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ular formul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MULTISCALE MODELLING FOR THE FISSION GAS BEHAVIOUR IN THE TRANSURANUS CODE

  • Van Uffelen, P.;Pastore, G.;Di Marcello, V.;Luzzi, 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477-488
    • /
    • 2011
  • A formulation is proposed for modelling the process of intra-granular diffusion of fission gas during irradiation of $UO_2$ under both normal operating conditions and power transients. The concept represents a simple extension of the formulation of Speight, including an estimation of the contribution of bubble motion to fission gas diffusion. The resulting equation is formally identical to the diffusion equation adopted in most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formulation of Speight, therefore retaining the advantages in terms of simplicity of the mathematical-numerical treatment and allowing application in integral fuel performance codes. The development of the new model proposed here relies on results obtained by means of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s well as finite element computations. The formulation is proposed for incorporation in the TRANSURANUS fuel performance code.

Incorporation of CrusHed Sands and Tunisian Desert Sands in the Composition of Self Compacting Concretes Part I: Study of Formulation

  • Rmili, Abdelhamid;Ouezdou, Mongi Ben;Added, Mhamed;Ghorbel, Elhe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3권1호
    • /
    • pp.3-9
    • /
    • 2009
  • This paper examines the incorporation of the crushed sand (CS) and desert sand (DS) in the formation of self compacting concrete (SCC). These sands have been substituted for the rolled sand (RS), which is currently the only sand used in concretes and which is likely to run out in our country. DS, which comes from the Tunisian Sahara in the south, is characterized by a tight distribution of grains size. CS, a by-product of careers cont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fines up to 15%, is characterized by a spread out granulometry having a maximum diameter of around 5mm. These two sands are considered as aggregates for the SCC. This first part of the study consists in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sand on the parameters of composition of the SCC. These sands consist of several combinations of 3 sands (DS, CS and RS). The method of formulation of the adopted SCC is based on the filling of the granular void by the paste. The CS substitution to the RS made it possible, for all the proportions, to decrease the granular voids, to increase the compactness of the mixture and to decrease the water and adding fillers proportioning. These results were also obtained for a moderate substitution of DS/CS (< 40%) and a weak ratio of DS/RS (20%). For higher proportions, the addition of DS to CS or RS did not improv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C granular mixture.

시설재배지에서 토양처리농약 Cadusafos, Ethoprophos와 Probenazole 입제 처리 후 휘산 양상과 농작업자 노출 (Worker Exposure and Volatilization Pattern of Cadusafos, Ethoprophos and Probenazole after Applying Granular Type Formulation on Soil in Greenhouse)

  • 박병준;이지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0-165
    • /
    • 2011
  • 시설재배지내의 밀폐공간에서 토양처리농약의 살포 후 농작업으로 작업자의 농약중독 우려가 상존하므로 농약중독예방 방지를 위해 살포농약의 휘산양상과 농작업자 노출량 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착제를 이용한 공기 중 ethoprophos, cardusafos, probenazole의 회수율은 각각 charcoal 흡착제 80.9~121.1%, XAD-4 흡착제가 90.6~99.0% 수준으로 양호하였다. lysimeter에 토양을 혼화처리 한 후 온도별 농약의 휘산은 온도가 높을수록 휘산이 잘되었으며, 특히 수분이 존재 하는 $35^{\circ}C$조건에서는 ethoprophos의 경우 3~5배 휘산량이 증가하였다. 면적 245 $m^2$ 시설하우스 재배포장에서 ethoprophos 입제를 150 g (a.i.) 토양과 혼화처리하고 지면으로부터 50 cm 상층에서 처리 46시간까지 토양처리제인 ethoprophos의 휘산량은 17.8~186.4 ${\mu}g/m^3$이었다. 동일조건에서 cadusafos 180 g a.i./245 $m^2$ 약량을 처리했을 때 처리 39시간째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46시간까지 공기중농도는 10.0~37.3 ${\mu}g/m^3$이었다. Probenazole은 144 g a.i./245 $m^2$ 약량을 처리했을 때 처리 37시간째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46시간까지의 공기중 농도는 0.23~1.45 ${\mu}g/m^3$ 수준이었다. 약제처리 후 하우스내 공기중 농약성분의 최대잔류량은 13~39시간 사이에 최대잔류가 되었고 토양처리농약인 ethoprophos 입제와 cadusafos 입제는 휘산성이 높음으로 농작업자 재출입 기간은 살포 후 48시간 이후로 설정해야 할것이다.

