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dial Measures of Ordinances and Regulations on landscaping at Site Level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in Chollabuk-Do-

대지내의 조경관련 조례와 규제제도의 개선방안 -전라북도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김남희 (조경설계서안(주) 부설연구소) ;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mproved alternatives of the ordinance which practically control the open space in-situ, public open space and landscape construction related to city landscape for the healthy physical and mental life of the city dweller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pecial law of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be legislated. 2. The portion of landscaping should be changed by up-grading in the Ordinance of Landscape area and planting and the terms of landscape Facilities should include the ecological aspects in it's contents in the law. 3. The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s should actively lead and support the dwellers to make the roof gardens and the window gardens in the building area of cities or commercial districts which have relatively low rate of green space. 4. Any new construction and restoration of the buildings with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reation of public open space should be given incentive and Set-back space in aesthetic area should have appropriate planting area and facilities in it. 5. Organizing professional landscape evaluation committee and composing evaluation standards are very important because of the contemporary propos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pace and conservation of urban natural spa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Provis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pervision of the specialist should be legislated and the Landscape Architectural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Government.

Keywords

References

  1. 도시계획과 관리 국토계획학회
  2. 한국조경학회지 v.21 no.1 조경관련법규 개정과 당면과제 권오준
  3.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대지 안의 조경관련 조례와 제도의 개선방향 김남희
  4. 한국지방자치론 김병준
  5. 녹색환경창조를 위한 옥상녹화의 현재와 미래 서웅철
  6. 독일의 생태적 도시계획 지침 송인주
  7. 조경관련법령개선에 관한 연구 신용모
  8. 국내·외 조경관련 법 제도에 관한 연구 신익순
  9. 한국조경학회지 v.25 no.3 외국의 조경관련 법제도의 비교분석과 한국에서의 조경기본법 제정을 위한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신익순
  10. 한국조경학회지 v.25 no.1 조경식물 및 식재 관련 국내·외 법제도에 관한 연구 신익순;김용수
  11. 조경설계시공관계법규 이명우;권오준;임봉구
  12. 전면공지의 유형과 환경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이동원
  13. 한국조경학회지 v.26 no.2 서울지역 공원녹지 식재 밀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이준복;심경구
  14. 전라북도 건축조례 전라북도 건축사회
  15. 생태도시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전성우
  16. 도심지 건축물 주변 자연환경조성업무추진에 대한 의견 조회 전주시
  17. 전주시 건축조례 시행규칙 내 조경 심의도면 작성방법 전주시
  18. 한국조경학회지 v.23 no.3 계획·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법·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정하광
  19. 한국조경학회지 v.23 no.3 도시환경림 및 군락식재지의 백식 기법 연구 조우;이경재
  20. 도시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증진기법에 관한 연구 최일기
  21. 한국조경학회지 v.26 no.2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식재조례기준의 현황 및 개선방향 최일홍;황경희;이규목
  22. Urban Land Use Planning Chapin, F. S.
  23. Urban Planning and Land Development Control Law(2nd ed.) Hagman, D. G.;Juergensmeyer, J. C.
  24. City Form and Nature Process Michael Hough
  25. Umweltschutz in der ebauungsplan Umweltbundes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