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infrastructur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도시 물 문제 저감을 위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1. 도시 홍수 문제 구조적 대안의 내구성 평가 (Establishment of Resilient Infrastructures for the Mitigation of an Urban Water Problem: 1. Robustness Assessment of Structural Alternatives for the Problem of Urban Floods)

  • 이창민;정지현;안진성;김재영;최용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117-125
    • /
    • 2016
  • 도시 내 인구집중과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도시 물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피해 예방과 사회적 손실 최소화를 위해 회복탄력적인 대안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물 문제 저감을 위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전략 수립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대표적인 도시 물 문제 중 하나인 도시홍수를 사례로 하여 구조적 대안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내구성 평가를 위한 지표로 내구성 지수 (robustness index, RI) 및 비용지수 (cost index, CI)를 결합한 내구성-비용지수 (robustness cost index, RCI)를 제안하고, 이를 강남역 상습침수구역에 적용하여 기존 기반시설과 구조적 대안 (하수관거 확충, 저류조 설치, 옥상녹화)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2~20년 빈도의 강우강도범위에서 저류조와 옥상녹화설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RCI 값을 나타내었고 두 대안 중 RCI가 보다 높은 대안은 강우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30년 빈도 강우강도에 대하여는 저류조와 옥상녹화를 병용 설치하는 대안이 가장 높은 RCI 값을 나타내어 가장 회복탄력적인 대안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재해의 계획규모에 따른 현행 사회기반시설의 내구성 평가 및 최적의 구조적 대안 선택 절차를 수립하여, 도시홍수 문제에 대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한 농촌지역의 주유소 기반 급속 충전인프라 구축 방안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 Plans of Rapid Charging Infrastructures based on Gas Stations in Rural Areas to Propagate Electric Vehicles)

  • 김솔희;김태곤;서교
    • 농촌계획
    • /
    • 제21권1호
    • /
    • pp.19-28
    • /
    • 2015
  • As environmental concerns including climate change drive the strong regulations for car exhaust emissions, electric vehicles attract the public ey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ural areas vulnerable for charging infrastructures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current gas stations and provide the target dissemination rates for promoting electric cars. In addition, we develop various scenarios for finding optimal way to expand the charging infrastructures through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data including 11,677 gas stations, the number of whole national gas stations. Gas stations for charging infrastructures are randomly selected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MCS) method. Evaluation criteria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include fiv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rural areas. The optimal penetration rate is determined to 21% in rural areas considering dissemination efficiency. To reduce the vulnerability, the charging systems should be strategically installed in rural areas consid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EV demands.

도시 공원녹지 환경의 차이에 따른 주민 만족도 변화 분석 -과천·의왕·하남시를 사례로- (Analyses of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Differences in Green Space Infrastructure for Three Cities, Gwacheon, Uiwang, and Hanam)

  • 박은진;성현찬;서정영;강규이;성미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0-70
    • /
    • 2007
  • Green space infrastructures for three cities, Gwacheon, Uiwang, and Hanam,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area of urban parks per capita, the percentage of green space area, the area of green space per capita, and the percentage of vegetation cover in residential area, etc., which are commonly used as criteria for urban green space planning. The differences in green space infrastructure among these three cities were compared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s for their green space. The area of parks per capita corresponded to the satisfaction level when Seoul Great Park in Gwacheon and Misa Park in Hanam were not included. Although these two huge parks accounted more than 90% of the area of urban parks in Gwacheon and Hanam, they serve more people from outside the cities and not likely visited by residents due to lacking of daily accessibility. The percentage of vegetation cover in residential area were considered to affect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for green space, whereas the total area of green space or the percentage of green space area in the cities was not related to the satisfaction level. It suggests that the distributions and accessibilities of green space and park service are more important for satisfaction than total green space area indicating urban sustainability.

인도 녹색산업 진입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재생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Entry Mode for Indian Green Industry)

  • 박현재;박세훈
    • 무역상무연구
    • /
    • 제55권
    • /
    • pp.265-290
    • /
    • 2012
  • 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between India and Korea may vitalize Korean economy more and more. Currently most of Korean firms have entered into manufacturing industries like electronics and automobiles. But only a few Korean companies are trying to penetrate into Indian green industry so this paper suggest how to enter into Indian green industry, especially renewable energy sectors. First, Exporting main shaft, tower-flange and polysilicon products can be considered, as a first step of entry mode. Second, entry mode based on contract like technology licensing, strategic alliance and joint venture establishment can be also one of options. For example, Korean solar energy industry which show more competitiveness than that of Indians should try to make technological licensing on PV modules. In addition to this, they should also try to make joint ventures with right Indian partners and build up 'Solar City' nearby regions like Gurgaon in India where many Korean firms are located. Korean shipbuilding firms like Hyundai Engineering which keep on developing wind turbo engines can also try to make strategic alliance with Indian firms like Suzlon which has strong competitiveness. After that, they should explore Korean and Indian wind sector markets together. Third, brownfield investment can be last and final option as a entry mode as we consider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industry. Lastly, Korean government which are rush to indulge into green business should formulate more proper and realistic policies to give big incentives the concerned firms which are trying to open international green market so government should make Korean green firms not to lose good market opportunities related to green industry like renewable energy sectors. Renewable energy sectors are basically regarded as infrastructures so close contact to Indian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state government will be also required.

