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vel surface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1초

수질 개선을 위한 침전산화수로 개발 (Development of Depot Encircled with Oxidation Canal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 김원장;박상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3-89
    • /
    • 2000
  • A depot encircled with contact oxidation canal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water qualityr. The depot is aimed to settle suspended solid in the flow. The oxidation canal is to contact the pollutants and oxygen in the surface of gravel filter to purify the water. The deposit of the pollutant in the depot is released by the drainage culvert located at the bottom of it. Aeration nozzle is installed to supply enough oxygen to the gravel filter layers in the bottom of the detent the flow and improve oxidation efficiency. From the experiment it is founded that 91% of SS, 39% of TN, 63% of TP and 77% of COD were removed in the system.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otal nitrogen is rather lower than any other components, however, it would be higher when some floating vegetation is added in the primary clarifier. The depot and oxidation canal system would be useful to purify the flows in the mouth of the reservoirs or at the outlet of the drainage canal.

  • PDF

한국 서남해역 시아해의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y in Shia Sea, Southwest Coast of Korea)

  • 임재근;임현식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29-345
    • /
    • 2016
  • 해남반도와 신안 및 진도 사이에 위치한 시아해에서 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군집 구조 및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49개 정점을 설정하고 2001년 11월, 2002년 2월, 5월, 8월에 van Veen grab(채집 면적 $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2회씩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퇴적상은 목포구와 인접한 내측해역은 muddy sandy gravel 퇴적상이, 조류가 강한 명랑수도와 인접한 지역은 gravel의 퇴적상이, 우이도 남측 해역에서는 sand muddy의 퇴적상이었다. 퇴적물내의 유기물 함량은 0.5~1.5%의 범위로서 평균 약 0.6%였다. 전 조사기간 동안 총 271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다모류가 전체의 34%를 점유하여 가장 우점하였으며, 갑각류가 28%, 연체동물이 21%를 점유하였다. 평균 밀도는 $166ind.\;m^{-2}$였으며, 다모류가 약 40%, 갑각류가 26%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은 평균 $29.2g\;m^{-2}$로서 연체동물이 44%였다. 입도가 세립한 신안군 압해도에서 입도가 조립한 진도군 외측 해역으로 갈수록 출현 종 수, 밀도 및 생체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io-env 분석 결과 군집은 입도 조성과 유기물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세립질 퇴적상에서는 Photis longicaudata, Septifer keenae, Maldane cristata, Lumbrineris longifolia, Heteromastus filiformis, Coptothyris grayi 등이었다. 집괴 분석 결과 4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SIMPER 분석 결과 정점군 A에서는 Striarca symmetrica, 정점군 B에서는 Glycera chirori, 정점군 C에서는 Heteromastus filiformis, 정점군 D에서는 Latreutes planirostris가 유사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결과로부터 시아해의 대형 저서동물 군집은 퇴적상과 이에 수반된 유기물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양호한 군집 특성을 보였다.

표면파 탐사에 의한 필댐 사력죤의 전단파속도 산정 연구 (Study on Shear Wave Velocity of Fill Dam rock zone using Surface Wave Method)

  • 권혁기;신은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필댐 사력죤의 전단파속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필댐 사력죤의 특성상 주로 표면에서 비파괴적으로 수행되는 표면파 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전단파속도를 도출 하였다. 대표적 표면파 기법인 SASW기법과 새롭게 개발된 HWAW 기법을 이용하여 6개댐 사력죤에서 시험을 통해 심도별 전단파속도와 구속압에 따른 전단파속도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기존에 많이 사용되었던 Sawada와 Takahashi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자갈 및 암반 하상 산지하천의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 분석 (Analysis of Loop-Rating Curve in a Gravel and Rock-bed Mountain Stream)

