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 law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외 옥상녹화 기술현황분석을 통한 국내 방수.방근기술의 개선방향연구 (Direction to Develop Domestic Technology for Waterproofing and Root Penetration Resistance in Comparative Study of Overseas Technology on Green Roof System)

  • 권시원;배기선;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17
    • /
    • 2007
  • The green roof industry have been developed with Europe, North America, Japan. At the same time, being recognized the important of green roofs in domestic industry and we just start to develop the relative technology as analyzing the future direction of advanced technology. Recently, local self-government including Seoul support the system for green roof which provide 50% of working expenses form of Matching Fund by Seed Money. As years go by, the number of build up the green roof has gradually increased to be proved. At this result caused by management of system in government, unstructured construction system, low development of support technology. In this study as analyzing the present of technical development, supporting by law and system for the advanced waterproofing and root penetration resistance technology, we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t to be compared with application advanced technology and we could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be industrialized the green roof considering system, technology, human infrastructure.

  • PDF

대지내의 조경관련 조례와 규제제도의 개선방안 -전라북도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Remedial Measures of Ordinances and Regulations on landscaping at Site Level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in Chollabuk-Do-)

  • 김남희;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7-47
    • /
    • 2000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mproved alternatives of the ordinance which practically control the open space in-situ, public open space and landscape construction related to city landscape for the healthy physical and mental life of the city dweller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pecial law of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be legislated. 2. The portion of landscaping should be changed by up-grading in the Ordinance of Landscape area and planting and the terms of landscape Facilities should include the ecological aspects in it's contents in the law. 3. The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s should actively lead and support the dwellers to make the roof gardens and the window gardens in the building area of cities or commercial districts which have relatively low rate of green space. 4. Any new construction and restoration of the buildings with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reation of public open space should be given incentive and Set-back space in aesthetic area should have appropriate planting area and facilities in it. 5. Organizing professional landscape evaluation committee and composing evaluation standards are very important because of the contemporary propos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pace and conservation of urban natural spa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Provis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pervision of the specialist should be legislated and the Landscape Architectural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Government.

  • PDF

조경관점의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대한 방향 정립 (A Study on the Right Direction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Architecture)

  • 차욱진;남정칠;양건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56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2012년 1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3년간 녹색건축통합운영시스템(G-SEED)에서 인증 받은 총 78개의 건축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 대해 네 가지의 논점을 도출하였다. 논점 1, 조경분야의 평가항목인 생태분야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확실한 성과를 보이는 항목이다. 이에 생태분야는 8개의 건축물에서 필수평가 항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논점 2, 조경분야는 전문성이 매우 뛰어난 분야이다. 타 분야에서 조경분야를 평가한다는 것은 올바른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생태분야의 평가는 조경전문가에 의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타 항목 중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의 평가와 같은 조경분야와 밀접한 항목의 평가는 조경분야에서도 평가에 참여하여야 한다. 논점 3, 조경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온도저감의 우수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이에 조경 식재의 에너지 저감에 대한 평가항목이 추가되어야 한다. 논점 4, 유지 관리분야에 수목관리항목이 신설되어야 한다. 2013년 "녹색건축조성지원법"이 제정 시행된 녹색건축인증제도는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실효적인 제도임에 틀림없다. 이 법은 특별법의 성격으로 건축법의 우위에 있어,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꼭 지켜야 하는 법이다. 이러한 법 체제 아래 건축분야에서는 이 법과 관련된 많은 연구 및 다양한 제품의 생산으로 건축의 또 다른 먹거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 분야에서는 "녹색건축조성지원법"에 대해 건축 분야에 비해 관심이 저조하였던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녹색건축인증제도에 대한 조경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조경 산업계에서도 더욱 큰 관심을 가져 이와 관련된 제품의 생산 등으로 조경의 업역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