다공성 증량제를 이용한 KC-6620 단기용출지연입제의 제제 (Short-term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of KC-6620 with Porous Carrier)

  • 유주현;박창규;이병회;조광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5-162
    • /
    • 1992
  • 수용해도가 2.53ppm인 KC-6620을 수중용출기간이 20일 정도인 입제로 제제하기 위하여 원제에 대한 용출지연효과가 가장 큰 다공성 증량제를 선발하고, PEG를 부제로 첨가한 흡착식 입제를 제제하여 실내에서 수중용출속도를 측정하였다. 1. 다공성 증량제중 KC-6620에 대하여 용출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은 bentonite 소결공립이었으나 수중에 침적 20일후의 용출율이 매우 낮았다. 2. Bentonite에 pyrophyllite를 혼합하고 조립한 다음 소결시킴으로써 흡유가가 증가하였으며, 이 공립으로 제제한 KC-6620 입제의 수중용출속도도 증가하였다 BP60 입제의 경우 침적 20일후에 85% 이상의 용출율을 보여 시험한 입제중 단기용출지연제제로 가장 적합하였다. 3. BP입제는 PEG를 부제로 첨가하여 용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PEG의 첨가비가 공립의 흡유가까지 증가할수록 용출속도도 증가하였다. 4. BP40 입제는 입제중의 유효성분함량이 높을수록 수중용출속도가 느려져서 제제농도가 용출속도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 PDF

미생물 살균제 Paenibacillus sp. AC-1 입제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nular formulation using Paenibacillus sp. AC-1 as a microbial fungicide)

  • 오경석;이영기;이재국;김진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2-267
    • /
    • 2005
  • 유기합성농약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미생물 농약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Paenibacillus sp. AC-1 건조 분말 그리고 여러 가지 보조제 및 증량제를 이용하여 입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들 제제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시제품은 Paenibacillus sp. AC-1 건조분말을 사용하여 고추역병 방제용 입제 4종을 제조하였다. 증량제 종류별 원제에 대한 영향은 talc가 가장 안정하였으며, 시제품 제조시 균주 생존성은 시제품 모두 제조 후에 안정하였다. Paenibacillus sp. AC-1 건조분말을 사용한 시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 중 시제품 모두 입제의 품질규격에 적합하였다. Paenibacillus sp. AC-1 건조분말을 사용한 입제의 저장온도별 균주 안정성은 $4{\sim}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12주후까지도 안정하였다. 입제의 균 수중용출은 처리 7시간 후에 Paenibacillus sp. AC-1 균이 90% 이상 용출되었으며, 입자붕괴성은 처리 1일 후에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Paenibacillus sp. AC-1를 이용한 고추역병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의 실용화를 위한 제조처방은 원제로서 AC-1 건조분말 20%, 보조제로서 sodium polyacrylate 1.0%, 계면활성제로서 polycarboxylate를 주제로한 제제 7%, 증량제로서 나머지를 talc로 사용하는 것이 Paenibacillus sp. AC-1의 입제 제조에 최적 조건이었다.

Enhancement of Biological Control of Botrytis cinerea on Cucumber by Foliar Sprays and Bed Potting Mixes of Trichoderma harzianum YC459 and Its Application on Tomato in the Greenhouse

  • Lee Sun-Kug;Sohn Hwang-Bae;Kim Geun-Gon;Chung Young-R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83-288
    • /
    • 2006
  • Trichoderma harzianum YC459 (Th 459), isolated from sawdust compost,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cucumber and tomato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under controlled and plastic film tunnel conditions. A water suspension of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of Th 459 significantly $(P\leq0.05)$ reduced the severity of cucumber gray mold by foliar spraying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from $10^5\;to\;10^8$ colony forming unit (cfu)/ml in repeated experiments. The control efficacy was maintained at least seven days with the average control value of 70% in cucumber pot tests. Mixing one to eight grams of the granular formulation ($10^8cfu/g$ dry weight) of Th 459 into one liter nursery potting mix at seeding also significantly $(P\leq0.05)$ reduced the severity of cucumber gray mold by suppression of lesion formation three weeks after treatment. Application of mixing granular formulation at seeding in combination with foliar spraying during cultivation provided a more significant reduction $(P\leq0.05)$ of cucumber gray mold than granule mixing or leaf spray alone. The foliar spraying of the formulated wettable powder of Th 459 significantly $(P\leq0.05)$ reduced the infection of tomato fruits by B. cinerea as effective as the chemical fungicide, dichlofluanid, in three plastic film tunnel experiment trials. It is suggested that effective control of gray mold of cucumber and tomato can be provided by both treatment of Th 459 into potting mix and foliar spray through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and direct inhibition of the pathogen.

