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 Library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5초

지적 구조의 규명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twork Gener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nowledge Domains)

  • 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33-355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해서 계량서지적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 방식에 대해서 사례와 함께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준값 절단 방식, 최근접이웃 그래프, 최소비용 신장트리, 패스파인더 네트워크의 네 가지 네트워크 형성 방식 중에서 전체 구조와 세부 구조의 표현 능력이 모두 뛰어난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알고리즘이 최근 가장 활발히 응용되고 있다. 최근접이웃 그래프는 아직까지 계량서지적 분석에 응용된 사례는 없으나 간단한 알고리즘과 클러스터링 능력 등과 같은 지적 구조 규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장점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차원척도나 군집분석과 달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각화에서는 입력자료의 전처리에 따라서 생성된 지적 구조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고찰한 여러 네트워크 형성 방식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국내의 지적 구조 규명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음원 내 보컬 주파수 대역 분석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시스템 (A system for recommending audio devices based on frequency band analysis of vocal component in sound source)

  • 김정현;석철민;김민주;김수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12
    • /
    • 2022
  •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Hi-Fi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음향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대한 폭은 넓어졌지만 자신의 음악적 취향과 일치하는 제품을 찾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원으로부터 보컬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원본 음원을 Python의 Spleeter Library를 통해 분리하여 보컬 음원을 추출하고 제조사의 음향기기의 주파수 대역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를 각각 격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추출한 보컬 음원의 주파수 대역과 음향기기의 주파수 대역 측정치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서 Matching Gap Index(MGI)를 제안하였다. 산출된 MGI 값을 토대로 사용자 선호와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음향기기를 추천한다. 추천 결과는 음향 전문업체에서 제공하는 장르별 Equalizer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The Ecology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and Information Retrieval (I)

  • Jeong, Jun-Min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37
    • /
    • 1985
  • 본 논문은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보 시스팀을 개발하고자 다음 두가지 가설을 제시하였다. 1) 인용 문헌 분석을 통하여 인용빈도가 높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용율이 증가하는 문헌은 그 문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다(Quality Filtering). 2) 정보 검색에 있어서 확률이론을 통한 문헌간의 상관관계를 규명짓는 클러스터링 기법이 재현율과 정확율을 모두 증가시킬 수 있다(Clustering Technique). 실제로 고프만(Goffman)의 전염성 이론의 미시적 응용(Micro-epidemic process)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의 문헌의 질적 여과(Quality Filtering)를 위한 한 기법으로서 좋은 결과를 얻어냈으며 많은 정보를 이런 식으로 여과시킴으로써 정보 검색 시스팀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었다. 한편, 질적 여과를 거친 소규모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클러스터링 기법에 의한 정보 검색 효율은 수학의 커널 기법(Kernel Technique)의 활용으로 높은 재현율과 정확율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검색의 폭에 있어서도 많은 융통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PDF

다관절 로보트를 위한 충돌 회피 경로 계획 (Collision-free path planning for an articulated robot)

  • 박상권;최진섭;김동원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28-29 Apr. 1995
    • /
    • pp.629-63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ethod of Collision-Free Path Planning (CFPP) for an articulated robot.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is formed by a set of robot joint angles derived fromm robot inverse kinematics. The joint space that is made of the joint angle set, forms a Configuration space (Cspace). Obstacles in the robot workcell are also transformed and mapped into the Cspace, which makes Cobstacles in the Cspace. (The Cobstacles represented in the Cspace is actually the configurations of the robot causing collision.) Secondly, a connected graph, a kind of roadmap, is constructed from the free configurations in the 3 dimensional Cspace, where the configurations are randomly sampled form the free Cspace. Thirdly, robot paths are optimally in order to minimize of the sum of joint angle movements. A path searching algorithm based on A is employed in determining the paths. Finally, the whole procedures for the CFPP method are illustrated with a 3 axis articulated robo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are; 1) it deals with CFPP for an articulated robot in a 3-dimensional workcell, 2) it guarantees finding a collision free path, if such a path exists, 3) it provides distance optimization in terms of joint angle movements. The whole procedures are implemented by C on an IBM compatible 486 PC. GL (Graphic Library) on an IRIS CAD workstation is utilized to produce fine graphic outputs.

