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gea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wimming Movements of Flatfish Reacting to the Ground Gear of Bottom Trawls

  • Kim, Yong-Hae;Wardle Clem S.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167-174
    • /
    • 2006
  • Two typical responses have been documented for flatfish when they encounter the ground gear of bottom trawls: herding response and falling back response. These two responses were analyzed from video recordings of fish and were characterized by time sequences for four parameters: swimming speed, angular velocity, accelera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fish and the ground gear. When flatfish displayed the falling-back response, absolute values of the three swimming parameters and their devi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during the herding response. However, the swimming parameters were not dependent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latfish and the ground gear, regardless of which response occurred. The dominant periods for most of the movement parameters ranged from 2.0 to 3.7 s, except that no periodicity was observed for swimming speed or angular velocity during the falling-back response. However, variations in the four parameters during the falling -back response revealed greater irregularity in periodicity and higher amplitudes. This complex behavior is best described as a chaos phenomenon' and is discussed as the building block for a model predicting the responses of flatfish to ground gear as part of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fish capture process.

기선권현 강의 연구-III (Study on the Anchovy Boat Seine-III Experimental Operation of the Improved Gear Model 79)

  • 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5권2호
    • /
    • pp.83-94
    • /
    • 1979
  • 權現網漁具의 網形에 관하여는 李등이 1971년에 在來式에 관하여, 1978년에 日本式 파치網에 관하여 模型實驗을 실시하여 보고한 바 있으나, 이번에 이들 漁具의 場点을 살리면서 短點을 보안한 試驗漁具改式良 79型을 재작하여, 197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멸치漁場이 형성되는 廈南一圓에서 試驗操業을 실시하여 그 漁具의 性能을 검토하고, 漁獲性能을 비교한 바, 그 性能이 在來式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 PDF

ADAMS를 이용한 항공기 착륙장치 지상 충격하중 및 동적거동 해석 (An analysis on the ground impact load and dynamic behavior of the landing gear system using ADAMS)

  • 최섭;이종훈;조기대;정창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14-122
    • /
    • 2002
  • 착륙장치 시스템의 개발은 설계특성상 충격흡수 성능에 대한 설계 파라메터, 최소한의 작동공간, 복잡성 및 중량과 비용 등의 복합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항공기 착륙에 따른 지상충격하중 및 동적거동은 착륙장치 자체 구성품 뿐만 아니라 장착구조물의 설계 하중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설계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T-50 착륙장치를 모델로 ADAMS를 이용하여 지상 충격하중 및 동적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항공기 운용/환경조건을 고려한 충격흡수특성 해석은 다양한 설계경험을 토대로 수행하였다. 설계변수 설정, 완충기에 작용하는 내력정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여 착륙 수직속도, 착륙 자세, 착륙 수평속도, 완충효율, 장착위치 작용하중 등을 고려한 해석결과와 동적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새로운 착륙장치 개발시 범용적인 해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상/비행시험의 문제점 발생시 고장탐구 해결에 활용할 수 있다.

무인기용 착륙장치 측력 모델링 및 지상활주 제어기 설계 (Side Force Modeling of Landing Gear and Ground Directional Controller Design for UAV)

  • 조성봉;안종민;허기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997-1003
    • /
    • 2014
  • 무인항공기의 자동이착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동 지상활주 제어는 반드시 설계되어야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지상활주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착륙장치 모델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착륙장치 모델링을 완성하기 위해서 특별히 착륙장치 측력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조향각 명령을 포함한 Cornering Angle을 계산하여 측력을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모델링된 착륙장치 모델을 포함한 비선형 6자유도 시뮬레이션 환경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바람벡터 방향인 Course Angle 오차를 해소하기 위한 전륜 조향(Nose Wheel Steering)과 러더 조향(Rudder Steering)을 동시에 이용하는 자동 지상활주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지상활주 제어기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착륙장치 모델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무인기를 이용한 자동 지상활주 시험 결과를 비교하였고, 이로써 착륙장치 측력 모델링과 지상활주 제어기의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회전익 항공기 전륜착륙장치 단속거동 현상 개선연구 (An Improvement Study on Stick-Slip Behavior of Nose Landing Gear for Rotary Wing Aircraft)

  • 최재형;장민욱;이윤우;윤종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67
    • /
    • 2017
  • The Nose Landing Gear(NLG) of Rotary Wing Aircraft is an essential equipment in Landing System for pilot to perform a flight mission. It supports the fuselage at ground and absorbs the impact from the ground when landing, thereby, these functions sustain operational capability for pilot and crew. However, the A aircraft caused stick-slip behavior when it was stationed on the ground.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pilot comment in operation which are classified by cause of occurrence and the troubleshooting process about each comment. It also describes design improvements which was derived from troubleshooting and suggests verification results of flight test.

