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quality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Wild Grape on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the Breast and Leg Meat of Broilers

  • Yong, Hae In;Kim, Hyun Jo;Jung, Samooel;Jayasena, Dinesh D.;Bae, Young Sik;Lee, Soo Kee;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3-8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tive potential and quality of the breast and leg meat of broilers. A total of 36 one-day-old male Cobb broiler chicks were obtained from a commercial hatchery, and randomly assigned to 9 pens with 4 birds per pen. Then, broilers were fed 3 different dietary supplementations, including 0%, 0.25%, or 0.5% wild grape, for 2 wks at the finishing period. After slaughtering, the total phenolic content,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 of broiler breast and leg meat were measur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was recorded in the leg meat of broilers fed the wild grap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le breast mea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Dietary supplementation of 0.25% and 0.5% wild grape significantly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oth breast and leg meat. TBARS values of both breast and leg meat were de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0.5% wild grape during storag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for the leg meat at day 7.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otal cholesterol content in both breast and leg mea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broiler meat is improved by supplementing the diet with wild grape.

개발된 포도 봉지 괘대가 '캠벨얼리' 과실의 생리장해와 병 발생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veloped Grape Bag on the Physiological Disorders, Pathogenic Decay and Fruit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 이영철;문병우;김몽섭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81-89
    • /
    • 2004
  • 포도 "캠벨얼리" 송이에 새로 개발된 봉지를 괘대하여 봉지 내부의 미기상의 변화, 생리장해 및 병 발생, 과실품질, 수확기 판정의 편이성을 조사하였다. 개발봉지의 미기상은 온도 및 광투과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상대습도 및 봉지 표면의 수분 증발량은 변화를 주었다. 수정불량과, 착색불량과, 동녹 발생율 및 회색곰광이 발생율은 처리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열과 및 탄저병 발생은 무대과에 비하여 개발봉지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탄저병 발생정도는 개발봉지가 현저히 덜 심하였다. 과방, 과립 및 과경의 생장 및 가용성고형물, 산 함량, 과색과 과분 발생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개발봉지는 수확기 판정의 편이성이 우수하였으며, 과색 및 과분 발생정도가 높아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건조 효모와 포도 품종에 따른 적포도주의 발효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Red Wines Fermented with Different Strains of Dry)

  • 김홍식;육철;성창근;김현주;이석호;김영호;이기열;이재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6-310
    • /
    • 2008
  • 탐나라, M.B.A 두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건조 효모 S. cerevisiae Montrachet(UCD #522), S. bayanus Pasteur Champagne (UCD #595), S. cerevisiae Epernay II (CEG) 3종을 첨가하여 포도주 발효 특성과 관능적 검사를 비교하였다. 포도 두 품종을 $15^{\circ}C$에서 1차 발효시킨 결과 발효과정중 당함량이 감소되고 알코올이 증가되는 발효 형태 및 발효 속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두 품종 모두 효모 첨가로 인해 발효 속도는 효모 종류에 관계없이 매우 빨라졌다. 30일간의 1차 발효 후 $10^{\circ}C$에서 60일 발효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효모첨가여부에 관계없이 M.B.A가 탐나라보다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두 품종 모두 효모 첨가구의 기호도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효모를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자혀를 이용하여 측정한 맛의 분포도에 있어서 탐나라와 M.B.A 두 포도품종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효모균주 간에는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어 기계적인 측정과 관능검사의 결과가 동일함을 보여주었다.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산도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acidity vinegar prepared with grape juice)

  • 우승미;여수환;권중호;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산도 식초 생산 기술을 대체하고자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적정산도 10% 이상의 식초 제조조건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고산도 초산발효에서는 초기 알코올 함량 6%에서 적정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초기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유도기가 길어져 초산수율이 감소하였다. pH는 구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당도는 1단계 초산발효(1st AAF)까지 초기 알코올 함량에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2단계 초산발효(2nd AAF)기간 동안에는 초기 알코올 6% 첨가구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고산도 포도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tartar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유가식 첨가량 및 초산 발효수율 차이로 인하여 초기 알코올 함량이 낮을수록 높게 검출되었다. 미량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을 제외한 성분은 극소량으로 검출되어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ethyl alcohol은 364~581 pp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 알코올 발효액(초기 알코올 함량 6%)를 이용하여 일체의 영양원을 첨가하지 않고 총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산수율 향상 및 유가식 첨가에 의한 발효기간 단축에 관한 보완 연구가 요구되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품종별 포도주스의 품질 및 기능특성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Juice from Different Grape Varieties as Functions of Heating Time and Temperature)

