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 positive bacilli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토복령의 항산화작용 및 항균 효과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 양기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ilacis GlabraeRhizoma on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oxide radicals on hydrogen donat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and the MDA contents on the hepatic lipids of rats, via methanol extractions and subfraction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Results : 1. Hydrogen donating activity was very great for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depending on the additional concentration at the fraction level of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2. The peroxide radicals in linoleic acid were lower depending on the additional concentration, at the fraction level of ethyl acetate, than the controls. We concluded that both had significant anti-oxidation effects. 3. MDA contents of the hepatic lipid had also inhibition effects on lipid radical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n-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 level. 4. After extracting Smilads Glabrae Rhizoma with 80% methanol, we experimented with the extracts the antibiosis each concentration, for 5 bacilli, Baci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a typhimurium, and Alcaligenes faecalis. While the effects showed differentiations by concentration, they had usually the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for the multiplication at 37.5~75ug/ml. To identify the effective constituents, we identified the antibiosis of the fractions assaying cyclically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The result showed that antimicrobial activation of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illus except for E. coli was measured highest at the fraction level of BuOH and water. Conclusions :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xtraction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at ethyl acetate fraction, had significant anti-oxidation effects and at BuOH and water fraction had relativel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a typhimurium, and Alcaligenes faecalis.

  • PDF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과 그 치료 (Etiologies of Bacterial Pneumonia with Implications for Therapy)

  • 우준희;이재석;권강호;김경호;최창현;박춘식;이위교;최태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67-75
    • /
    • 1995
  • 연구배경: 최근 세균성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균주의 변화양상, 폐렴의 임상상, 균주에 따른 항생제의 감수성 및 치료성적등을 알아보기위해 순천향대학병원에서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된 190예를 후향적으로 입원기록 검토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4년간 순천향대학병원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 897예 중 화농성 객담, 호흡곤란, 흉통등의 증상, 이학적 소견, 흉부 X-선에서 새로운 또는 진행하는 폐 병변, 혈액배양 및 의미 있는 객담에서 다수 또는 순수배양 상태로 나온 것을 병원균으로 간주하고, 항균제치료에 대한 반응등으로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 받은 환자 19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원체는 혈액이나 객담 배양검사로 원인균이 확인된 것만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환자의 나이, 성별, 기저절환, X-선소견,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및 사망률에 대해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는 모두 190예이었고 성별빈도는 남자가 123예(65%), 여자가 67예(35%)로서, 남녀의 비가 1.8:1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1세(17~84세)이고, 60대 이상이 반수(53%)이상을 차지했다. 2) 세균성 폐렴환자의 기저질환은 175예에서 관찰되었으며 기저질환이 없었던 예는 22예 뿐이었다. 기저질환으로는 폐결핵 및 만성폐쇄성폐질환등 호흡기계 질환이 78예(43%)로 가장 많았고, 뇌혈종 및 경색의 뇌혈관계 질환은 33예(20%), 악성종양 29예(16%), 당뇨 19예(12%) 및 만성 신부전증 10예(5%) 순이었다. 3) 객담배양은 173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균주빈도는 그람음성간균이 154예(89%), 그람양성구균은 19예(11%)이었으며, 이중 가장 흔히 동정된 균주는 Pseudomonas 49예(28%), Klebsiella pneumoniae 29예(17%), Enterobacter species 25예(14%), Acinetobacter species 20예(12%) 순이었고, 원내폐렴에서도 Pseudomonas 균주가 13예(34%)로 가장 많았다. 4) 혈액배양은 16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균주빈도는 그람음성간균이 7예(43%), 그람양성구균은 9예(57%), 이중 가장 흔히 동정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6예(38%)으며, 그 다음 흔한 균주는 Pseudomonas specise 3예(19%)의 순이었다. 5)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Pseudomonas species는 amikacin(56%), ciprofloxacin(91%), aztreonam(85%), ceftazidime(50%)에 5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고, piperacillin(60%), gentamicin(73%), carbenicillin(79%)에는 60% 이상의 내성을 보였다. Klebsiella species는 chloramphenicol(74%), gentamicin(75%), cefotetan(78%)에 7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고, carbenicillin(73%), ampicillin(81%)에는 70% 이상의 저항성을 보였다. Staphylococcus의 감수성 검사에서는 methicillin에 64%의 감수성을 보였고, Streptococcus pneumoniae의 경우 oxacillin에 94%의 감수성을 보였다. 6) 세균성 폐렴의 치료결과 154명(81%)이 치유되었고 사망 및 가사상태로 퇴원한 경우는 36명(19%)이었으며, 병원획득폐렴 환자의 사망율은 25예(75%)로 높았다. 결론: 항생제의 개발과 더불어 폐렴의 임상상의 변화, 원인균주의 변화 및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등을 고려할 때 무분별한 항생제 투여를 지향하고 세균배양 및 감수성검사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항생제의 투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일본의 Atagawa 온천지대에서 분리한 내열성 \beta-glycosidase 생성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rmostable \beta-glycosidase-producing Microorganism from Hot Spring of Volcanic Area at Atagawa in Japan.)

