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ssland Vegetation Ratio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영년채초지에 있어서 혼파조합에 관한 연구 I. 예취빈도와 질소시비수준이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ixture combination in rermanent Pasture I.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botanical composotion)

  • 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8-76
    • /
    • 1989
  •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of mixture sowing combination on the develop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was conducted for 12 years on the meadow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estuca pratensis lost the expected position of a dominant species. Its vegetation ratio decreased gradually until the last survey year. 2. Arrhenatherum elatius, known as a typical 2-cutting grasss, developed to a dominant species only in the 3- cutting plot without limitation. 3. Alopecurus pratensis, whose feeding value diminishes rapidly, developed to a dominant species regardless of N-fertilization under the condition of 3-cutting, even though the same small amount of seeding was introduced as usual. 4. Trisetum flavescens which causes calcinose exceeded the 40% of vegetation ratio which was the approved rate for feeding at the high N-level (2OOKgIha). 5. Among the introduced, the species showed the significance in quantity were Lotus corniculafus solely in the 2-cutting plot, and Trifolium repens solely in the 3-cutting plot. In the 3-cutting plot legume yet remained under N-fertilization. 6. The appropriate ratio of vegetation for the subordinate species in the mixture sowing combination was easily attained from the least amount of seeding (Gramineae with max. 3Kg/ha, Leguminosae with max. 2kgIha). 7. Into the mixture sowing combination, infiltrated unintroduced species marked more noticeably in the 2- cutting plot than in the 3-cutting plot.

  • PDF

초지식생비율에 의한 초지등급평가 연구 (Evaluation of Grassland Grade by Grassland Vegetation Ratio)

  • 이배훈;김지융;박형수;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36
    • /
    • 2020
  • 본 연구는 초지등급의 평가를 기존의 목초생산량 기준에서 초지식생비율(초종, 잡초 및 나지)에 의한 기준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6개도의 초지보유 41농가에 대하여 지자체가 목초생산량 기준으로 평가한 초지등급은 상 19농가, 중 11농가 및 하 11농가이었으나 실측조사를 통해 평가한 초지등급은 모두 하 등급으로 나타나 지자체와 실측 조사간에 차이가 컸다. 이것은 목초생산량에 대한 조사가 조사시기 및 조사횟수 등 조사방법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없이 임의적으로 수행되어 계절적 변동이 심하고 여러번 예취하는 목초의 생육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초지식생비율에 의한 초지등급기준은 6단계등급으로 작성한 후 지자체 및 초지농가의 현장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는 4단계등급으로 결정하였다. 4단계등급 기준으로 41 농가의 초지등급을 재평가한 결과 2등급이하가 80%이상으로 나타나 부분적 보파나 전면적 갱신을 필요로 하였다. 4 단계등급 기준에 의거 평가 시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모식도와 표준식생 사진을 함께 제시하였다. 초지식생 조사는 가을철 목초 초장이 20~30 cm일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상에서 초지식생비율에 의한 4단계등급에 의한 초지등급 평가방법은 비전문가인 초지농가나 지자체가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초지식생 비율에 의한 초지등급평가 방법이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초지법의 개정 등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무인기를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계절별 식생지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Italian Ryegrass Vegetation Indices across Different Sowing Season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 양승학;정종성;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08
    • /
    • 2023
  • 본 연구는 드론의 초분광장치를 이용하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육기간 중의 파종계절에 따른 식생지수 변화 및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 봄파종구의 건물수량이 가을파종구의 약 52%였으며 초장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식생지수를 산정하여 연속적인 패턴을 분석한 결과, 가을파종구의 대부분 식생지수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지며, 봄파종구는 높아지는 유형을 보였으나 RGRI는 반대의 유형을 나타냈다. 재배기간에 따른 가을파종구의 건물수량과 RGRI의 상관성이 높았다.

