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manure plant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Screen of Green Manure Crops for Cultivation on Agricultural Land with Spring Season in the Central Regions of Korea

  • Cho, Hyeon-Suk;Seo, Myung-Chul;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89-696
    • /
    • 2015
  • The green manure crops are returned to soil when the plants are still green. The green manure crops play a role in reducing chemical fertilizers,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reduction of soil erosion, weed control, and landscapes effect. Typical green manure crops are barley green manure, hairy vetch, chines milk vetch and clovers. We sowed 49 species of green manure crops in upland soil to increase the usage of green manure crops. We searched the effectiveness of green manure yield, C/N ratio, soil mulching, and landscape effect. The green manure crops that have $5tonha^{-1}$ or more of green manure yield (fresh weight) were 6 gramineous crops, 4 leguminous crops, and 3 others. Green manures yield in a short growth period was higher in gramineous crops than leguminous crops.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3 gramineous crops, 12 leguminous crops, and 3 others were under 25 in C/N ratio. Seven gramineous crops, 8 leguminous crops, and 5 others were over 50% of soil covering rate. Green manure crops that have beautiful flowers were in total 16 kinds, such as 4 gramineous crops, 6 leguminous crops, and 6 others. In result, based on green manure yield and C/N ratio, excellent species in the green manure crops were 4 species (triticale, 2 kinds of hairy vetch, and lupin). Green manure crops that were effective at soil mulching were 20 species, like hairy vetch, oats, sorghum, phacelia, buckwheat, etc. Buckwheat, crotalaria, mustard plant, phacelia, and etc. could be available for landscape crops.

녹비작물 재배가 토양화학성 및 인삼뿌리썩음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Manure Crop Cultiv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Rot Disease in Continuous Cropping Field of Ginseng)

  • 이성우;박경훈;이승호;장인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7
  • Background: Some plants have harmful effects on fungi and bacteria as well as other plants. Incorporating such plant into soil as green manure is effective in reducing population densities of soil pathogens. Methods and Results: Twenty-three species of green manure crops were cultivated after the harvest of 6-year-old ginseng and th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at the flowering stage. The following year, the root rot ratio of 2-year-old ginseng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absence of green manure addition, the $NO_3$ content, electric conductivity (EC), and K content decreased by 95%, 79% and 65%,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green manure addition, $P_2O_5$ and $NO_3$ contents reduced by 41% and 25%, respectively. The "survived root ratio" of 2-year-ol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56.2%, 47.5%, and 47.3%, in the Sorghum sudanense, Ricinus communis and Helianthus tuberosus trea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rvived root ratio" in the Secale cereale, Chrysanthemum morifolium, Atractylodes macrocephala, and Smallanthus sonchifolius treatments. The "survived root ratio" of ginse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il pH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O_3$ contents, and EC. Conclusions: Cultivation of plant form the Chrysanthemum family as green manure, using mainly the rhizomes was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root rot disease of ginseng.

녹비식물 혼합재배에 휴믹물질 투입이 정화처리토양의 생물학적 토양 건강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Planting of Green Manure Crops Supplemented with Humic Substance on the Biological Soil Health Indicators of Reclaimed Soils)

  • 배범한;박혜선;강수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5호
    • /
    • pp.49-59
    • /
    • 2021
  •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hairy vetch and sesban, supplemented with HS (humic substance) on biological soil health indicators was studied in a pot containing two kinds of reclaimed soil previously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a soil remediated by land-farming (DDC) and another soil by low-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YJ). Treatments include no plant (C), plants only (H), and plants+2% HS (PH), which were evaluated in a pot containing respective soil. Biological indicators include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as well as soil enzyme activities of dehydrogenase, 𝛽-glucosidase, N-acetyl-𝛽-D-glucosaminidase (NAG), acid/alkaline phosphatase, arylsulfatase, and urease. Results showed an increase of enzyme activities in pot soils with plants and even greater in soils with plants+HS. The enzyme activities of DDC soil with plants (DDC_P) and with plants+HS (DDC_PH) increased 1.6 and 3.9 times on average,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trol. The enzyme activities YJ soil with plants (YJ_P) and with plant+HS (YJ_PH) increased 1.8 and 3.8 times on average,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trol. According to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the relative abundance of nitrogen-fixing bacteria in DDC and YJ soil was increased from 1.5% to 7% and from 0 to 5%, respectively, after planting hairy vetch and sesban. This study showed that mixed planting of green manure crops with a supplement of humic substance is highly effective for the restoration of biological health indicators of reclaimed soils.