BPMC(O-sec-Butylphenyl-N-Methylcarbamate)제(劑)의 안정성(安定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ability of BPMC(O-sec-Butylphenyl-N-Methylcarbamate) Formulations)

  • 박현석;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1호
    • /
    • pp.31-34
    • /
    • 1978
  • BPMC제(劑)의 안정성유지(安定性維持)에 관한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 BPMC제(劑)를 포장(圃場)에 사용(使用)할 경우, 식물체(植物體)나 충체(蟲體)에 부착되거나 또 토양(土壤)에 흡착(吸着)된후 일광(日光), 수분(水分), 기온등(氣溫等)의 제반 요인(要因)들에 의(依)한 변화(變化)의 추이(推移)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BPMC제(劑)를 제제형태별(製劑形態別)로 조제(調製)하여 자외선(紫外線)을 조사(照射)시킨 결과(結果), 조사시간(照射時間)이 경과될수록 그 주성분(主成分)의 분해율(分解率)은 증가되었으며 분제(粉劑), 유제(乳劑), 입제(粒劑)의 순(順)이었다. 그리고 관용살포(慣用撤布) 유화액(乳化液)의 경우는 희석배율이 클수록 분해율(分解率)이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BPMC제(劑)는 강알카리성 용액중액에서 상당히 불안정(不安定)하였으며 자외선(紫外線)은 BPMC제(劑)의 분해촉진제(分解促進劑) 역할을 하였다.

  • PDF

직교 이방적 사질토의 미시역학적 탄소성 모델링: I. 정식화 (Elastic-plastic Micromechanics Modeling of Cross-anisotropic Granular Soils: I. Formulation)

  • 정영훈;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77-8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의 탄성 및 탄소성 거동을 모사하기 위한 미시역학 기반의 구성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 모델은 접촉 방향의 공간 분포를 통계적으로 처리한 조직 이방성, 응력비에 따른 조직 이방성의 변화, 간극비 변화에 따른 접촉점 수의 변화, 그리고 미시적 탄성-탄소성 접촉 강성을 고려하였다. 금속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미시적 탄소성 접촉 강성 모델을 수직 접촉력과 입자의 항복 접촉력에 대한 거듭제곱 함수의 형태로 유도하였다. 모델 변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직교 이방 탄성 계수의 근사식을 유도하였다.

Molinate 혼합입제(混合粒劑)의 제형별(劑型別) 살초효과(殺草效果) 및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olinate Granular Formulations on Weed Control Efficacy and Growth of Rice Plants)

  • 변종영;김만호;옥환석;박승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6-320
    • /
    • 1987
  • Molinate 혼합립제(混合粒劑)의 제형(劑型)에 따른 용출속도(溶出速度), 살초효과(殺草效果) 및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고자 습식형(濕式型), zeolite 흡착형(吸着型) 및 모래피복형(被覆型) 입제(粒劑)를 공시(供試)하여 제형(劑型)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내 및 폿트실험을 수행하였다. 1. Molinate와 simetryn의 용출속도(溶出速度)는 습식형(濕式型) 및 zeolite 흡착형(吸着型) 입제(粒劑)에 비하여 모래피복형(被覆型) 입제(粒劑)에서 현저히 빨랐다. 2. 살초효과는 molinate 단제(單劑)에서는 다소 불량하였으나 molinate/simetryn 합제(合劑) 및 molinate/simetryn/MCPB 합제(合劑)에서는 다소 낮은 수준에서도 높았으며 모래피복형(被覆型)과 습식법(濕式法)으로 제조된 입제(粒劑)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3. 벼의 생장(生長)은 zeolite 흡착형(吸着型)이나 습식법(濕式法)으로 제조된 입제(粒劑) 보다 모래피복형(被覆型)에서 다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 PDF

방출조절형 dicamba 입제의 물리화학성 및 생물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controlled-release granular formulations for the herbicide dicamba)

  • 오경석;오병렬;박승순;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45
    • /
    • 1999
  • Dicamba (3,6-dichloro-o-anisic acid)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효지속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분을 중합매체로 하여 유효성분의 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출조절형 dicamba 입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들 입제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연구하였다. Dicamba 입제는 호화전분 또는 옥수수 전분의 특성을 이용한 입상화법으로 2종, 호화전분과 kaolin을 중합매체로 하여 전분비율에 따라 압출조립법으로 4종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별 dicamba 입제의 제제율은 $90.0{\sim}96.3%$이었으며, 제조방법별 유효성분의 incorporation 비율은 입상화법이 $89.5{\sim}94.5%$, 압출조립법이 $46.7{\sim}82.0%$를 나타내었다. Dicamba 입제의 팽윤성은 옥수수 전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DG-2가 가장 높았다. 한편 부유성은 DG-2가 가장 낮았으며, 호화전분인 Miragel 463으로 제제한 DG-1이 가장 높았다. Dicamba 입제중 유효성분의 경시적 안정성은 $50^{\circ}C$에서 처리 90일 후에 DG-1과 2가 5%이하가 분해된 반면에 호화전분인 Mirasperse로 제제한 DE-1은 5% 이상이 분해되었다. Dicamba 입제중 유효성분의 수중용출성은 약 2주일만에 100% 용출되었다. 온실조건에서 dicamba 입제의 제초효과는 처리 30일 후까지도 90% 이상의 높은 방제지속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