  • ;장지현;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3-471
    • /
    • 2009
  • 품종별 포도주스의 가공 중 열처리 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Campbell Early, Stuben 및 MBA품종의 포도를 이용하여 온도($60^{\circ}C$, $70^{\circ}C$, $80^{\circ}C$, or $90^{\circ}C$)와 시간(30분, 45분, 60분)을 달리하여 포도주스를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열처리는 포도주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나 지나칠 경우에는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및 기능적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Campbell Early, Stuben 및 MBA의 품종에 적합한 열처리 조건은 각각 $80^{\circ}C$, 30분, $70^{\circ}C$, 60분 및 $70^{\circ}C$, 30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적의 열처리 시간 및 온도를 제시함으로써 관능적으로 우수한 고품질 및 고기능성 포도주스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Dietary Grape Pomace Fermented by Saccharomyces boulardii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Yan, L.;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763-1770
    • /
    • 2011
  • Fifty-six [(Duroc${\times}$Yorkshire)${\times}$Landrace] pigs with an average initial BW of 19.3${\pm}$0.17 kg were used in this 15-wk growth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Saccharomyces boulardii on pig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quality attributes of pork. Pigs were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7 replications) based on their initial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i) control (CON; basal diet), ii) FGPP (CON+30 g/kg fermented grape pomace product). Dietary FGPP improved (p<0.05) average daily gain (ADG), coefficient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CATTD) of dry matter (DM) and nitrogen (N) during 35-70 d of the experiment. Similarly, pigs fed the FGPP supplemented diet had a higher N digestibility (p<0.05) in the finisher phase (day 71-105). Dietary FGPP increased (p<0.05) the marbling score,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as well as the anti-oxidative ability (lower TBARS). The inclusion of FGPP reduced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arachidic acid (C:20:0) and SFA levels (p<0.05) in subcutaneous fat. An increased (p<0.05) linoleic acid (C18:2n6), total PUFA and PUFA/SFA ratio were observed in the FGPP group. Dietary FGPP supplementation decreased the arachidic acid (C:20:0) level in longissimus muscle (LM).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FGPP at the level of 30 g/kg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altered the fatty acid pattern in the subcutaneous fat as well as some attributes of pork meat.

4배체와 2배체 포도 품종간 교배를 통해서 생성된 3배체 후대개체에서 과실특성의 변이 (Variation in Fruit Characteristics of 3x Progenies Obtained from a Cross between 4x and 2x Grape Cultivars)

  • 허재윤;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61-770
    • /
    • 2016
  • 본 연구는 고품질을 가진 노동절감형 3배체 포도의 효율적인 육성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4배체와 2배체의 교배를 통해서 얻어진 3배체 포도계통들에서 과실 특성의 변이 를 교배조합별로 검정하였다. 비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적정산도와 같은 과실의 품질과 관련 된 형질들은 교배조합들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GA_3$ 1회 처리에 따른 과실의 비대 정도는 교배조합에 따른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거봉'과 '적령'의 교배 조합에서 생성된 3배체 후대계통에서의 평균 과방중은 491g으로써 다른 교배조합에서 생성된 후대계통들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컸으며, 동일한 교배조합 내의 계통간에서의 차이도 크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거봉'과 '적령' 같은 특정한 교배 조합이 고품질을 가진 노동력 절감형 대립계 무핵포도를 육성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luyvera sp. CL2 처리시기가 포도 '캠벨얼리'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the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according to Inoculation time of Kluyvera sp. CL2)

  • 이석호;송명규;김승덕;최원호;이윤상;홍성택;김현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1-2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산가용화 균주인 Kluyvera sp. CL2 처리시기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토양의 화학성 변화는 경핵기 처리구에서 인산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K, Ca, Mg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pH의 변화는 토양 완충능에 의하여 적었다. 인산가용화균 처리에 따른 수용성 인산의 변화는 처리 시부터 20일 까지 효과적이었으며, 과립연화기 처리구부터 인산가용화율이 좋았다. 또한 과립연화기 처리구에서 과방중과 당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인산가용화 균주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경핵기와 과립연화기 처리구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며, 특히 적색도가 향상되어 착색증진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실특성과 과실품질을 모두 비교하였을 때 과립연화기에 인산가용화 균주를 투입하는 것이 수량성과 품질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저온 처리가 포도주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d Stabilization on the Quality of Grape Juice)

  • ;장지현;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441
    • /
    • 2011
  • '캠벨' 포도주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저온 안정화 처리기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도 과실로 압착 주스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30일간 보관하면서 주스의 각종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주스의 당/산비와 pH는 증가하였으나 적정산도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경시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주스의 명도($L^*$ 값)와 황색도($b^*$ 값)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a^*$ 값)는 감소하는 경향을 각각 나타내었다. 주스의 총페놀,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리기 소거능 및 관능적 기호도는 안정화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로써 저온 안정화 처리기간은 포도주스의 품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간 처리는 품질을 오히려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elaware 포도에서 Gibberellin 처리와 봉지씌우기가 과립의 성숙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bberellin Application and Bagging on Ripening and Quality in 'Delaware' Grape Berries)

  • 최주수;박영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42-346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s of gibberellin(GA) aplication and bagging on repeening and quality in 'Delaware' grape berries. Treatments are 4 plots(2X2 factorial experiment); GA, GA+bagging, bagging and control. The clusters were dipped twice in 100 ppm GA with GA treatment : 10 days before and after the full bloom.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GA treatment made the seedless grape berry reduced in the fresh weight but it hastened the ripening period about 2 weeks. 2. Total soluble solid(TSS), viscosity and pH value of berry juice increased with maturation. The concentration of TSS and viscosity were higher in GA treatment plot than GA non-treatment. 3. Berry-hardness, titratable acidity and alcohol inslouble solid(AIS) decreased with maturation. Expically berry-hardness and AIS decreased more greatly in GA non-treatment than GA treatment. 4. The concentration of anthocyanin increased with ripening but pectic substance didn't fluctuate nearly. These of anthocyanin and pectin were higher in GA non-treatment plot than GA treatment. 5. By analysis of factorial experiment GA treatment was highly significant with the $^{o}$Brix/Acidity ratio, juice viscosity and AIS, but high negatively, significant with berry-hardness and berry fresh weight. And it was significant with T S S and negatively, titratable acidity. Bagging was significant with $^{o}$Brix/Acidity ratio and AIS content, but negatively, titratable acidity. 6. Qualitative characters were high correlated with the $^{o}$Brix/Acidity ratio in simple correlation but direct effect by the path-coefficient analysis didn't coincide with simple correlation. The direct effect of pH was large and juice viscosity, the next. And that of berry-hardness was negligible but, AIS, small nega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