Vegetation Changes and Yields of Tall Fescue-based Mixture Pasture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Jeong Sung Jung;Se Young Lee;Mirae Oh;Hyung Soo Park;Bae Hun Lee;Ki Choon Choi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9-205
    • /
    • 2023
  • Pasture formation and management are crucial to avoid yield reduction. This experiment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all fescue-centered mixed-seeding combinations on yield and vegetation changes in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for two years, from September 2020 to October 2022.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in three replication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control (C), tall fescue-based mixture-1 (T-1), and tall fescue-based mixture-2 (T-2). The tall fescue (TF), orchard grass (OG), perennial ryegrass (PRG), Kentucky bluegrass (KBG), and white clover (WC) were used. The emergency rate of grasses (70.0 to 73.3%) did not differ among mixed seeding combinations. Overwintering rates (81.7 to 83.3%)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The plant height of grasses was similar at each harvest date, with the highest height (86.2 cm) recorded in the second harvest of the first year, followed by that (58.4 cm) in the third harvest of the first year; it was least (38.9 cm) in the fourth harvest of the second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y matter yield of grasses among the mixed seeding combination treatments in the first, third, or fourth harvests of the first year (p>0.05). For second-year grasses, dry matter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harvest date among the treatments (p>0.05). Based on mixed seeding ratio, orchard grass showed the highest yield at 70% in the C treatment, followed by tall fescue at 80% and 60% in the T-1 and T-2 treatments, respectively, in the first harvest after s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value between treatments (p>0.05),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harvest (p<0.05). Therefore, it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perennial pastures in the central region through mixed seeding combinations centered on tall fescue.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 Depending on Type of Degraded area and Suggestion for Restoration Species Based on Vegetation Information in the Mt. Jirisan Section of Baekdudaegan)

  • 이혜정;김주영;남경배;안지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8-572
    • /
    • 2020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I 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Fodder Supply in Cold Season in Gobi Nomadic Area, Mongolia

  • Yamasaki, S.;Ishida,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203-206
    • /
    • 2004
  • Fodder supply condition was studied at 41 nomadic families in Gobi, Southern Semi-Desert area in Mongolia, from Dec. 1994 to Apr. 1995 to determine problems in cold, feed deficient season for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system. The conditions of two family groups: those located in sparse vegetation (FG1), and those in comparably dense (FG2), were also compared. Commercial concentrate feed (concentrate), hay and Zoodoi were prepared for supplementation. Zoodoi was hand-made feed made mainly of Allium mongolicum and Allium polyrrhizum. Allium mongolicum tended to be used at FG1 frequently, and Allium polyrrhizum at FG2 depend on differences of micro vegetation. 44%, 90% and 39% of families prepared 165.6 kg of concentrate, 301.6 kg of hay and 6.8 kg of Zoodoi per sheep and goat (small livestock) on the average, respectively. The ratio of families that used concentrate at FG1 was smaller than those at FG2,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mount. More hay was fed at FG1 than at FG2, and Zoodoi tended to be fed more in the FG1 group. Recipients were mostly restricted to young, female and sick small livestock that use the feeds effectively. More families gave concentrate and hay to the young than to the females and sick. They also gave more Zoodoi to young and sick animals than to females in this area. In the FG1 group,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recipients on the concentrate supply. More families supplied hay to young animals than to sick ones, and Zoodoi was fed more to sick animals than to young and females.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 FG2 found, more families fed fodders to young than to female and sick regardless of the kinds of feeds. The amount of fodder supplementation in the studied area was restricted, but accurate techniques of nomads to adapt the situation were clarified.

중부지역 절개지에서 신속한 초지조성을 위한 목초의 초종, 혼파조합 및 그물망 설치가 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age Species, Mixed Pastures and Mesh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for Rapid Establishment of Grassland at Cutting Area in Middle Region of Korea)