  • PDF

다중 사용자용 VRML Authoring Tool 구조 설계 (Design on the Structure of VRML Authoring Tool for Multi-user)

  • 최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59-66
    • /
    • 2001
  • 본 논문은 네트워크에서 가상현실 입체영상을 응용하여 현실과 가까운 실감형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또한 멀티미디어 영상분야에서 제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의 구현을 목표로 하였다. 네트워크 가상현실 시스템은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일관성 있는 가상의 세계를 제공하며, 군사ㆍ오락ㆍ네트웍게임ㆍ건축ㆍ쇼핑몰 등의 응용 분야에서 실감형 시스템으로 볼 수 없었던 것을 네트워크 가상현실 시스템의 가장 보편적 플랫폼 구조인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서 인터넷 상에서 가상현실 입체영상을 표현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상에서 쉽게 응용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를 설계하여 Library(Parser 및 Scene Graph생성)를 구축하고,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3차원 가상세계를 쉽게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하였다.

  • PDF

검사 용이화를 위한 VHDL의 동작기술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al technology Synthesis of VHDL for Testability)

  • 박종태;최현호;허형팔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4호
    • /
    • pp.329-334
    • /
    • 2002
  • 본 논문은 검사 용이화를 위하여 VHDL을 이용하여 설계를 할 때, 상위 수준 합성 방법에서 자체검사가 가능한 데이터 경로 구조를 자동으로 합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MUX와 레지스터는 본 논문에서 제안된 디자인 시스템의 데이터 패스에 할당되어진다. VHDL에 의하여 기술된 하드웨어 명세를 검사 가능한 라이브러리로 매핑을 할 수 있는 검사 가능한 회로가 된다. 결과적으로 충돌그래프에서 레지스터를 최소로 하는 할당 알고리즘에 의하여 H/W로 매핑되는데 BILBO(built-in logic block Observation)레지스터를 재구성하여 TP(test pattern generator)와 MISR(multi input signature response)로서 데이터 경로 구조가 자체검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새로운 가변 적응 상수 알고리즘을 이용한 반향제거기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cho canceller with new variable step size algorithm)

  • 최건오;윤성식;조현묵;이주석;박노경;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533-1545
    • /
    • 1996
  •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cho canceller with new variable step size algorithm is discussed. The method used in the new algorithm is to periodically adopt the test function which helps an optimal coefficient tracking. This algorithm outperforms LMS and VS algorithms in convergence speed and steady state error. As the period of test function is decreased, the speed of convergence is improved, but the number of calculation is increased, then the trade off between these parameters must be considered. Simulation results show new algorithm outperforms LMS and VS algorithms in convergence rate. For the design of hardware, circuit is designed with VHDL, and synthesized with Act1 withc is a FPGA library of ActelTM in use of synovation of InterGraph$^{TM}$. Verification of the synthesized circuit is carried out with simulator DLAB. The circuit based on the algorithm which is suggested in this paper calculated 7 radix places of inary number. A simulation data for the verification is based on the data of algorithm simulation. When the same input data is applied to the both simulation, output results of circuit simulation had slight difference in compare with that of algorithm simulation. The number of used gate is about 5,500 and We have 5.53MHz in maximum frequency.y.