녹비작물 도입에 따른 토마토 시설재배지 연작장해 토양 개량 효과 (Differences in Soil Improvement Effects of Four Green Manure Crops in Greenhouse Cultivation)

  • 손초이;정유진;이인혜;강위금;전원태;노일섭;강권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36-641
    • /
    • 2011
  • 본 연구는 4종의 녹비 작물, hairy vetch, Italian ryegrass, crimson clover, orchard grass 등을 도입하여 연작장해를 일으키는 토마토 시설재배지의 토양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였다. 각각의 녹비 작물을 시용한 후, 후 작물로서 토마토를 정식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토마토 건물 중 등을 조사하여 녹비작물 재배의 효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녹비작물 시용에 따라 토양 경도가 감소되었다. Orchard grass와 Italian ryegrass는 토양습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토양 메트릭스에서 더 많이 무효화 시킬 수 있었다. 녹비작물 시용 2개월 후, Italian ryegrass와 orchard grass 처리구에서 토양 건조 밀도가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구와 녹비구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녹비작물로서 Italian ryegrass와 hairy vetch의 시용이 토마토 생육에 영향을 주어 건물중의 증가 및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또한 orchard grass는 상대적으로 적은 바이오메스인데도 불구하고, 토양 개량에 효과적이었다.

수수 재배 시 풋거름작물 이용이 토양특성 변화와 수수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Manure on Soil Properties and Grain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Moench))

  • 김성국;정건호;신성휴;김민태;김충국;심강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90-296
    • /
    • 2016
  • 본 시험은 풋거름작물인 헤어리베치, 풋거름보리, 그리고 헤어리베치와 보리를 혼파 재배한 다음 토양에 환원하고 수수를 이식하여 재배하였다. 풋거름작물이 수수 재배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수수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풋거름작물을 통한 질소공급량은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ha당 145 kg이었으며, 헤어리베치 단파구는 81 kg, 풋거름보리 단파구는 74 kg이었다. 풋거름작물을 이용하여 수수를 재배할 경우 토양 산도(pH)가 높아지고 치환성 양이온 함량과 총질소 함량도 증가하여 토양의 화학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풋거름작물을 이용하여 수수를 재배할 경우 토양내 총탄소 함량이 증가하여 향후 농업부분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수수 생육단계별 엽색도는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가장 높았고 헤어리베치 단파구에서 가장 낮았다. 수수의 종실 수량구성요소인 주당립중은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가장 무거웠고 천립중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량은 10a당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평균 427 kg, 헤어리베치와 풋거름보리 단파구에서 379 kg이 생산되어 화학비료를 시용한 관행구 369 kg 보다는 높았다. 따라서 화학비료를 시용하지 않고 헤어리베치+보리 혼파재배로 친환경으로 수수를 재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Optimum Soil Incorporation Time of Chinese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for its Natural Re-seeding and Green Manuring of Rice in Gyeongnam Province, Korea

  • Kim, Sang-Yeol;Oh, Seong-Hwan;Hwang, Woon-Ha;Choi, Kyung-Jin;Oh, Byeong-Ge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93-198
    • /
    • 2008
  • To develop a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the optimum soil incorporation time of Chinese milk vetch(CMV) plant residues, seed persistence in soil, biomass production and subsequent rice yield were determined from 2005 to 2007 in rice with CMV green manure in southern Korea. Generally, insufficient seedling stand was regenerated with CMV incorporation to the soil at 20 and 25 days after flowering(DAF), while high regeneration of greater than 400 seedlings per $m^2$ was observed at 35 and 40 DAF. High re-seeding stand of CMV incorporated at 35 DAF or later was related with high seed viability and heavy seed weight. Appreciable number of CMV seeds remained 4 month after burial in soil and a good number of CMV seedlings regenerated from this seed bank at rice harvest time in the fall. Ba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re-seeding number of CMV plants, seed weight and seed viability, CMV plan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soil 35 DAF(May 30) or later when CMV seeds were sufficiently matured. The natural re-seeding stand for the 3-year trials was stable ranging from 437 to 700 plants per $m^2$ and the biomass production was sufficient to supply nitrogen for rice growth. The use of re-seeding CMV plant can produce similar rice yield like that of rice without CMV green manure.

