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Vegetabl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수도권 상수도 보호지역내에서의 경작형태가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Potable Water by Cropping System in the Metropolitan Area)

  • 육완방;전병태;손상목;정호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1-210
    • /
    • 199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inorganic nitrogen($NH_4$, $NO_3$) and its change in the 7 different sites; the permanent meadows of alfalfa, orchardgrass, and reed canarygrass, the fields of rye. corn, rice and a mountain reg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ammonium and nitrate in meadows were 15.89-16.46 and 1.32-1.86ppm, respectively, showing the lower level than in other sites and no significant diffirences among three meadows. 2. In the rice field, the average content of ammonium(7.19ppm) was the highest among all sites, but the content of nitrate(1 l.l7ppm) was the lowest. In addition, almost all of nitrate were spreaded around the surface. 3. In the mountain region, the content of $NH_4$(5.79ppm) was slightly high, but the content of nitrate ( 15.18ppm) was very low. 4. In the rye field. the average content of $NO_3$ was 35.46ppm and show the highest (92.63ppm) at the deep part of soil in the specific season, but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5. In the corn field, which kept bare after harvesting the corn silage, the content of $NO_3$ was high, regardless of seasons and depths, and increased up to maximum of 103ppm. 6. The ground water concentrations of $NO_3$ were not more than 50ppm in the pasture. In the vegetable house, they were less than 30 ppm during the winter and spring and were 80-100ppm during the summer and fall. 7. The concentrations of $NO_3$ in Han river water were lower during the winter and spring(20-30ppm) and higher dxring the summer and fall (50-90ppm).

  • PDF

Effect of Graded Dietary Levels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 Kernel Cake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Rabbits

  • Vasanthakumar, P.;Sharma, K.;Sastry, V.R.B.;Kumar,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46-1250
    • /
    • 1999
  • Rabbits (48) of Soviet chinchilla (24) and White giant (24) were fed from 6 weeks to 12 weeks of age intensively on either of four isonitrogenous - isocaloric diets containing 0 ($D_1$), 5($D_2$), 10($D_3$) and 20($D_4$) percent raw neem seed kernel cake (NSKC), respectively as per NRC (1977) requirement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and slaughtered at the e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ir carcass traits due to NSKC feeding. Dietary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eight of edibles and inedibles and their percentages and dressing percentage in terms of carcass, carcass with pluck and carcass with pluck and head. Similarly, the meat-bone ratio of various primal cuts and overall carcass, yield of edibles per unit of inedibles and eye muscle area were not influenced due to the dietary variations.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meat, and organoleptic evaluation of cooked meat with and without salt did not vary significantly due to incorporation of NSKC in the diets. The rabbits fed 20% NSKC ($D_4$) though consumed more (p<0.05) DM and DE per kg meat production, the intake of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was similar with other dietary treatments. Feed cost per unit meat production was, however, lower on 5 and 10% NSKC containing diets by 7.75 and 12.56%, respectively, as compared to deoiled ground nut cake containing control diet. It appears that NSKC could be used as a wholesome vegetable protein supplement upto 10% in diet of rabbits without any adverse effect on commercial carcass traits.

Studies on Anopheles sinensis, the vector species of vivax malaria in Korea

  • REE Han-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75-92
    • /
    • 2005
  • Extensive previous studies on taxonomy, behavior/bionomics and control of Anopheles sinensis are reviewed and summarized. Recent molecular identification revealed that the population of An. sinensis complex includes An. sinensis, An. pullus, An. lesteri and at least two new species, and An. yatsushiroensis is synonmy of An. pullus. An. sinensis is the main vector specie of vivax malaria in Korea. Larvae of An. sinensis breed in wide range of habitats which are naturally-made clean water, stagnant or flowing; main habitats include rice fields, ditches, streams, irrigation cannals, marshes, ponds, ground pools, etc. Their host preferences are highly zoophilic. Human blood rate is very low ($0.7-1.7\%$); nevertheless An. sinensis readily feeds on man when domestic animals are not found near by. They feed on hosts throughout the night from dusk to dawn with a peak period of 02:00-04:00 hours; they are slightly more exophagic (biting outdoors); much larger numbers come into the room when light is on. Main resting places are outdoors such as grasses, vegetable fields and rice fields. A mark-release-recapture study resulted that $37.1\%$ was recaptured within 1 km, $29.4\%$ at 1-3 km, $21.1\%$ at 3-6 km, $10.3\%$ at 6-9 km and $2.1\%$ at 9-12 km distance. An. sinensis hibernate outdoors (mostly under part of dense grasses) during October-March. At the end of the hibernation period (March-April) they feed on cows at daytime. Until today any single measure to effectively control An. sinensis population has not been found. Indoor residual spray with a long-lasting insecticide can not reduce vector population densities, but shorten their life spans in some degree, so contributes to malaria control.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hinese Cabbage Powder as an Alternative Nitrate Source on Cured Color Development of Ground Pork Sausages