  • PDF

강원도형 녹색건강산업 특화분야의 발전 방안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gy of Green Health Industry Specialized fields in Gangwon-do Privince)

  • 최은미;지계웅;한진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5-110
    • /
    • 2011
  • As Gangwon-do Province needs an environmental-friendly alternative tourism according to low carbon green growth, this study analyzes specialized fields in green health industry, selects seven specialized fields in green health industry that is fit to Gangwon-do Province, and suggests a development strategy by conducting recognition surveys on preference and impotence of the specialized fields. Surveys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of 106 students at Green Health Industry Education Center which is operating by Kwandong University and 84 persons who work at medical institutions and tourism related companies in Ganwondo. Th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mpleted from November 5 to November 19 in 2010, determined factors through a factor analysis when they have many questions, and analyzed by using SPSS 14.0. Out of the seven specialized fields, rest & recuperation field is highly recognized. In order to have competitive edge compared to other self-governing provinces, Ganwon-do Province should prioritize rest and recuperation field. A healthcare program in the green health industry specific to Ganwon-do Province includes hot springs and spa programs as a priority. Gangwon-do's hot springs are deemed to be competitive resources as global medical tourists prefer spa and sauna healthcare programs, while the province promotes its spring resources and builds medical tourism infrastructures. Gangwon-do Province can promote a medical tourism industry that is well suitable for the streng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vince. It might pursue oriental medicine therapy tourism, which is related to a recuperating medical service that uses bo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It can also run such programs as forest bathing (oxygen road), spring and spa, and sea water treatment, which are the specialized fields in green health industry with respect to recreation and healthcare.

  • PDF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진동력 발전 기초실험연구 (A Basic Experimental Study on Vibration Power Generation Using Bridge Vibration)

  • 조병완;이윤성;김영지;윤광원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21-12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차량주행 시 교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사회기반시설에 활용 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력 발전시스템의 기초개념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자기유도기술개념의 교량 진동력 발전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교량의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력 발전장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진동력 발전의 실 교량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안한 진동력 발전장치를 용인신봉구역에 최근 건설된 차도교량에 직접 설치하여 실험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된 진동력 발전 장치의 발전성능과 교량의 상시진동을 이용한 진동력 발전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도시계획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Urban Planning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이성희;김정곤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57-26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bnormal climate caused by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rban planning focusing o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 study consists of theory consideration and case study(Chicago, Philadelphia, Seattle). As a result, the main impacts of climate change faced by urban areas are heat wave, precipitation, and drought. To prevent these impacts, it is important to prepare methods of urban planning as followings: planning for land use, park and green considering the climate patterns, establishing and managing water resources systems similar to the nature, securing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exterior space with proof against climate.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introduce infrastructures related to storm water, green roof, shading tree planting, green space, and permeable pavement. Finally, in order to realize urban planning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t is needed to make the detailed and specific goal and strategy for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to extend the scope from the goals to an action plan, a detailed plan, and a design guideline.

영국 공원녹지 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 김연금;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6-96
    • /
    • 2012
  • 최근 공원녹지 공간은 여가 활동의 장소로 뿐만 아니라 환경복지, 사회교육과 일자리 창출, 탄소 저감 등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공원녹지는 도로, 하천, 항만, 상하수도, 배수 같은 도시기반시설로 이해하거나, 교육 및 문화, 복지 시설 등과 같은 인프라에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공원 및 녹지 공간 관련 정책에 반영되고 있고, 많은 국가나 지자체에서 관심을 갖고 투자하고 있다. 영국에서 근래 이루어진 정책적 쇄신은 이에 대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 이후 영국에서 이루어진 공원녹지 정책의 변화 과정과 내용, 변화된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정책서를 통한 정책 참여와 실천 유도이다. 이는 추상적 문구와 일반적 유형을 나열하여 실행 효과가 미흡한 성문법보다 실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공원녹지공간의 정치적 행정적 위상 제고다. 일례로 공원녹지 공간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을 총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직인 케이브 스페이스를 설립하였다. 셋째, 도시공원과 녹지를 위한 지원금 제도의 도입과 실행이다. 넷째, 공원녹지 공간의 질 저하 방지와 향상을 위한 단기적 장기적 정책 마련이다. 다섯째, 중앙정부, 지방정부, 커뮤니티의 역할배분과 파트너십 구축이다.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와 제도적, 정보적 지원, 모니터링, 우수 사례 선발 같은 방식으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정책수립과 실천에 다양한 주체들과 커뮤니티의 참여이다. 정책수립과 실천에 중앙정부조직들뿐만 아니라 제 3부문의 단체들, 민간기업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여러 정책과의 연계성 및 실천성을 높였다.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공원 일몰제, 조경법, 도시숲법 등 당면 문제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 질 높은 도시의 삶, 지속가능성 확보 등으로 인해 공원녹지 정책에 대한 재고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공원녹지 정책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영국의 사례 검토는 의미 있는 일이다.

비도시화 토지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그린인프라 적용기법 : 에코델타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Application for Sustainable Land Use of Non-urban Area : The Case Study of Eco-delta City)

  • 김동현;서혜정;이병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02-411
    • /
    • 2014
  •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 기법이 개별 요소시설로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및 설계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적용 대상 토지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린인프라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토지 특성 평가 지표로 토지피복, 파편화 정도, 주거지와의 인접도, 유사한 토지 파편들 간의 군집 정도를 통한 녹지 네트워크 수준을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토지가 개발에 가까운 적성을 가졌는지, 보전에 가까운 적성을 가졌는지를 결정해준다. 결정된 토지의 적성이 개발과 가깝다면 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의 분산 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된 토지의 적성이 보전과 가깝다면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구조적 그린인프라 기법이 바람직하다. 구축된 분석 방법을 국내 사례지에 적용하고 분석 결과를 기존의 토지이용계획과 비교하여 이를 통해 그린인프라 적용기법이 가지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