  • PDF

여름철 휴경조건에서 잡초의 발생과 몇 가지 두과식물의 녹비로서의 이용성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Some Leguminous Plants for Green Manure Cover Crop During Summer Fallow)

  • 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9-175
    • /
    • 2007
  •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물 시용이 벼의 생육 및 수량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Matter Application on Weed Occurrence and Growth, Yield of Rice Plants)

  • 안정구;이윤상;이상영;이철원;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82-187
    • /
    • 2012
  • 본 연구는 이앙재배시 유기물시용이 벼 생육, 수량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생종인 조생흑찰을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벼의 초장은 이앙 후 50일부터 관행구, 유박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쌀겨처리구에서 전 기간 동안 가장 억제되었다. 벼의 간장과 수장은 관행구와 비교하여 모든 유기물 처리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처리구 내에서는 유박처리구에서 가장 컷으며, 쌀겨 처리구에서 가장 작았다. 벼 수량은 관행구와 비교하여 호밀 녹비+쌀겨처리구와 유박처리구에서 각각 관행의 98%, 91%로 수치는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앙 후 40일경 잡초 발생량은 화학적 방제를 실시한 관행구에서 현저히 적었으며, 유기물처리구에서는 쌀겨처리구에서 다른 유기물처리구보다 현저히 적었다. 또한 쌀겨를 병행 시용한 처리구(호밀녹비+쌀겨)에서 잡초의 발생량이 적었으며, 유박처리구에서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tetraploid rye (Secale cereale L.) cultivar in Korea

  • Ku, Ja Hwan;Han, Ouk Kyu;Ahn, Jong Woong;Kweon, Soon J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75-75
    • /
    • 2017
  • Rye is cultivated on about 30,000ha domestically for forage and green-manure production in Korea. 'Daegokgreen' has been developed as a good quality rye cultivar for forage and green-manure, which was doubled-chromosome by colchicine treatment of diploid rye cultivar 'Gogu' in 2010. By the colchicine treatment with 0.05% for 12 hours at $2^{nd}$ leaf stage of 'Gogu', 31 tetraploid plants were obtained and they produced 2,470 seeds with 135 spikes. There was 4.4 in the number of spikes per plant, 18.3 in grain number per spike, and 37.6 g in the1,000-grain weight. The heading date of 'Daegokgreen' was April 11, which was two days later on average compared with 'Gogu'. The biomass (fresh weight) of 'Daegokgreen' was 3,701kg, which was similar to 'Gogu'. The average crude protein content of 'Daegokgreen' was 8.9%, which was 1.0% point higher than 'Gogu'. 'Daegokgreen' was found to be strong resistant to winter-kill and can be adapted to before maize cultivation.

  • PDF

녹비작물 및 Charcoal 처리가 생강 생육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Green Manure Crop and Charcoal Applications on Ginger Growth and Soil Properties)

  • 양홍석;김동진;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3-519
    • /
    • 2014
  • 녹비작물로서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환원하고, 토양개량제로서 charcoal을 시용하여 생강연작 재배지에서 생강을 재배한 결과, 토양 pH가 시험 전 6.9~8.1에서 수확 후 6.8~7.6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한 시험 전 $0.45{\sim}1.25dSm^{-1}$에서 수확 후 $0.30{\sim}0.61dSm^{-1}$로 감소하였다.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 SOM) 함량과 토양 중 총질소(total-nitrogen, T-N)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효인산 함량과 치환성 K, Ca, Mg 함량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pH를 중성화시키고, EC 경감, SOM과 T-N 함량의 증가는 토양 화학성 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강양분의 함량적 차이를 정상근과 이병근의 함량 차이, 토양의 점토함량 별 양분 함량 차이로 조사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처리구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간(manganese, Mn)의 경우, 이병근의 지하부에서 3~4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망간(Mn)은 식물 뿌리에 대한 독성 작용으로 뿌리를 갈변시키고 균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뿌리썩음병의 발생으로 Mn이 작용하여 이병근의 M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뿌리썩음병과 Mn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 수확 후 생강 생육 상태와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녹비보리, 헤어리베치, 녹비보리+charcoal, 헤어리베치+charcoal을 처리한 시험구(Plot 2, Plot 3, Plot 4, Plot 5)에서 생강의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생산량이 높아 병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Plot 4(헤어리베치+charcoal)-LCC에서는 100%의 생산량을 보였다. 녹비작물과 charcoal의 처리가 생강생육과 생산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점토함량이 낮은 처리구가 점토함량이 높은 처리구보다 생육 상태와 생산량에서 우세하였는데, 모래와 점토 함량 차이에 따른 배수와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생강생육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