  • 김동수;양성기;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853-860
    • /
    • 2012
  • 홍수 발생 시 모래하천의 수위-유량 관계가 고리형을 이룬다는 것은 많은 현장 계측을 통해 보고되어 왔다. 또한, 홍수파 해석이나 사련에서 사구로 변동되는 하상해석을 통해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의 원인이 규명되어서 고리의 형태나 진행방향 등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도 상당부분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가 급한 자갈 및 암반으로 구성된 산지하천의 경우, 현장유량계측의 어려움과 관측 정확도의 문제로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물었다. 본 논문은 자갈 및 암반지형의 산지하천인 제주도 한천에서 2011년 태풍 무이파 때 계측한 홍수 유량을 바탕으로 수위-유량 관계를 구축하고, 자갈하천에서 형성되는 고리형 수위-유량곡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량계측 방식으로는 홍수기에 적합한 비접촉식인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사용하여, 홍수의 상승기와 하강기의 유량을 시간 단위로 계측하는 데 성공했다. 계측결과 수위-유량관계에서 뚜렷한 고리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리의 이력이 모래하천과 정반대로 동일수위에서 상승기의 유량이 하강기의 유량보다 작은, 고리 경로의 역전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역전현상은 자갈하천의 조도의 변화가 모래하천의 경우와 반대로 발생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침투정 토양 조건에 따른 침투 실험 (Infiltration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Soil Condition of Infiltration Collector Well)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215-22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침투정 설치 시 침투정 토양표면의 막힘 현상에 따른 침투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빙안을 강구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기 다른 토양특성에 따른 침투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다른 실험조건에서 침투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침투정 설치 시 침투정의 하부토양은 자갈이나 가급적 입경이 큰 토양을 설치함으로써 침투정으로부터 우수를 빠른 시간 내에 배수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침투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고려할 때 토양 내부에 부유토사의 침투에 따른 막힘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부 자연 토양의 다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연토양 상부에 가급적 얕은 깊이로 모래를 설치하고 가급적 굵은 자갈을 상부에 설치하여 저류능과 수두를 높여 침투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기적으로 침투정에 발생하는 crust(경화 토피층)를 제거하고 침투정내 모래를 수시로 교체하여 원래의 침투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투수성 포장재의 우수 표면유출 저감 효과 (The Effect of Pervious Pavement o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 이춘석;류남형;한승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6-37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vious pavements o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caused by rainfall. The surface runoff from twelve steel experimental beds with different pavement had been recorded every minute from May to September 2008, by the measuring system of tipping buckets(0.1mm/count) and data aquisition systems(National Instrument's Labview and DAQ boards & Autonics PR12-4). The dimension of the experimental bed was $1.5m(W){\times}2.0m(L){\times}0.6m(D)$ and eleven different kinds of vegetational(grass, grass+cubic stone, grass+hole brick), modular(brick, cubic stone, small cubic stone, wood block, interlocking block, clay brick, granular clay brick) and granular(naked soil, gravel) paving materials and concrete were applied for the comparison. Six rain events with depth over 30mm were selected and compared. The maximum depth of the rainfall selected was 137.5mm for 28 hours, and the minimum 30mm for 5 hours. The maximum rainfall per hour was 23mm/hr and the minimum 11.4mm/hr.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ll pervious pavement applied reduced over 75% of the surface runoff compared with concrete pavement. The grassy and porous pavements were relatively efficient in reducing surface runoff. 2. The grass was the more efficient as intercepting average 69.5mm of initial surface runoff, and maximum 77.8mm at the condition of 13.5mm/hr rainfall. The next was gravel intercepting maximum 65.5mm at the condition of 13.5mm/hr and the 40.9mm at 19.1mm/hr, average 55.7mm. 3. The modular pavements common in urban area were not good in intercepting the runoff except the 'clay granular brick' compared with others. The 'clay granular brick' showed relatively efficient intercepting average 14.1mm, which was the bigger amount than the 'grass+hole brick'. 4. The 'naked soil'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crete', 'brick', and 'interlocking block' i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but less efficient than other materials. The capacity of the 'naked soil' to intercept the initial rainfall was similar to the 'brick'. As summary, the more grassy and porous pavement shows more effective in reducing surface runoffs.

