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seed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7초

머루 과피와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 분석 (Analysis of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 원지혜;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2-199
    • /
    • 2016
  •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wild grape was determin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ssay.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evaluated o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by Ames test using 4-nitroquinoline 1-oxide (4-NQO) and sodium azide as mutagens.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determination, $IC_{50}$ values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s were 27.16 ppm and 7.61 ppm, respectively. Additional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ere 99.75% and 98.87% at 200 ppm, respectively. In the antimutagenic activity determination, pericarp extract at 5 mg/plate inhibited 72.6% and 74.3% of mutagenicity of S. typhimurium TA98 induced by 4-NQO and sodium azaid, respectively. Also, the mutagenicity inhibition rates of seed extract at 5 mg/plate were 77.8% and 74.5% in S. typhimurium TA100 induced by 4-NQO and sodium azaid,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thanol extract from wild grape has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utagenicity.

머스커다인 포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uscadine grape extracts)

  • 박미경;오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18
    • /
    • 2015
  • 본 논문은 미국 남부지역 특화작물인 머스커다인 포도의 부분별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Higgins, Jumbo, Noble 3종의 머스커다인 품종을 대상으로 하여 포도의 과피/과육부분과 종자부분을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능은 총페놀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Scavenging activity 및 $EC_{50}$)을, 항균활성은 E.coli K12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조사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총페놀함량은 231.24~294.81 mg/mL GAE로 과피/과육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Higgins품종의 종자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라디칼소거능($EC_{50}=0.026mg/mL$)을 나타내, 종자추출물이 과피/과육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유하였다. 반면, E.coli K12에 대한 항균활성은 Higgins 품종의 과피/과육추출물이 40 mg/mL의 MIC를 보임으로써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머스커다인 포도 추출물이 천연 유래의 항산화 및 항균 기능성을 보유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잎 첨가 쌀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tevia rebaudiana Leaf)

  • 김다솔;신지훈;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14-2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recipe of rice cookies with two different amounts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grape seed oil,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In addition, mixing conditions of rice cookies were optimized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SM was used to obtain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Grape seed oil), and the formulation of Stevia rebaudiana leaf added rice cookies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sweetness, moisture, pH, and density (P<0.001),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flavor, taste, texture, appearance, and overall quality (P<0.05). As a results, optimal sensory ratio was found to be 1.98 g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37.94 g of Grape seed oil.

국내산 포도 캠벨종의 종자 및 과피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 탐색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 박성진;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118
    • /
    • 2003
  • 본 연구는 캠벨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과 그에 따른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의 확립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조건은 추출 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 온도를 달리 하여 각각의 수율을 비교하였으며, 각 분획물은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나타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에서는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11.4%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과피 에서도 역시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44.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39.2%인데 비하여 과피 에서는 85.6%로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5$0^{\circ}C$ 에탄을 추출물이 RC$_{50}$=16.8 $\mu\textrm{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RC/syb 50/=15.4 $\mu\textr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2437.5 $\mu\textrm{g}$/mL로, 분획물에서는 butanol 분획물이 RC$_{50}$=698.4 $\mu\textr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 온도와 용매 농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 에탄을 추출물이 과피 에탄올 추출물 보다 145배 이상의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