  • 남은숙;최종우;차성관;안종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1-156
    • /
    • 2002
  • 내열성 $\beta$-glycosidase 효소를 생성하는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서 일본의 Atagawa 온천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조효소액이 $70^{\circ}C$에서 4시간 동안 $\beta$-glycosidase활성을 유지하는 KNOUC 202를 선발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선발된 KNOUC 202는 호기성으로 그람음성 간균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운동성이 없으며, carotenoid를 생성하고, catalase, oxidase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성장온도는 $70~72^{\circ}C$이고, 최적 pH는 7.0~7.2이었으며, NaCl 3% 농도에서 성장하였다. 세포내 지방산의 주성분은 iso-15:0과 iso-17:0이었다. KNOUC 202의 16S rRNA sequence는 Thermus thermophilus ATCC 27635(HB8)와 유사도가 99.9% 이었다. 따라서 형태학적, 이화학적, 생화학적 특성, 지방산조성 및 16S rRNA sequence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KNOUC 202를 Thermus thermophilus로 동정하였다.

β-Galactosidase Gene of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Isolated from Hot Springs of a Volcanic Area in New Zealand: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Gene in Escherichia coli

  • Nam, E.S.;Choi, J.W.;Lim, J.H.;Hwang, S.K.;Jung, H.J.;Kang, S.K.;Cho, K.K.;Choi, Y.J.;Ahn,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591-1598
    • /
    • 2004
  • To isolate the $\beta$-galactosidase producing thermophilic bacteria, samples of mud and water were collected from hot springs of avolcanic area near Golden Springs in New Zealand. Among eleven isolated strains, the strain of KNOUC112 produced the highest amounts of $\beta$-galactosidase at 40 h incubation time (0.013 unit). This strain was aerobic, asporogenic bacilli, immobile, gram negative, catalase positive, oxidase positive, and pigment producing. Optimum growth was at 70-72$^{\circ}C$, pH 7.0-7.2, and it could grow in the presence of 3% NaCl. The main fatty acids of cell components were iso-15:0 (30.26%), and iso-17:0 (31.31%). Based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strain could be identified as genus Thermus, and finally as Thermus thermophilus b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sequence. So the strain is designated as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A gene from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encoding $\beta$-galactosidase was amplified by PCR using redundancy primers prepared based on the structure of $\beta$-galactosidase gene of Thermus sp. A4 and Thermus sp. strain T2, 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JM109 DE3. The gene of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beta$-galactosidase(KNOUC112$\beta$-gal) consisted of a 1,938 bp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protein of 73 kDa that was composed of 645 amino acids. KNOUC112$\beta$-gal was expressed as dimer and trimer in E. coli JM109 (DE3) via pET-5b.

Detection of microbial organisms on Apis mellifera L. beehives in palm garden, Eastern Thailand

