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space infrastructur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제천시의 방재형 도시 근린공원 조성 계획 (Planning of Neighborhood Park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in Jecheon City)

  • 이애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296-304
    • /
    • 2015
  • 급속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증가와 재해 규모의 대형화 및 다양화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도시 공간은 도시 인구의 증가 현상과 불투수층의 기반시설에 기초하여 재해의 피해와 대응에 대한 복합적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공공 공간인 도시의 녹색공간을 활용하여 방재공간을 확보하고, 재해저감형 공원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토지 매입의 경제적 문제와 방재시스템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각 지자체는 최근 발표된 국토교통부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재해저감 유형별 시스템과 선도 사업을 선정하여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생활 건강과 행복의 녹색 공간인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도시의 물 관리와 소생태계 보전을 함께 갖추는 도시 녹지 공간을 방재형 근린공원의 조성 모델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추후 기존 도시 구조 내 생활권 근린공원의 기후변화 적응 모델로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고가 선형공원의 녹지계획 사례연구 (Case Study of Green Space Planning in Elevated Linear Parks)

  • 박청인;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7-276
    • /
    • 2019
  • Elevated linear parks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the ecological stability, city amenity, cultural opportunity, and health benefits of urban dwellers; these are increasingly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urban infrastructur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n space, linear parks need to be planned to increase the value of green space. This study was aimed at advancing urban planning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value of elevated linear parks, by comparing the Seoullo7017 with the Promenade $plant{\acute{e}}e$ and the Highlin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green spac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physical planning factors, amenity values for users, and management systems. Field surveys and virtual too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se park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survey. From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amenity values, and management in the three linear parks, following important recommendations were made in order to promote the values of these parks: (a) diversify planting design for increasing the diversity of green space in a narrow area; (b) bring in various forms of amenities to promote the quality of users' experience; and (c) establish community-based management systems for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profit sharing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도시유휴부지의 정원조성방안 (Developing Gardens in Urban Idle Space)

  • 최재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27-335
    • /
    • 2021
  • 본연구는 도시 유휴공간 유형화를 통한 도시 내 정원 조성을 위한 새로운 공간 형태와 특성을 발굴하여 향후 정원 조성 시 활용가능한 가이드라인의 제시 및 그린인프라 확충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유휴공간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조성방안에는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지역사회의 재개발을 통해 지역 사회 혜택 및 도시재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의 건강과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도시생태계서비스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 귀중한 도시경관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 유휴공간은 도시생태계의 건강을 지원하고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그린인프라의 역할로서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환경적응력을 위한 공공녹지공간의 가변성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Variability in Public Green Spaces for Environmental Adaptability)

  • 허추안;이애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07-21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설계에서 핵심 역할을 할 가변성 설계를 이해하고 발전시켜 미래의 변화 속에서 공공의 녹지공간이 더욱 긴 생명력을 갖게 해야 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은 가변적 환경 공간에 대한 문헌자료를 기반으로 가변성을 공간, 생태, 사회로 분류하고, 2010년대 이후 국내외의 11개 작품을 선정한 후 사례별 분류에 따른 경관 특성 및 설계 방법과 적용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가변성 경관은 공간 변화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공간 사용에 대한 사람들의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또한 사용의 유연성과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상승시켜 고정 경관이 갖는 모순을 해결하고 결함을 크게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공공녹지공간, 환경적응력과 가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유형화를 시도하고 둘째, 건축, 환경과 조경 분야의 사례분석을 통해 가변적 설계가 장소적으로는 공공녹지 및 공간에 적용가능하며, 지속가능성과 생태환경의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함을 입증하였다.

도시공원 방재기능 평가체계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Ability of Urban Parks)

  • 황지루이;이애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3호
    • /
    • pp.199-207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홍수, 가뭄, 열파 등 기상재해가 빈발하는 환경에서 도시공원은 휴식, 문화,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안전을 위한 기능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 공간인 생활권 공원에 복합기능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도시인의 안전을 위한 도시방재공원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지표를 추출하고, 대상지 현장조사 및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분류체계를 검증하였다. 평가를 위한 대분류는 도시공원의 입지, 공간구성, 방재복합시설 3가지로 구분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자연환경과 건강증진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A New Paradigm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 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341-1348
    • /
    • 2016
  • The natural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ecological sustainability, but also in human health. Grow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health benefits of natural environments with increasing scientific evidence in this field. Urban green space has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and community health; thus, it is considered as social infrastructure. The natural environment promotes mental health by relieving psychological stress and depression. Physical health can be improved by experiencing nature, which reduces physiological stress and boosts the immune system. Several international initiatives have been undertaken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in this field and to utilize these benefits for health promo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to promote human health through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fields of science, education, planning and policy.

