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City

검색결과 971건 처리시간 0.026초

뉴욕시 초고층주거 외장재 연구 (A study on the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 Rise Housing in New York City)

  • 신수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10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rise housing more than 30 stories which were built in New York City between 1924 and 2004. The result of examining 153 buildings was as follows;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rise housing which were used bricks, of the salt-glazed bricks, terra-cotta and ceramic tiles, jumbo bricks and bricks were preferred among them. The colour of bricks was yellow, yellow ochre, clear brown, brown, dark brown, orange, vermilion and red. Exterior materials of super high-rise hotel and hotel apartment were bricks and ceramic tiles in the early days but stones, curtain wall and glass(green glass, green-tinted glass, brown-tinted glass, black glass) after 1980s. The main colour of buildings extended gray, green, blue-tinted brown-tinted and black.

  • PDF

An Introduction of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round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to Mixed-Use Development -

  • Cho, Se-Hwan;Lee, Jeung-Eu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35-143
    • /
    • 2010
  • The 21st century is currently undergoing an era of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cure and expand the green infrastructure with zoning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This objective also seeks a wa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use of existing large parks by employing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limits, problems of existing single- and mixed-use zoning districts for securing of green infrastructure by book review. This research finally advocates introducing a another type of urban mixed-use districts, namely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by using landscape ecology and landscape urbanism as a theoretical ba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patch in landscape ecology.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as patches have ecotones with greater biodiversity in the peripheral areas of it, the green infrastructure can be constructed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by introducing cultural ecotone of nature's convergence with the city. As a result,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high density of land use and using behaviour can be increased.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encourage the convergence of parks and the city, with the park being used as the main function; residential, commercial, business and cultural uses etc. are partial functions. In order for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to be designated, the size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s well as location, city function and condition of the peripheral areas all need to be considered.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designated width of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nd the form of the peripheral area was also discussed. This research, which is based on investigative research results, suggests that further in-depth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large parks and peripheral areas needs to be completed. Specialist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related plans and designs are also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practice.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경관인식 (Types of Green Landscapes in a Suburban City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 손용훈;윤문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01-11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교도시의 녹지경관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근교도시 녹지경관의 보전계획 및 활용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는 일본의 수도 도쿄의 근교도시인 마츠도시이다. 먼저 공간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해 대상지의 녹지경관을 유형화하고, 다음으로 녹지경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녹지경관 평가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마츠도시에는 도시계획, 자연지형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녹지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며, 주된 녹지경관은 20개의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녹지경관 유형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시가화조정구역의 하천, 공원 등이 개성 있는 경관으로 높게 평가된 반면, 주거구역의 농지 및 수림지 등은 낮게 평가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경관평가의 척도를 분석한 결과 3가지 성분이 추출되었으며, 각 성분은 명료성, 친밀성, 지역성이다. 도시 농지와 수림지는 근교도시의 녹지경관 특징 중 하나이며, 도시이미지 중 친밀성, 지역성과 관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근교도시에 있어서 녹지계획과 녹지경관 관리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그린인프라스트럭처 개념을 적용한 가로 녹시율 개선 방안 - 중국 쓰촨성(四川省) 청두시(成都市)을 중심으로 - (A Green View Index Improvement Program for Urban Roads Using a Green Infrastructure Theory - Focused on Chengdu City, Sichuan Province, China -)

  • 호우슈쥔;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1-74
    • /
    • 2023
  • 그린인프라스트럭처(Green Infrastructure)의 개념은 자연 시스템과 도시 사회 시스템 간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하며, 생태 환경을 보호하고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녹시율은 도시의 녹지 공급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녹피율보다 더 많은 3차원 공간 요소를 포함한다. 가로 녹지는 도시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로 녹시율의 개선은 도시 기후 위기에 대처하고 인간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 쓰촨성(四川省) 청두시(成都市)의 3순환가로 이내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연구 목적은 첫째, 스트리트뷰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로 녹시율의 공간 분포 특성 및 도시 공원 녹지 시스템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낮은 녹시율 가로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공간 구문론을 활용하여 도로 교통과 가로 녹시율의 연결성을 분석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 범위 내에서 남서부 가로 녹시율은 북동부보다 높다. 가로 녹시율의 공간적 분포는 도시 공원 녹지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낮은 녹시율의 가로 이미지는 주로 상업 시설 집적 지역, 도시 신규 건설 지역, 고가가로 및 주변, 도시 4급 이하 가로, 교차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셋째, 도시 교통과 인구 집중 지역에서 높은 통합도와 낮은 녹시율의 가로는 주로 1순환가로 중심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향후 쓰촨성 청두시 가로 녹시율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한 폐기물 제로 청정도시 구상 (Realization of Zero Waste Clean City to Low Carbon Green Growth)

  • 오정익;안수정;김종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40
    • /
    • 2010
  • 도심 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와 일반 가연성쓰레기인 생활폐기물을 수거 및 집하한 후에 바이오매스로 활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에너지는 주거 및 상업단지 등에 공급하는 폐기물 제로 청정도시를 구상하였다. 바이오매스 순환거점으로는 바이오에너지화 시스템을 연계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설정하였다. 바이오에너지화 시스템은 바이오가스화, 연료화, 에너지순환공정으로 구성하였다. 음식물쓰레기는 처리하면서 바이오가스화하고, 일반 가연성 쓰레기는 열분해/건조하여 연료화하며, 발생되는 바이오가스와 연료는 에너지 순환공정에서 발전기,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게 하였다. 또한, 가상의 사업 대상지구에서 음식물쓰레기 35 톤/일, 일반 가연성 쓰레기 20 톤/일로 생활폐기물 총 55 톤/일에 대한 처리 및 처분에 있어서 기존도시와 폐기물 제로 청정도시에서의 탄소저감 및 건설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폐기물제로청정도시에서는 기존 도시 대비 연간 탄소배출량이 약 2.7배 저감 가능하고, 폐기물 관련 환경기초시설의 건설비도 기존도시에 비교하여 약 15%절감이 예측되었다.