  • Sirikwan Dokuta;Sumed Yadoung;Peerapong Jeeno;Sayamon Hongjaisee;Phadungkiat Khamnoi;Khanchai Danmek;Jakkrawut Maitip;Bajaree Chuttong;Surat Hongsib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17-23
    • /
    • 2024
  • Background: Honey bees play a crucial role in pollination and ecological balance. Apis mellifera L. colonies, especially those located in specific geographic regions, such as the palm garden in Eastern Thailand, are susceptible to potential threats from microbial contaminants. Understanding and detecting microbial organisms in these beehives is essential for the preservation of bee health, honey production, and the broader ecosystem. However, the problem of microbial infection and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s more severe and continuously increasing, resulting in a health, economic, and social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microorganisms in A. mellifera beehives in palm gardens in Rayong province, Eastern Thailand. Results: Ten swabs in transport media were swabbed and obtained from different parts of each beehive (1 swab per beehive), for a total of 10 hives. Traditional microbial culture-based methods, biochemical tes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disc-diffusion) tests were used to detect microbial organism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 The swab tests from nine beehives resulted in the detec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63.64%), Gram-negative bacteria (27.27%), and fungi/yeast (9.09%). These microorganisms are classified as a group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and made up 40.91% of the bacteria discovered. Other bacteria found were Coryneform bacteria (13.64%), Pantoea spp. (13.64%), Bacillus spp. (9.09%), yeast (9.09%), glucose non-fermentative Gram-negative bacilli (9.09%), and Pseudomonas spp. (4.55%). However, due to the traditional culture-based and 0biochemical tests usually used to identify the microbial organisms in clinical specimens and the limitation of identifying some environmental microbial specie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cannot reveal if the organism is resistant or susceptible to the drug. Nevertheless, drug-sensitive inhibition zones were formed with each antibiotic agent. Conclusions: Overall, the study supports prevention,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systems. The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beehives may affect the quality of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or even the health of the beekeeper. To avoid this kind of contamin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hile harvesting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애완 토끼에서 자궁수종, 자궁축농증, 자궁염전의 병발 증례 (Uterine Torsion Associated with Hydrometra and Pyometra in a Domestic Rabbit)

  • 나상기;최지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4-546
    • /
    • 2014
  • 식욕 부진과 복부 팽만을 보인 1.5살령의 암컷 토끼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 확장 소견이 확인되었고, 이틀 후 쇼크로 응급 내원하여 탐색적 개복술을 실시하였다. 양측 자궁각이 자궁 경부에서 염전되어 있었고, 양측 자궁각의 내용물에 대한 배양 검사 결과 우측 자궁각은 자궁수종, 좌측 자궁각은 자궁축농증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질병의 발생 기전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렵지만, 복부 팽만이 4개월간 지속되다가 갑자기 토끼 상태가 악화되어 쇼크로 진행된 점으로 미루어 초기에 자궁수종이 발생하였다가 감염 및 자궁 내 다량의 내용물로 인한 자궁염전이 급성으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증례는 각각의 자궁각에 자궁수종과 자궁축농증이 별도로 발생하고 염전이 동반된 매우 드문 예이다.

S.L.E. 환자 혈액에서 분리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세균학적 독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the Blood of an S.L.E. Patient)

  • 정윤섭;김혜숙;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2
    • /
    • 1973
  • Listeria monocytogenes human infection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which usually is meningitis in newborn babies. The organism wa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of a 52 year old female patient with meningitis. It was considered that the underlying disease, i.e. S.L.E., and the steroid therapy which the patient had been receiving played some role for the Listeria infection. The isolate was showing characteristics of L. monocytogenes, i.e. diphtheroid like morphology, motility with four peritrichous flagella, hemolytic small colonies on blood agar, growth in the presence of 7.5% salt and at 4 C, and inducing monocytosis in an experimentally infected rabbit. Serologically the organism was identified as L. monocytogenes 4b. The isolate was showing susceptibility to many antibiotics tested including ampicillin, penicillin and tetracycline which were the recommended drugs of choice for the treatment of Listeriosis. It is the general opinion that Listeriosis is not so rare as literatures are showing. It is considered that some of the isolate of the organism from clinical specimens are mistakenly discarded due to the fact that the organism shows diphtheroid like morphology and that not many laboratories are able to recognize the organism. Literatures are seen which emphasize more careful examination of gram positive bacilli with diphtheroid like morphology especially when they are isolated from blood or from spinal fluid of patient.

  • PDF

포장재에 따른 멸균품의 유효기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helf Life of Sterilized Products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s)

  • 장송자;정정희;최경미;김미영;박주희;정나연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3호
    • /
    • pp.333-34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shelf life for sterilized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ackaging material. Methods: Samples were prepared to target six nursing units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After steam and E.O gas sterilization, sterilized product, samples were supplied to war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3 months, after the expiration date of 3 months had passed for samples packaged with crepe paper and nonwoven wraps. For samples packaged with paper-plastic pouches, data collection conducted for 3 months when the expiration date of 9 months had passed. The sterilized products were collected and tested for microbial contamination. Identification of the storage environment was done as samples were collected.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orage environment met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CDC, except for temperature. For steam sterilized crepe paper packaging samples and steam and E.O gas sterilized for nonwoven packaging samples no contamination in all products was found for 3 months past the expiration date. However, in the E.O gas sterilized paper-plastic pouch packaging sterile samples, Gram-positive bacilli were detected in one sample from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t 45 weeks and another sample from an operating room at 47 weeks. Furthermore, the results did not show any microorganisms for up to 52 weeks in all product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erilized product packaging made with crepe paper and nonwoven wraps is better able an extended shelf life from 3 months to 6 months, reducing unnecessary costs.