  • PDF

복합교차로의 신호제어를 위한 객체지향 시뮬레이터 구현 (Implementation of an Object -Oriented Simulator for the Signal Control of Multiple Crossroads)

  • 한병준;김종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5권6호
    • /
    • pp.719-726
    • /
    • 1999
  • 본 논문은 교통 신호 제어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복합교차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기존의 교통 시뮬레이터들은 단일교차로를 대상으로 하거나 텍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논문의 시뮬레이터는 Visual C++의 MFC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n $\times$ n 형태를 갖는 복합교차로에 적합하도록 객체지향적으로 구현되었으며, 성능 비교를 위하여 제어 알고리즘들을 별개의 윈도우에서 처리하기 쉽도록 MDI 방식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시뮬레이터는 그래프 윈도우와 맵 윈도우의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논리시간 설정을 통한 다목적 시뮬레이션, 다양한 성능평가 출력 등의 특징을 갖는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multiple crossroad simulato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 algorithms. Most of existing traffic simulators were operated in text-mode or at a single intersection. We developed the object-oriented simulator suitable for multiple crossroads with n $\times$ n intersections by using MFC (Microsoft Foundation Class) library in Visual C++. The simulator was implemented by using MDI (Multiple Document Interface) scheme in order to process both control algorithms in separate windows respectively. Our simulator has the following features: user friendly interface with graph window and map window, multi-purpose simulations by setting logical time, and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evaluation.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Twitter Issue Tracking System by Topic Modeling Techniques)

  • 배정환;한남기;송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9-122
    • /
    • 2014
  • 현재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 상에서 수많은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 SNS의 결합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대량의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방대한 SNS 데이터 안에서 사람들이 많이 이야기하는 이슈를 찾아낼 수 있다면 이 정보는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SNS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트위터 상에서 어떤 이슈가 있었는지 추출하고 이를 웹 상에서 시각화 하는 트위터이슈 트래킹 시스템 TITS(Twitter Issue Tracking System)를 설계하고 구축 하였다. TITS는 1) 일별 순위에 따른 토픽 키워드 집합 제공 2) 토픽의 한달 간 일별 시계열 그래프 시각화 3) 토픽으로서의 중요도를 점수와 빈도수에 따라 Treemap으로 제공 4) 키워드 검색을 통한 키워드의 한달 간 일별 시계열 그래프 시각화의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SNS 상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Open Source인 Hadoop과 MongoDB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는 빅데이터의 실시간 처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현재 매우 주요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둘째, 문헌정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픽 모델링 기법을 실제 트위터 데이터에 적용하여 스토리텔링과 시계열 분석 측면에서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실험을 바탕으로 시각화와 웹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제 사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되는 사회적 트렌드를 마이닝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주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파일 포맷의 1억 5천만개 가량의 2013년 3월 한국어 트위터 데이터를 실험 대상으로 한다.

한국어 음성인식 플랫폼 (ECHOS)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Speech Recognition Platform (ECHOS))

  • 권오욱;권석봉;장규철;윤성락;김용래;장광동;김회린;유창동;김봉완;이용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498-504
    • /
    • 2005
  • 교육 및 연구 목적을 위하여 개발된 한국어 음성인식 플랫폼인 ECHOS를 소개한다. 음성인식을 위한 기본 모듈을 제공하는 BCHOS는 이해하기 쉽고 간단한 객체지향 구조를 가지며, 표준 템플릿 라이브러리 (STL)를 이용한 C++ 언어로 구현되었다. 입력은 8또는 16 kHz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이며. 출력은 1-beat 인식결과, N-best 인식결과 및 word graph이다. ECHOS는 MFCC와 PLP 특징추출, HMM에 기반한 음향모델, n-gram 언어모델, 유한상태망 (FSN)과 렉시컬트리를 지원하는 탐색알고리듬으로 구성되며, 고립단어인식으로부터 대어휘 연속음성인식에 이르는 다양한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플랫폼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하여 ECHOS와 hidden Markov model toolkit (HTK)의 성능을 비교한다. ECHOS는 FSN 명령어 인식 태스크에서 HTK와 거의 비슷한 인식률을 나타내고 인식시간은 객체지향 구현 때문에 약 2배 정도 증가한다. 8000단어 연속음성인식에서는 HTK와 달리 렉시컬트리 탐색 알고리듬을 사용함으로써 단어오류율은 $40\%$ 증가하나 인식시간은 0.5배로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