  • Jeong, Jong Youn;Bae, Su Min;Yoon, Jiye;Jeong, Da hun;Gwak, Seung Hw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990-1000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nese cabbage powder as a natural replacement for sodium nitrite on the qualities of alternatively cured pork products. Chinese cabbages grown in Kore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preparing hot air dried powder. Different levels of Chinese cabbage powder were added to pork products and evaluated by comparing these products to those with sodium nitrite or a commercially available celery juice powder. The experimental groups included control (100 ppm sodium nitrite added), treatment 1 (0.15% Chinese cabbage powder added), treatment 2 (0.25% Chinese cabbage powder added), treatment 3 (0.35% Chinese cabbage powder added), and treatment 4 (0.4% celery juice powder added). The cooking yields and pH values of treatments 1 to 3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control. However, all of the alternatively cured products were redder (higher CIE a* values; p<0.05) than the control and this result was supported from higher nitrosyl hemochrome, total pigment, and curing efficiency. Furthermore, the inclusion of vegetable powders to these products resulted in considerably less residual nitrite content. However, Chinese cabbage powder (0.25% and 0.35%) was effective in producing alternatively cured meat products with a higher curing efficiency comparable to those of the traditionally cured control or the products with celery juice powder. Therefore, Chinese cabbage powder exhibited the efficacy for use as a natural replacer for alternatively cured meat products.

강우 및 식생에 의한 토질특성 변화 분석 (Analyzed Change of Soil Characteristics by Rainfall and Vegetation)

  • 이문세;김경수;송영석;류제천
    • 지질공학
    • /
    • 제19권1호
    • /
    • pp.33-41
    • /
    • 2009
  • 이 연구는 산사태와 같은 지반재해를 초래하는 여름철의 집중호우가 실제 토층지반의 토질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표토에 도달되는 강우량이 식생조건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으며, 토층에 침투한 강우로 인해 토질특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식생조건이 다르나 동일한 지질 및 토질조건의 토층지반이 분포한 대덕연구단지내 자연사면이고 연구지역에서 발생한 2006년과 2007년 여름철의 집중호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강우자료는 연구지역에 인근한 대전지방기상청의 관측치를 기초로 하였으며, 식생조건별 강우량은 직접 제작한 강우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집중호우 전 후에 채취한 토층시료를 대상으로 실내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강우와 식생조건에 의한 토질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식생밀도는 실제 표토에 도달한 빗물의 양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정도는 강우강도 및 지속시간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토층의 포화도, 함수비, 유동성 및 전단강도가 직접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酒方)"의 조리가공에 관한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Joobang')