미세먼지 배출원과 취약계층 분포 추정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녹지 입지 선정 연구 -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Green Space Location Selection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by Projecting Distributions of Emission Source and Vulnerable Groups - focusing on Seongdong-gu, Seoul -)

  • 신예은;박진실;김수연;이상우;안경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8
    • /
    • 2021
  • The study aims to propose a locating method of green space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PM) in ambient air in conjunction with its source traces and vulnerable groups. In order to carry out the aims and purpose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indicators of vulnerable area to PM. Based on the developed indicators, the vulnerable areas and green spaces creation strategies for each cluster were developed for the case of Seongdong-gu, Seoul. As a result, six indicators for vulnerability analysis were came out including the vulnerable groups (children's facilities, old people's facilities), emission sources (air pollutant emission workplaces, roads),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NDVI). According to the six selected indicators, the target area was divided into 39 hexagons and analyzed to result the most vulnerable areas to particulate matter.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vulnerability analysis, the Seongsu-dong area was found to be the most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and 5 clusters were derived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Cluster 1 was analyzed as areas that most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refore urgent need to create green space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Cluster 2 was areas that mostly belonged to the Han River. Cluster 3 corresponds to the largest number of hexagons, and since many vulnerable groups are distributed, it was analyzed as a cluster that required the creation of a green space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focusing on facilities for vulnerable groups. Three hexagons are included in cluster 4, and the cluster has many roads and lacks vegetation in common. Cluster 5 has a lot of green spaces and is generally distributed with fewer vulnerable groups and emission sources; however, it has a high level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a situation where various green spaces creation projects for reducing particulate are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ulnerable groups and emission sources and to present green space creation strategies for each space characteristic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regarded as meaningful in suggesting a method for selecting a green area for reducing PM.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농업공원 공간기본계획 -청송군 '청송사과'를 활용하여- (Space Planning of Agricultural Park with Local Special Products: Case Study on 'Cheongsong Apple Park', Cheongsong-gun)

  • 윤희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2호
    • /
    • pp.263-279
    • /
    • 2011
  • Rural tourism is primarily a domestic tourism activity with visitors traveling to non-urban area. Therefore, local agricultural and special products as one of rural amenity resources have been used revisitation carriers of rural tourism.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Cheongsong-gun in Gyeongsang province, which has been famous for Cheongsong apple and planned space program on that sites as on-farm research. The sites are divided into 6 districts, agricultural production, leisure, cultural space, events or festival, green space, infrastructure for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Above all, this study led local government to develop related policies using local agricultural and special products, which can be an example to plan for regional development.

도시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 쾌적성 증대를 위한 효율적 가로녹지 조성방안 연구 - 계획 및 설계를 위한 매개변수 도출과 녹지조성 방법 제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fficient Sidewalk Green Space Development for 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s and Enhancing Pedestrian Comfort - Focused on the Derivation of Parameters for Design, and Proposing Methods for Green Space Creation -)

  • 박주현;엄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1-38
    • /
    • 2024
  •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도시 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쾌적성 증대를 위한 효율적인 가로녹지 조성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녹지 계획 및 설계에 활용가능한 매개변수를 도출하고, 매개변수별로 열환경 완화 매커니즘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녹지 계획 및 설계 시 활용가능한 수종선택 방법 및 녹지조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논문 중 4단계 과정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61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논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열스트레스가 높은 종횡비 낮고 천공률이 높은 오픈된 거리협곡의 경우, 그늘의 양과 질을 높이기 위해 수관폭이 넓고, 수고가 높고, 지하고가 낮고, 엽면적 지수가 높고, 수관의 녹량이 많은 활엽수를 다열의 좁은 간격으로 다층식재하는 것이 열저감에 효과적이다. 반면 열스트레스가 비교적 적은 종횡비가 높고 천공률이 낮은 깊고 좁은 거리협곡의 경우, 거리협곡 내 환기력을 높이기 위해 수관폭이 좁고, 지하고가 높고, 수관높이가 낮고, 엽면적 지수가 낮은 활엽수를 넓은 간격으로 식재하는 것이 열저감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거리협곡 내 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쾌적성 증대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녹지의 위치 선정 및 우선순위 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계획 및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도시 외연부 녹지 활용 사례연구 - 베를린, 밀라노, 서울을 대상으로 - (Green Spaces in the Urban Peripheries of Metropole Reg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Focused on Berlin, Milano and Seoul -)

  • 허윤경;채진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2-85
    • /
    • 2018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도시 외연부 녹지를 활용한 해외사례에 주목하였다. 그 대상으로 서울의 외연부 녹지와 입지적 형태적 상황이 유사한 독일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광역공원화 사례와 이탈리아 밀라노의 방사형 녹지축 사례를 선정 및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로 기존 인프라 접근성 및 연계, 재활용, 협력적 관리를 세웠다. 사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외연부 녹지의 생태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 된 공간 전략이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의 토대로 이용되었다. 둘째, 도시 중심에서 외곽으로 이어지는 물리적 연계가 생태적, 환경적 가치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경제적 가치 향상과 연결되어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셋째, 도시 외연부에 걸쳐있는 녹지의 통합적인 협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행정관리 주체의 다원화와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의 갈등을 유기적인 조절을 통해 지속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서울 외연부는 녹지가 분산되어 있고 연속적인 산지가 이루어져 있으나, 전체 경관이 획일적이기 때문에, 도시 외연부 녹지 경관의 정체성을 재정립한 차별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주변부산지와 도심지 녹지를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생태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창출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도심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외연부에 위치한 녹지의 대부분이 여러 행정경계 상에 위치하여 녹지관리주체가 파편화 되어있는 현 실정을 해소하기 위한 통합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도심 중심의 도시 발전 관점에서 벗어나 도시 외연부 녹지의 접근성 및 연계, 활용 및 관리로부터 이루어지는 도심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