈;백동현;박영철;임경태;서동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690-695
    • /
    • 2007
  • Scandia stabilized zirconia (ScSZ) is adapted for electrolyte material of solid oxide fuel cell (SOFC) because of its high ionic conductivity and chemical stability. ScMnSZ1 powder having a composition of $((ZrO_2)_{0.89}(Sc_2O_3)_{0.1}(MnO_2)_{0.01})$ is synthesiz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USP) method. Porous ScMnSZ1 powder is obtained by using a pore forming agent. Microstructure and morphology,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orous powder synthesized with 3wt% pore forming agent are investigated. Sintered ScMnSZ1 sample with ground fine powder are also investigated their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intered ScMnSZ1 samples with ground fine powder was 0.082 S/cm, 0.127 S/cm and 0.249 S/cm at $750^{\circ}C$, $800^{\circ}C$ and $900^{\circ}C$, respectively.

접지시스템의 부식 방지를 위한 CNT/PVDF 복합막의 내부식 특성 (Anti-corrosion Property of the CNT/PVDF Composite Coating Films for Preventing the Corrosion of the Ground System)

  • 임영택;신백균;최선규;이선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736-739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enhanced anti-corrosion property of the ground system by coating the CNT/PVDF composite film on it. Polymer material used for preventing the corrosion of ground system i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conducting filler for obtaining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film is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The MWCNTs were dispersed in the organic solvent of methyl ethyl ketone 2-butanone (MEK)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ratios, and the PVDF was solved in the MEK solvent with constant concentration ratio of 1 wt%. The CNT/PVDF composite solution was perpared by mixing and re-dispersing the CNT solution and the PVDF solution. Finally, the CNT/PVDF composite films were fabricated by the spray coating method using the above composite solution. Electrical conductivity, surface states, and anti-corrosion property of the CNT/PVDF composite films coated on the Cu substrate were evaluated. We found that the CNT/PVDF composite film showed relatively low resistance, hydrophobic surface state, and chemical stability. Consequently, we could improve the anti-corrosion property and mainta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ground system by coating the CNT/PVDF composite film on it.

분무열분해법으로 CeO2:Er/Yb 형광체 제조 및 발광특성 최적화 (Preparation and Luminescence Optimization of CeO2:Er/Yb Phosphor Prepared by Spray Pyrolysis)

  • 정경열;박재훈;송신애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19-325
    • /
    • 2015
  •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 서브 미크론 크기의 $CeO_2:Er^{3+}/Yb^{3+}$ 상향 변환 형광체 입자를 합성하고 $Er^{3+}$$Yb^{3+}$ 농도 변화에 따른 발광특성을 조사하였다. 합성한 $CeO_2:Er^{3+}/Yb^{3+}$$Er^{3+}$ 활성이온의 $^4S_{3/2}/^2H_{11/2}{\rightarrow}^4I_{15/2}$$^4F_{9/2}{\rightarrow}^4I_{15/2}$ 전이에 기인한 강한 녹색 및 적색 발광을 보였다. 가장 높은 발광을 보이는 활성제 농도는 Er = 1.0% 그리고 Yb = 2.0%이며, 농도소광 현상은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남이 확인되었다. 레이저 다이오드 여기 광 세기에 대한 발광강도 의존성을 활성이온 농도에 따라 조사하였고, 발광 중간 에너지 레벨의 주 소멸과정을 고려하여 발광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Yb^{3+}$에서 $Er^{3+}$으로 에너지 전달은 바닥 상태 흡수(ground state absorption, GSA)에 기여하고, $Yb^{3+}$ 도핑은 $^4I_{11/2}{\rightarrow}^4I_{13/2}$ 전이를 가속화시켜 적색/녹색 발광세기 비를 상승시킨다. 최종적으로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CeO_2:Er^{3+}/Yb^{3+}$ 형광체의 발광은 선형 감쇠가 중간 에너지 레벨의 고갈을 지배하는 2 광자 프로세스에 의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솔잎혹파리의 성충밀도를 줄이기 위한 점착물질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se of Sticky Agent for Control of Population Density Of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TDA et INOUYE)

  • 우건석;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3-160
    • /
    • 1979
  • 본 시험은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솔잎혹파리 우화성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면산포, 지피식생 및 수간산포의 세 방법으로 이 시험을 위해 조제한 점착제 $C_4$를 이용하여 경기도 안양시 산본리에서 시기별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착제로 선정된 $C_4$의 조성은 피마자유 $70\%$, Damar 수지 $25\%$, Carnauba Wax $5\%$였으며 점성, 점도의 지속성이 우수하였고, 약해가 비교적 낮았다. 2. 지면산포구에서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수는 대조구에 비해 G-II구는 $78.0\%$가 감소 되었다. 3. 지피식생산포구에서는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 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P-I구는 $63\%$, P-II구는 약 $90\%$가 감소되었다. 4. 수간산포구에서는 충영형성율이 F-I구가 $32.8\%$ F-II구는 $40.8\%$, F-II구는 $59.4\%$로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충영형성율이 낮았으나 F-I구는 F-II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소나무의 상${\cdot}$${\cdot}$하부위별 충영형성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5. 점착제의 산포시기는 전처리구에서 우화최성일 1주일전이 효과적이었다.