  • 김성미;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15-423
    • /
    • 1990
  • 'The Joobang' is a cooking book written purely in Korean which came from a Mr. Lee. It is unknown when and by whom this book was written, but it is inferred from red pepper mentioned in this book and from Korean-writting type that the book was written around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contents of 'the Joobang' consist of thirty seven items in all : sixteen items of rice alcoholics, five side dishes, eleven Tucks(rice cakes) and Guaja(cookies) and five processed materials. Cereals for making rice alcoholics were regular rice and sticky rice. In the first brew, rice alcoholics is made all from regular rice, and in the second brew, fifty six percent of regular rice and forty four percent of sticky rice was made use of. For five items of alcoholics forming 31.3% of alcoholics, flour was added, in which case the proportion of leaven to cereals was lower. There were four types of processing cereals in brewing rice alcoholics Jee-ae-bop(steamed rice, 60.9%), thick gruel with cereals ground and completely cooked(8.7%), thick gruel with cereals ground and half cooked (26.1%) and GooMung Tuck(doughnut-shaped rice cake, 4.3%). The comparison of the materials for brewing rice alcoholics and of the types of processing cereals presented in the seven cooking books purely in Korean(Umsik Deemeebang, JoobangMoon, Umsikbo, Sool-mandununbop, Kyuhap chongseo. The Kims' Joobangmoon and The Lee's Umsikbup) showed us the following facts ; Yihwajoo (rice alcoholics brewed around the blooming time of pear trees) and Kwahajoo(rice alcoholics which passed the summed time) were most often introduced and commonest, and the materials for brewing and the types of processing little changed over times. The materials for side dishes were all animal food, and vegetable food was little used for side dishes. Red pepper was used for seasoning. It is a problem of Korean traditional cooking that there were no units of measuring for side dishes. The main materials for Tuck(rice cakes) and Guaja(cookies) were sticky rice, regular rice and honey. There was a variety of terms for the process, from which we can see that the procedures of making Tuck(rice cakes) and Guaja(cookies) were very complicate. Processed materials were chiefly made of sticky rice and the material of firewood(oak trees) and the strength of fire(fire burning vigorously and fire turning to ashes) were described.

  • PDF

황해도굿의 비교민속학적고찰 모의사냥과 동물공희를 중심으로 (Comparative Folklore Study on Gut in West Coast Area case of a mock hunting and animal sacrifice)

  • 임장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32-151
    • /
    • 2009
  • 황해도 굿에서 사냥거리와 타살거리, 군웅거리는 사냥으로 제물을 마련하여 동물이 희생되어 신령에게 바치기까지의 과정을 의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황해도 굿의 특징인 모의사냥과 동물희생의 의례는 일본의 시바마츠리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황해도 굿과 시바마츠리를 비교민속학적 관점에서 구조적으로 비교해보았다. 황해도 굿은 기존의 연구 성과에서 소찬으로 모셔지는 신령과 육찬으로 모셔지는 신령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령에 대한 구분은 농경문화와 수렵문화를 각기 배경을 달리하는 신관(神觀)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황해도 굿은 여러 생산기반을 달리하는 무속을 수용하여 형성되었다. 따라서 굿의 목적에 따라 거리는 재편성하여 진행된다. 사냥거리는 제물이 산에서 마련하였음을 극적으로 표현하며, 생명력있는 동물이 타살됨으로서 군웅신을 환유로 나타내며 제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동물희생의례는 제물의 액을 풀어주고 신령으로부터 의지를 얻어내는 양의적인 의례이다. 일본의 시바마츠리가 행해지는 지역은 수렵과 밭농사를 겸하는 산간의 반농반렵(半農半獵)의 지역으로 농경의례와 수렵의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있다. 정월에 행하는 시바마츠리는 산에서의 농사와 수렵의 시작으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도 있다. 따라서 화전농경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동화제(洞火祭)와 모의적인 사냥과 동물희생의 의례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의례는 동남아시아의 산간지역의 밭농사민이 정초에 행하는 의례적 수렵관행과 일치한다. 황해도굿과 일본 시바마츠리는 표면적으로 모의사냥과 동물희생이 의례적으로 이루어지는 공통점이 있으나 구조적으로는 달리하고 있다. 즉 이러한 동물희생의례는 문화적 배경을 달리하며 각기 의례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혼합상토의 pH 저하가 영양생장 중인 '싼타'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Lowered Substrate pH Reduced the Bicarbonate Injury during Vegetative Growth of 'Ssanta' Strawberry)