머루종자의 적정 추출조건 및 추출 분획물의 Free Radical 소거능 효과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 김난영;김영국;배기자;최재호;문제학;박근형;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55-758
    • /
    • 2005
  • 식품 산업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의 가치를 재고하는데 있어서 머루 종자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free radical 소거 능을 탐색하여 머루종자의 기능성을 찾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추출수율은 에탄을 농도, 추출온도 및 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4\~12\%$를 나타내었으며 $90\%$ 에탄올로 $70^{\circ}$C에서 12시간 추출한 추출물의 수율은 $11.9\%$로 가장 높았지만 free radical 소거능(RC$_{50}$)은 40.42 $\mu$g/mL로 나타났다. 그러나 70$\%$ 에탄올로 $70^{\circ}C$에서 6시간 추출을 하였을 때 추출수율은 $6.9\%$를 나타냈지 만 $RC_{50}$$20.93\mu g/mL$로 가장 높았고 총 페놀 함량도 330.71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free radical 소거능이 높을수록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머루종자 에탄을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이 총 페놀 함량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70\%$ 에탄올을 $70^{\circ}C$, 6시간 추출물로부터 유기 용매별로 순차적으로 분획한 결과,추출수율은 폴리 페놀 화합물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약 $8\%$로 높았으며, $RC_{50}$도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8.65\mu g/rnL$로 가장 높았고 총 페놀 함량도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636.77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적외선 처리가 포도씨의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Functional Components of Grape Seed)

  • 이지현;백지영;윤성란;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53-62
    • /
    • 2010
  • 원적외선 조사가 포도씨 기능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가열출력(0, 900, 1800 W) 및 가열시간(0, 20, 40 min)을 달리하여 원적외선 조사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포도씨 추출물을 제조하고 기능성분으로서 가용성 고형분, 기계적 색도, 카테킨,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백색도 및 적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hechin류는 가열시간에 따라 catechin, procyanidin $B_2$, epicatechin 함량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총 catechin 함량은 총 카테킨 함량은 900 W 및 20분 처리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가열출력 900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가열출력 900 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cathechin류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항산화능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도씨의 원적외선 가열처리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가열출력 및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한 결과 가열출력 621.82~818.18 W, 가열시간 16.3~19.83 min의 범위가 최적 가열조건범위로 설정되었다.

  • PDF

국내 시판 포도씨유의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조성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E, Phytostero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ommercially Available Grape Seed Oils in Korea)

  • 위민정;성지혜;전건욱;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53-956
    • /
    • 2008
  • 국내 시중에서 유통되는 포도씨유 10종에 대한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E는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10.1{\sim}44.8\;mg/100\;g$이었다. 또한 다른 식물성 유지에서 분석되지 않거나 함량이 낮은 $\alpha$-T3와 $\gamma$-T3가 비교적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성스테롤 함량 분석에서 10종의 유지 모두 $\beta$-sitosterol($63.9{\sim}119.3\;mg/100\;g$)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비율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포도씨유 10종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나 그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각각의 포도씨유 생산에 사용된 포도씨 품종의 차이와 서로 다른 품종의 포도씨의 혼합여부 그리고 생산과정 중의 차이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Mirepoix Au Maigre 함량 수준에 따른 포도씨유 드레싱의 수용도 변화 (Changes in Preference for Grape Seed Oil Dressing according to Mirepoix au Maigre Content Level)

  • 유승석;서민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5-69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cellent salad dressing using grape seed oil, which contains high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First, a vinaigrette was made with grape seed oil and vinegar and divided into five portions. Then, five types of mirepoix au maigre ($M_1,M_2,M_3,M_4,M_5$) were made with apple, onion, carrot, garlic, tomato puree, and tomato ketchup by mixing in a main material vessel. The samples were then allowed to ripen for three days. The control group $M_1$ was named $GD_1$, and the experimental groups $M_2,\;M_3,\;M_4,\;and\;M_5$ were named $GD_2,\;GD_3,\;GD_4,\;and\;GD_5$. respectively. To measure receptiveness,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using a 7 point category scale. The test concentrated on flavor, taste, color, agreeability,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panel consisted of 15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GD_4$ had the best flavor, color and agreeability. The samples with the most preferred taste and aftertaste were $GD_4\;and\;GD_5$. Between $GD_4\;and\;GD_5$,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in taste, aftertaste, or overall acceptability, but differences in color and agreeability did exist. Thus, $GD_4$ proved to be the most favorable product. To determine the best complementing vegetables for $GD_4$ yam($VE_1$), broccoli sprouts($VE_2$), mustard leaves($VE_3$), beet leaves($VE_4$), cucumber($VE_5$), and lettuce(VE6)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Each vegetable has its own peculiar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VE_2$ had the nicest vegetable fragrance recording the highest mean value. The vegetable with the most preferred taste, aftertaste, and agreeability were $VE_2\;and\;VE_6$. $VE_1\;and\;VE_6$ had the nicest color and contained the brightest color as well.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was awarded to $VE_2\;and\;VE_6$ an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orn at a level of 0.05. In conclusion, $VE_2\;and\;VE_6$ were the best complementing vegetables with grape seed oil dressing. However, to commercialize such a dressing, many follow-up studies must be conducted.