  • PDF

감귤원에서 초생관리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조합처리가 귤응애와 천적의 발생양상에 미치는 단기효과 (Effects of Ground Vegetation and Pyrethroid Spra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and Natural Enemies in Citrus Orchard: A Short-term Effect)

  • 현승용;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55-2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귤원에서 초생재배 유무(초생재배 W, 제초제 살포 NW)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유무(살포 P, 무살포 NP)에 따른 귤응애의 개체군 동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두 가지 기본적인 가설로 1) 초생재배는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천적의 정착을 높이므로 귤응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2) 합성피레스로이드계는 천적을 제거하여 귤응애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관측된 천적 개체군(주로 이리응애류와 마름응애류)의 발생은 가정에 근거한 기대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1년의 경우 NW+NP 처리구와 W+NP 처리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2012년 실험에서는 기대치와 관측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약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시 천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잡초효과는 엇갈리는 결과를 보였는데, 봄-유래 여름 개체군 대비 가을 개체군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초생재배를 하는 경우 천적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다만,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구에서 귤응애가 감소하는 비이상적인 결과는 귤응애의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에 대한 강한 기피성을 전제로 해석할 수 있었다.

사과원 잡초관리 방법에 따른 사과해충 및 천적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hagous Arthropods and Their Natural Enemies at Different Weed Management Systems in Apple Orchards)

  • 김동순;이준호;전흥용;임명순;김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6-265
    • /
    • 1995
  • 사과원 잡초군락이 해충 및 천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제거한 구(제초구)와 수관하부까지 잡초를 키우면서 인력으로예초한 구(예초구)에서 수상의 해충 및 천적과 잡초상의 곤충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발생은 처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응애류의 경우는 예초구에서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사과굴나방의 경우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피해엽률이 10% 정도 낮았고, 1994년은 4% 정도 낮은 발생을 보였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천적류 발생은 쳬초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사과굴나방의 기생청 천적류는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6~10%, 1994년에는 20~25% 높은 발생을 보였다. 사과원 잡초상에서 포충망을 이용 곤충류를 채집 조사한 결과, 사과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과해충 천적류로서 좀벌류, 고치벌류, 애꽃노리재, 무당벌류, 풀잠자리류 등이 발견되었다. 사과생육기간중 잡초상 및 수상에서 군충군집변화는 상이하였다. 수상에서의 곤충군집형성에 약제살포가 큰 영향을 주었으나, 잡초상에서는 약제살포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이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사과원 잡초는 수상의 사과해충 및 천적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사과굴나방 기생벌같은 기주특이적인 천적들은 수상이동에 의하여 밀도억제작용을 하였고, 잡초상에 먹이가 풍부하거나 또는 광식성인 천적들은 잡초상 곤충군집에 연관되어 수상의 해충밀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에 의한 장미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rown gall disease on rose by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 박광훈;차재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0-53
    • /
    • 2001
  • 최근 우리나라의 여러 작물에서 뿌리혹병(근두암수병(根頭癌睡病), crown gall)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중요한 화훼작물인 장미를 재배하는 시설하우스에서 뿌리혹병의 발생은 매우 심한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병에 대한 방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성공적으로 뿌리혹병의 생물농약으로 개발된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의 장미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검정하여 국내에서 장미 뿌리혹병의 방제에 그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마의 지상부에 인위적인 상처를 주고 병원균을 접종하기 전에 그리고 접종 후 A. radiobacter K84 균주 현탁액의 살포는 뿌리흑병의 발병률과 혹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켰다. K84 균주를 처리한 장미에서 뿌리혹병의 발병률은 $5.0{\sim}6.7%$로서 병원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구에서의 발병률 85%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K84 균주를 처리한 장미에서 형성된 혹의 크기와 생체중도 병원균만을 접종한 대조구 장미에 형성된 혹의 $4{\sim}5%$로서 K84 균주의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다. 장미의 뿌리에 인위적인 상처를 주고 병원균의 접종 전 및 후에 K84 현탁액에 침지 처리한 경우에도 혹의 크기, 생체중 그리고 병 발생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K84 균주 치리에 의한 지상부 혹의 생물적방제가는 $92{\sim}94%$이었고, 뿌리에서의 뿌리혹병 생물적방제가는 $51{\sim}59%$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A. radiobacter K84 균주의 처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장미 뿌리혹병을 방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고추 밭 잡초 관리를 위한 제초제 체계 처리법 개발 (Study for Sequential Application of Herbicide to Establish an Efficient Weed Control in Red Pepper Field)