  • 이희수;정종도;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22
    • /
    • 2017
  • 중탄산이 고농도인 수경재배용 원수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혼합상토의 pH를 조절할 때 영양번식중인 '싼타' 딸기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피트모스와 수피를 5:5(v/v)로 혼합한 산성상토를 조제하였고, 조제된 상토의 pH를 교정하기 위해 혼합하는 고토석회 [$CaMg(CO_3)_2$]의 양을 0(무처리), 1, 2, 3 및 $4g{\cdot}L^{-1}$로 조절하였다. 이 후 중탄산 농도가 $240mg{\cdot}L^{-1}$로 조절된 Hoagland 용액을 공급하면서 모주와 자묘의 생육, 상토의 화학성 변화, 그리고 식물체의 무기원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싼타' 딸기의 모주 생체중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102.1g으로 가장 무거웠고, $1g{\cdot}L^{-1}$ 처리, 94.7g, $3g{\cdot}L^{-1}$ 처리, 91.2g, $0g{\cdot}L^{-1}$ 처리, 75.4g, $4g{\cdot}L^{-1}$ 처리, 72.3g 처리 순으로 가벼워졌으며, 건물중도 생체중과 같은 경향이었다.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는 고토석회 0, 1, 2, 3 및 $4g{\cdot}L^{-1}$ 처리구에서 각각 5.8, 9.8, 11.8, 8.8 및 5.0개체였으며, 고토석회를 $2g{\cdot}L^{-1}$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자묘 발생이 가장 많았다. '싼타' 딸기 모주를 재배하면서 측정한 상토의 pH 는 고토석회 1 및 $2g{\cdot}L^{-1}$ 처리구에서 5.6-6.2의 적정 범위에 포함되었고, 3 및 $4g{\cdot}L^{-1}$ 처리구는 이보다 높았다. 모주의 지상부 무기물 함량은 고토석회 $2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4g{\cdot}L^{-1}$ 처리구에서 Fe, Mn, Zn 및 Cu의 미량원소 함량이 감소하고 모주 및 자묘에 이들 원소의 결핍증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원수의 중탄산 농도가 높아 발생하는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pH가 약 4인 산성 상토를 조제한 후 기비로서 고토석회를 2g 혼합한 후 '싼타' 딸기를 육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비산재로부터 유용성분을 회수하는 청정부유선별공정 (Clean Flotation Process to Recycle useful Materials from Fly Ash)

  • 한광수;김둘선;이동근
    • 청정기술
    • /
    • 제26권3호
    • /
    • pp.177-1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전량 폐기되고 있는 석탄재의 재활용 방안으로 석탄회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비산재로 부터 유용성분을 회수하고 이를 산업재로 활용하기 위한 청정부유선별 공정을 개발하였다. 비산재로부터 미연탄소(unburned carbon, UC) 를 회수하기 위해 비이온성 포수제인 등유 대신에 친환경 식물성 오일인 대두유를 사용하여 등유로부터 악취 발생을 예방하였고 부유선별 후 잔류물로부터 CM (ceramic microsphere)과 CA (cleaned ash)를 분리하기 위해 황산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hydro-cyclone를 사용함으로써 산성폐수를 발생시키지 않고 미립의 CM를 회수할 수 있었다. 등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여 UC를 분리할 때 보다 대두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였을 때, 대두유의 높은 점성으로 인한 UC의 흡착성 증가와 대두유에 포함된 리놀레산에 의해 부유성 향상으로 UC의 회수율이 85.8%로 높게 나타났다. 회수된 UC에 포함된 연소가능성분(combustible component, CC)은 모두 탄소성분으로 대두유를 사용하였을 때 탄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수된 UC는 표면이 거칠면서 기공이 많아 분쇄가 쉬워 미립화로 산업용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Hydro-cyclone을 이용한 입도선별 청정분리공정에 의해 회수된 CM과 CA는 구형 형상으로 입자들이 서로 뭉치지 않고 뚜렷하게 분리되었으며 입자의 평균직경(D50)은 5 ㎛로 미세하여 공정변경에 의한 CM의 미립화를 구현할 수 있었다.

'매향' 딸기의 마그네슘 영양진단을 위한 결핍증상 및 식물체 내 한계농도 (Characterization of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Critical Concentrati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Maehyang' Strawberry (Fragaria$\times$ananassa Duch.) as Influenced by Magnesium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정석기;윤무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8-245
    • /
    • 2008
  •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sim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sim40mg{\cdot}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