  • 오승민;지희정;이기원;김기용;박형수;이상훈;김지혜;성경일;황태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1-73
    • /
    • 2018
  • 본 연구는 중부지역 $35^{\circ}$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 혼파조합 및 그물망 설치에 따른 초지의 생산성, 식생변화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신속한 초지조성에 적합한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시험은 2014년에 중부지역 $35^{\circ}$내외의 절개지에 초지를 조성하여 2015년과 2016년의 월동 후 생육특성, 식생변화, 목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확인하였다. 초종별에서 주구는 그물망의 유 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TF, PRG 및 RT의 3가지 초종이었다. 혼파조합별에서 주구는 그물망의 유 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혼파조합 3가지로서 처리구 A는 OG위주, 처리구 B는 TF위주 및 처리구 C는 PRG 위주였다. 그물망(방조망 이용)은 일반 농가에서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는 그물망을 3겹으로 처리하였다. 월동 후 생육에서 초종별은 목초 피복도 측면에서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그물망의 처리는 초종 및 혼파조합별에서 모두 목초의 피복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정착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초지식생 변화에서 초종별은 초기정착과 이후 예취에도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도를 유지하였던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목초 피복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OG 및 TF 위주가 유리하였다. 또한 그물망의 처리는 초종 KBG 및 RT 단파와 혼파조합 PRG 위주에서 잡초의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목초 생산성에서 초종별은 TF 및 KBG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종별의 사료가치는 조성 1년차에서 CP 함량으로 KBG 및 RT 단파가, NDF 및 ADF 함량으로 TF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조성 2년차는 차이가 미미하였다. 혼파조합별은 조성 1년차에서 사료가치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성 2년차는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NDF, ADF 및 TDN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초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중부지역 $35^{\circ}$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초기목초 피복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였으며, 혼파조합은 OG 및 TF 위주가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목초의 초기정착과 그 이후 식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미래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f Future Land Use and Climate Change Impact on Stream Discharge)

  • 안소라;이용준;박근애;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B호
    • /
    • pp.215-224
    • /
    • 2008
  • SLURP 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토지이용 자료와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자료 및 식생지수 정보를 고려한 상태에서 하천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안천 경안수위관측소 상류유역($260.4km^2$)을 대상으로 4개년(1999-2002) 동안의 일별 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1999-2000)과 검증(2001-2002)을 실시하였다. 토지이용 예측은 1996년, 2000년, 2004년의 Landsat TM 및 E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CA-Markov 기법으로 검증(2004)을 실시한 후, 미래의 토지이용(2030, 2060, 2090)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토지이용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산림과 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도시, 초지, 나지 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래의 식생정보 예측을 위하여 NOAA/AVHRR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월별 NDVI(1998-2002)와 월평균기온간의 선형 회귀식을 도출하여 미래의 식생지수 정보(2030, 2060, 2090)를 추정하였다. IPCC SRES A2, B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CCCma CGCM2 모의결과 값(2030s, 2060s, 2090s)을 Stochastic Spatio-Temporal Random Cascade Model(SST-RCM) 기법을 이용하여 downscaling 한 뒤 하천유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출율은 1999-2002년의 59%에 비해 미래에는 13%~34%로 감소하는 것으로 모의되었고, 반면에 토지이용의 변화에 대한 유출율은 0.1%~1% 증가하였다.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 시비가 생육시기별 갈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voty of the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II.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productivity of the native reed during the period of vegetation)

  • 전우복;윤창;노순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4-30
    • /
    • 1986
  • 간석지(干拓地)에 자생(自生)하는 갈대 식생군락(植生群落)에 무비구(無肥區)와 시비구(施肥區)를 설치하여 5월(月)부터 10월(月)까지 월별(月別)로 초장(草長), 엽경비(葉莖比) 및 생산량(生産量)을 측정하고, 시료(試料)를 채취한 후 사료성분(飼料成分) 및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추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施肥)에 의하여 갈대의 초장(草長) 및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는 한편 식물체(植物體)의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는데 반(反)해 ADF 함량(含量)이 감소하였다. 2. 상관계수(相關係數)의 유의성(有意性) 검정(檢定)결과 생육시기(生育時期) 초장(草長), 수량(收量), crude fiber 및 ADF함량(含量)과 in vitro 건물소화율간(乾物消化率間)에는 부(負)(-)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고, 엽경비율(葉莖比率) crude protein 및 crude fat 함량(含量)과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다(P<0.05).

  • PDF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환경 및 식물상 (Flora and the Conditions of Mankyua chejuense Habitats)

  • 현화자;강창훈;송국만;문명옥;송관필;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0-359
    • /
    • 2010
  •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 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