  • 민이기;소윤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13-218
    • /
    • 2016
  • 고추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잡초 방제를 위한 약제처리 체계와 약제 살포 방법을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제초제를 2회 체계 처리 방법이 효율적이었다. 1) 바랭이가 우점하는 포장에서는 잡초 발아 전 토양 처리제인 pendimethalin를 정식 후에 1차 처리하고 약 20~30일 후 바랭이가 3~5엽기일 때 화본과 선택성 제초제 fluazipfop-P-butyl EC와 pendimethalin EC를 혼용하여 2차 체계 처리를 하면, 2차로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를 살포할 경우와 비교하여 약해의 우려 없이 80일간 효율적으로 잡초를 방제 할 수 있었다. 2) 화본과 잡초 외에 방동사니과와 광엽잡초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과 토양 처리제 pendimethalin EC를 혼용해서 잡초 초장이 20 cm 정도 자랐을 때 1차 처리하고, 30일 후 다시 잡초가 재생하여 20 cm 이하로 자랐을 때 glufosinate-ammonium SL을 2차로 체계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3)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의 휴간 처리 시 약액의 비산에 의한 고추 약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추 초장이 18 cm 정도로 낮을 경우(정식 20일 후) 약제살포 노즐의 높이를 15 cm 이하로 하여 살포하면 약해는 거의 없었다. 정식 후 40일경에는 고추 초장이 40 cm 이상인 경우 살포 높이를 30 cm 이하로 조절하여 처리하는 것이 약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밭과 나지에 산포된 주요 잔디밭용 제초제의 휘산 (Volatility of Herbicides Sprayed in Zoysia japonica Turf and Bare Soil)

  • 김석정;박진희;죽내안지;김길웅;신동현;허영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3-270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ss of various herbicides by means of vola-tility from the turfgrass field and the hare ground with the different soil moisture contents and temperatures. Different herbicides were applied at the rates of 375 g a.i. /l0a of pendimethalin,250 g a.i. /l0a of napropamide, and 96.4 g a.i. /l0a of dicamba with 200 \ulcorner/10a of spray volume in the turfgrass(Zoysia japonica cut off 5cm) grown in pots(265.8 $cm^2$) and bared soil. The pots were placed in the growth chamber with 10,000 lux of light intensity(12h per day) at 25 and 35˚C for 7days. Amberlite XAD polymeric resin(20/50 mesh) was used as sampling media for herbicide airborne residues. Air flow was maintained at 10 \ulcorner /min by vacuum pump regulated with a factory calibrated flow meter. Herbicide airborne residues were extracted from the XAD resin with 300 ml of 1:1 acetone and hexane. The extracts were concentrated by rotary evaporation at 35˚C and dissolved in 1 ml MeCN for HPLC analysis. The airborne losses of the herbicide applied in the turfgrass and bare soil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kinds of herbicide. Higher airborne residues was observed in the turfgrass pots than the bare soil pots. Pendimethalin and dicamba with higher vapor pressure gave rise to the increased loss of airborne herbicides, showing that 6.26 and 6.4% of average airborne loss in pendimethalin and dicamba, respectively, compared to 0.56% in napropamide. The amount of airborne losses in turfgrass was highest at one day after application and then a declined trend was observed as the time was prolonged. Key words. Herbicides, Turfgrass field, Bare ground, Volatility.

  • PDF

붐방제기의 균일량 살포를 위한 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Control System for Uniform Application Rate on a Self-Propelled Boom Sprayer)

  • 조성인;정창주;이동훈;이중용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406-413
    • /
    • 1996
  • A control system for a self-propelled boom sprayer to spray at uniform application rate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he ground speed of the sprayer was converted into voltage. The voltage was used as an input signal. Output signal was current of a servo motor, that controlled application pressure of the sprayer with a feedback control system. Spraying was executed at the pressure of 20~55 psi and the speed of 0.640~0.696 km/hr and 1.040-1.131 km/hr. Although the pressure and the speed of sprayer were changed continuously, application rate was tried to keep a nearly constant amount of 666.67 L/ha. This result showed that the developed control system for uniform application rate was adoptable for the self-propelled spray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