코팅재료를 이용한 비쇄석골재의 성능향상 (Improvement of Low-quality Local Aggregates Using Coating Materials)

  • 박대욱;김민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9-48
    • /
    • 2006
  • 세립의 포리에틸렌, 카펫부산물, 시멘트와 라텍스로 코팅된 매끄럽고 둥근 규사질의 강자갈을 가지고 실험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아스팔트 혼합물 공시체를 만들었다. No. 4번체 이상에 남아 있는 골재만 코팅을 하였다. 개념은 매끄럽고 둥근 강자갈을 코팅함으로서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켜 공학적 특성이 우수한 혼합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표준 테스트와 비표준 테스트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 공시체를 평가하였다. 코팅과정과 제한된 혼합물 공시체 테스트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세 가지 종류로 코팅된 골재를 사용한 혼합물들은 Hveem과 Marshall 안정도, 인장강도와 회복탄성계수가 증가되었으며 이는 코팅되지 않은 골재로 만든 혼합물과 비교하여 소성변형과 균열저항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PDF

The necessary number of profile lines for the analysis of concrete fracture surfaces

  • Konkol, Janusz;Prokopski, Grzegorz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5권5호
    • /
    • pp.565-576
    • /
    • 2007
  • The article describes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the level of complexity of fracture surfaces by the method of vertical sections, and a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profile lines on the fractographic and fractal parameters of fractures, i.e. the profile line development factor, $R_L$, and the fracture surface development factor, $R_S$, (as defined by the cycloid method), as well as the fractal dimension, $D_C$, (as determined by the chord method), and the fractal dimension, $D_{BC}$, (as determined by the box method). The above-mentioned parameters were determined for fracture surfaces of basalt and gravel concretes, respectively, which had previously been subjected to fracture toughness tests. The concretes were made from mixtures of a water/cement ratio ranging from 0.41 to 0.61 and with a variable fraction of coarse aggregate to fine aggregate, $C_{agg.}/F_{agg.}$, in the range from 1.5 to 3.5. Basalt and gravel aggregate of a fraction to maximum 16 mm were used to the tests. Based on the performed analysis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necessary number of concrete fracture profile lines, which assures the reliability of obtained testing results, should amount to 12.

미국 매사추세츠주 Cape Cod 해안의 퇴적물 이동 (A Sediment Transport of Cape Cod Coast, Massachusetts, USA)

  • 김동주;은고요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589-594
    • /
    • 1997
  • A total of 24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region and fronting of sea cliff on Cape Cod In southeastern Massachuset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sult of grainsize analysis, the overall trend of g.k size decreases from the north(Wood End Beach) to the south(Nauset Light Beachy. The coarser materials tend to be deposited at the foreshore than at the backshore. Especially gavel content(%) Is very high in northern beaches. The lavel fraction tended to concentrate at the toe of the beach. In addition to gravel. the beach and nearshore bar also tended to be deposite of very coarse sand and the Inner fraction accumulate in the offshore bar, Grainsize analyses of sediment Indicates that the coarsest sands Including gravel accumulate In the beach and nearshore bar, the finer fraction winnowed out by wave action to be deposited In the offshore bar. The beach and nearshore bar sands and gavel are subsequently transported laterally by the wave-driven longshore drift, and finally they come to rest in the distal end of Provincetown Hook. The faller offshore sands are trnasported laterally to the south by net southward-directed longshore current.

  • PDF

Factors affecting the infiltration rate and removal of suspended solids in gravel-filled stormwater management structures

  • Guerra, Heidi B.;Yuan, Qingke;Kim, Youngchul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1호
    • /
    • pp.67-74
    • /
    • 2019
  • Apparent changes in the natural hydrologic cycle causing more frequent floods in urban areas and surface water quality impairment have led stormwater management solutions towards the use of green and sustainable practices that aims to replicate pre-urbanization hydrology. Among the widely documented applications are infiltration techniques that temporarily store rainfall runoff while promoting evapotranspiration, groundwater recharge through infiltration, and diffuse pollutant reduction. In this study, a laboratory-scale infiltration device was built to be able to observe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flow variations and corresponding solids removal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employing semi-synthetic stormwater runoff. Results reveal that runoff and solids reduc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infiltration capability of the underlying soil which is also affected by rainfall intensity and the available depth for water storage. For gravel-filled structures, a depth of at least 1 m and subsoil infiltration rates of not more than 200 mm/h are suggested for optimum volume reduction and pollutant removal.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the structure is more critical than the depth for applications in low infiltration soils. These findings provide a contribution to existing guidelines and current understanding in design and applicability of infiltra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