반디호 복합재 착륙장치의 착륙특성에 관한 해석

  • 최선우;박일경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2호
    • /
    • pp.15-20
    • /
    • 2005
  • 지금까지 착륙장치에 대한 다물체 동역학은 주로 구조물을 강체로 가정하여 지상하중 및 지상거동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실제 착륙장치 개발에 사용되고 있으나 강체 다물체 동역학에서는 구성품들을 대부분 강체로 가정하기 때문에 해석결과에 많은 오차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착륙장치 시스템의 경우 지상 충격시 3축 방향으로 매우 큰 하중이 발생하고 이로 말미암아 구조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구조물을 강체 대신 실제에 보다 가까운 유연체로 모델링을 하는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도입하면 보다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동역학 모델 및 유한요소 모델 등을 준비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디호에 장착된 복합재 판스프링 착륙장치 구조물을 모델로 지상충격하중 및 동적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헬리콥터 강착장치 비선형 충돌해석 및 실험결과 비교 (Nonlinear Crash Analyses and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for the Skid Landing Gear of a Helicopter)

  • 이상민;김동현;정세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87-9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헬리콥터 스키드형 강착장치에 대한 비선형 충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운용중인 헬리콥터(SB427)의 강착장치 시스템이 해석에 고려되었다. 재료의 소성 거동특성과 두께변화를 고려한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LS-DYNA(Ver.970)를 활용하여 다양한 충돌 조건에 대한 전산충돌해석을 수행하여 특성을 검토하였다. 지면충돌에 기인한 강착장치의 비선형 천이응답이 설계요구조건에 대해 검토되었다. 다양한 충돌조건에 대해 비선형 충돌해석으로 예측한 최대 구조 변형량을 실험결과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였으며, 마찰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해석결과의 정확성에 매우 중요함을 보였다.

한국 동해안 명태어장에 분실된 폐어구수법에 관한 연구 (Recovery of Lost Fishing Gear in Alaska Pollack Fishing Ground of the East Coast in Korea)

  • 안영일;박진영;조현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1호
    • /
    • pp.9-17
    • /
    • 2001
  • 우리나라 동해안 명태어장의 어업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 1998년 6, 7월과 1999년 5, 7, 8월에 걸쳐서 강원도 고성군 근해에서 사조묘로 수거 한 침체어구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1. 폐어구는 어업활동에 의해서 발생된 것으로 저자망과 통발의 2종류였다. 2. 폐어구의 무게는 저자강이 1,170 t,통발이 4 t 으로, 저자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3. 마일당 저자강의 수거량은 1998년 22.74 t에서 1999년 10.72 t 으로 12.02 t 감소 하였다. 4. 폐어구 수거율은 1998년 38.0%, 1999년 41.9%로 낮았고 CPUE는 1998년 11.27 t /회, 1999년 7.48 t /회이었다. 5. 사조묘에 의한 본 조사방법은 어장에서 발생한 침체어구의 수거에 유효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

  • PDF

Modeling and Simulation of Aircraft Motion on the Ground: Part I. Derivation of Equations of Motion

  • Ro, Kapseong;Lee, Hae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28-43
    • /
    • 2001
  • Developed in these two series of paper is a complex dynamic model representing the motion of aircraft on the ground and a computer program for numerical simulation. The first part of paper presents the theoretical derivation of equations of motion of the landing gear system based on the physical principle. Developed model is 'structured' in the sense that the undercarriage system is regarded as an assembly of strut, tire, and wheel, where each component is modeled by a separate module. These modules are linked with two external modules-the aircraft and the runway characteristics-to carry out dynamic analysis and numerical simulation of the aircraft motion on the ground. Three sets of coordinate system associated with strut, wheel/tire and runway are defined, and external loads to each component and response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Lagrangian formulation is used to derive the undercarriage equations of motion relative to the moving aircraft, and the resultant forces and moments from the undercarriage are transformed to aircraft body axes.

  • PDF

제주도 근해 참조기 유자망 어장의 폐어구 분포현황 (Characteristics of lost fishing gear distribution on the sea bed around gillnet fishing ground for yellow croaker in the near sea of Jeju, Korea)

  • 김병엽;서두옥;최찬문;이창헌;장대수;오택윤;김영혜;김정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4호
    • /
    • pp.441-448
    • /
    • 2010
  • This paper was concentrated on the distribution and the composition of lost fishing gear on the sea bed around yellow croaker fishing ground in the near sea of Jeju, Korea from April to October 2009 in order to improve the fishery environment. Recovering lost fishing gears was carried out total 10 times with a trawlnet along the isobath. As the result,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amount of lost fishing gear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dip of the sea bed as well as the fishing gear scale, fishing ground and so on. The amount of recovered lost fishing gears were in order of gillnets, dragged gears, traps and ropes. In particular, traps were recovered almost every time within the surve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