친환경 도시에너지계획 프로세스 및 계획지원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rban Energy Planning Process and Planning Support System for a Energy Saving Green City)

  • 여인애;윤성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02-505
    • /
    • 2012
  • This study suggested 'Environmental Friendly City Model' and 'Energy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ecessity of 'Energy Saving Green City and 3 technologies like (1)Urban Spatial Modeling, (2)Urban Energy Consumption, (3)Urban Energy Supply Planning technologies were suggested which are able to support sustainable urban energy plan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E-GIS modeling system was suggested as a 'Planning Supporting System'. (2)Urban Energy Consumption Algorithm was systemized with planning information of E-GIS DB. (3)Urban Energy System Location was deduced by integrating E-GIS DB and ANN algorithm.

  • PDF

버스 통행우선신호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olution of Bus Priority System)

  • 김성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65-473
    • /
    • 2005
  • 버스 통행우선신호(TSP)와 관련된 외국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버스운행시간이 $6{\~}32\%$감소하였다. TSP 기법을 울산도심의 주간선 도로인 문수로 4.07km 구간에 오전 첨두시 1시간의 동진하는 버스에 대해서 Early Green과 Extended Green기법을 적용하였다. 앞의 기법에서 평균 통행시간이 $18.1{\~}25.8\%$ 단축되었고 통행속도는 $30.9{\~}40.1\%$ 빨라졌다. 뒤 기법에서는 통행시간이 $12.1{\~}30.3\%$ 단축되었고, 통행속도는 $30.1\%$ 빨라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버스 TSP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To Protect and Utilize Suburban Green Space and To Expend Green Ecological Space at Urban Periphery

  • Dinghua Liu;Yaojiong Me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164-170
    • /
    • 2004
  • Suburban green space is an important component part of urban ecological system, the third largest space between urban center and peripheral countryside. Because of the specific regional location of the suburban green space, it differs from the green space in the center of the city in the respects of construction and planning. Anyhow, it has the features of less investment, quicker efficiency, free and easy management and good ecological effects. The writer of this paper holds that urban ecological construction should be planned rationally and laid out in an overall way under the prerequisite of making full use of and protecting local species so as to further extend the green ecological space at urban periphery, to create dense green surroundings, and to explore a way for ecological construction to develop in a scientific, effective and healthy way.

  • PDF

PDMS와 PEBAX 분리막을 통한 단일기체($N_2$, $O_2$, $SF_6$, $CF_4$) 투과 특성 (Permeation Properties of Single Gases ($N_2$, $O_2$, $SF_6$, $CF_4$) through PDMS and PEBAX Membranes)

  • 김한별;이민우;박완근;이순재;이현경;이상협
    • 멤브레인
    • /
    • 제22권3호
    • /
    • pp.201-20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DMS (poly-dimethylsiloxane)와 PEBAX (polyether block amides) 분리막을 이용해 $N_2$, $O_2$, $CF_4$$SF_6$의 단일 기체 투과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양한 압력으로 공급된 기체의 투과유량을 진공가압 연속흐름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투과도를 산정하였다. PDMS 분리막에서는 상부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SF_6$를 제외한 다른 기체의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SF_6$의 투과도가 $CF_4$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SF_6$가 더 높은 임계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DMS 분리막에서 투과도는 $O_2$ > $N_2$ > $SF_6$ > $CF_4$ 순으로 감소하였다. 반면에 PEBAX 분리막에서 기체의 투과 경향은 $O_2$ > $N_2$ > $CF_4$ > $SF_6$ 순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각 기체의 운동 반경의 크기(${\AA}$)($SF_6$ > $CF_4$ > $N_2$ > $O_2$) 순서와 반대로 나타났다. $SF_6/CF_4$의 순수 기체의 선택도는 PDMS 분리막에서 0.7 MPa일 때 2.1로 나타났다.

한국산 녹차 5종의 물의 온도 및 우린 횟수별에 따른 Chlorophyll 함량의 변화 (The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5 Korean Green Teas by the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he Number of Soaking)

  • 변재옥;최석현;소궤신행;이연정;김동석;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6-16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anges of chlorophyll a and b contents by the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he number of soaking using five kinds of Korean green teas(3 kinds of green tea and 2 kinds of tea bag) which were obtained from a local market in Daegu city, Korea. The chlorophylls were extracted with 80% acetone, and determined by a visible spectrophotometer.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in Sulrok(tea bag) were the highest among all kinds of teas when they were extracted at 60, and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soaking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hlorophyll content of green teas was the highest at 80, an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soaking as the tea bag did.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tea bag contained more chlorophyll than green teas did, and green teas contained significantly more chlorophyll b than chlorophyll 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