포도씨 기름의 수율증진을 위한 추출 방법 개선 (Improved Method for Increasing of the Oil Yields in Grape Seed)

  • 강명화;정혜경;송은승;박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31-934
    • /
    • 2002
  • 폐기화 되고 있는 포도씨를 대체 식용유지 자원으로 개발하고자 포도씨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의 최적 추출 방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Campbell early 포도씨의 일반 성분 분석 결과 압착 법으로 추출한 기름의 수율은 분쇄 후 볶아 증숙한 처리구, 분쇄 후 볶음 처리구, 분쇄 후 증숙 처리구순이었고 볶음 후 분쇄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용매 추출에 의한 수율은 정치 추출하였을 때 ether 처리구가 24시간 77.4%, 48시간 80.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methanol과 n-hexane으로 나타났다. 포도씨 기름의 추출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순으로 방법이 확립되었다. (1) 수분 $10{\sim}12%$의 포도씨를 $95{\sim}100^{\circ}C$에서 20분 정도 볶음 처리하고 30분간 실온으로 방냉한다. (2) 분쇄기로 1차 $1{\sim}2\;mm$ 정도 입자로 하여 2차 분쇄로 0.5 mm 이하 입자크기로 분쇄한다. (3) 분쇄된 씨를 steam boiler에서 $0.8{\sim}0.9\;kg{\cdot}f/cm^2$의 압력으로 10분 정도 증숙 시킨 후 열 교환 장치가 부착된 압착 추출기에 $6{\sim}\;8kg$ 정도 넣어 추출한다. (4) 이때의 압착력은 $400\;kg/cm^2$에서 $2{\sim}3$분, $550{\sim}600\;kg/cm^2$에서 10분 그리고 $700\;kg/cm^2$에서 기름 흔적이 없어 질 때까지 추출한다.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다.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포도씨 기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최적조건으로 추출한 기름이 맛, 향기 및 색깔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분쇄 후 볶아 추출한 기름이 좋게 나타났으며 분쇄 후 볶아 증숙하여 압착한 기름순으로 나타났다.

절임 공정 중 절단 배추의 품질 향상을 위한 maltodextrin과 grape seed extract 첨가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supplementation with maltodextrin and grape seed extract for improving quality of shredded Korean cabbage (Brassica rapaL. ssp. Pekinensis) during salting process)

  • 박상언;최은지;정영배;한응수;박해웅;천호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13-922
    • /
    • 2016
  • 본 연구는 절단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확보를 위해 maltodextrin(MD)과 grape seed extract(GSE)를 첨가한 새로운 절임 조건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반응 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0.09~10.32% NaCl, 9.45~10.00% MD와 234~300 ppm GSE를 병합한 절임염수와 5.68~5.94 hr의 절임시간이 절단 배추의 최적 절임 조건으로 나타났다. 이 절임 조건하에서 절단 배추의 총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3.33과 1.45 log CFU/g까지 각각 감소한 반면 관능적 품질인 맛, 조직감과 종합적 기호도는 6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유지하였다. 또한 이 절임조건은 절임 중 적절한 배추의 중량감소율인 15~23%와 절임배추의 최적 염도인 1.5~2.0%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MD와 GSE가 첨가된 절임염수는 배추의 위해미생물 감소뿐만 아니라 품질유지에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김치 제조를 위한 배추의 절임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