화이버 기관지경 검사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Fiberoptic Bronchoscopy)

  • 이상기;홍영호;권평중;김중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2-3
    • /
    • 1981
  • 1978년 2월부터 1981년 2월까지의 3년간 중앙대학교이비인후과에서 화이버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한 예중 화이버기관지경에 의한 진단이나, 병리조직학적 진단이 확실한 55례에 대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로는 남자 41명, 여자 14명으로 3 : 1로 남자가 더 많았다. 2) 연령별로는 50∼59세 군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15례, 27.2%), 40대, 60대, 70대 사이에서는 커다란 차이점이 없음을 발견하였다. 3) 성별로는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50대 에서는 남자 12명 여자 3명으로 남녀간에 4 : 1의 비율을 보였다. 4) 주소는 기침(52%), 혈담(25%), 호홉곤란(23.6%), 흉통(18%), 가슴답답(9%)의 순으로 많았다. 5) 기관지 흡입물을 그람 염색하여 세균이 발견되지 않은 것이 33례(60%)로 가장 많았고, 그람양성구균 2례 (3.6%), 그람음성구균 2례 (3.6%), 그람양성간상균 1례 (1.8%), 그람음성간상균 2례 (3.6%), 혼합균이 15례 (27.2%)이고 혼합균중 그람음성간상균이 13예로서 가장 많았다. 6) 기관지 흡입물의 배양결과는 28례 (50.9%)에서, 자라지 않았고, 알파용혈성 연쇄상구균 10례 (18.2%), 나이세리아속 7례 (12.7%), 크레브시엘라 2례(3.6%) 슈도모나스 2례 (3.6%)이었고, 혼합균은 6례 (10.9%)이고 혼합균중 알파용혈성 연쇄상구균이 6례로서 가장 많았다. 7) 임상적, 검사실성적, 조직적, 기관지경검사에 의해 얻은 진단에 의하면 기관지암 21례 (38.1%), 폐결핵8례 (14.5%), 늑막염 3례 (5.4%), 기관지염 7례 (12.7%), 폐렴 4례 (7.2%), 기관지확장증 4례 (7.2%), 무기폐 4례 (7.2%)의 순으로 많았다.경우보다 높은 2.0 unit/mL의 농도에서 알파-갈 항원결정인자가 제거되는 양상을 보였다. 걸론: 돼지의 대동맥 판막 조직과 심낭 조직의 알파-갈 항원결정인자는 eriffonia simplicifolia의 동종렉틴 B4를 사용한 면역조직형광염색에서 잘 염색되었으며 이를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사용하여 제거하였을 때 각각 1.0 unit/mL, 2.0 unit/mL 농도의 녹색콩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4^{\circ}C$, pH 6.5의 조건에서 24시간 반응시켰을 때 효과적으로 상당량 제거할 수 있었다. 향후 돼지의 판막조직 및 심낭조직으로 만드는 조직판막의 내구성 증대에 대표적인 동물 면역항원인 알파-갈 항원결정인자의 제거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처리한 돼지의 조직판막에 대한 인간혈장의 항-갈 항체 및 항-갈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직접적인 면역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광학거울 (Fine-grade optical mirror)을 이 부위에 넣고 반사시야에서 수술적 처치를 시행할 것을 주장했으나, 수술시의 출혈등에 의한 명료시야의 확보에 문제점이 있어 널리 시행되지 않았다. Saito(1971)등은 Sinus tympani의 접근방법으로서 종래의 중이강내에서 접근방식 (Tympani approach) 보다 유양동을 통한 접근(mastoid approach)이 보다 편리하고 확실한 방법일 것이라는 생각으로 42개의 측두골에 대한 미세해부학적 계측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에서 그는 Sinus tympani의 상부는 안면신경과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에 있어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고 후부는 이낭(Otic capsule)에서 발생한 중치밀골(Hard compact bone)로 되어 있으며 안면신경 과 후반규관 사이가 협소하여 수술시 micro-drill burr로서 제거하기가 용이치 않다

  • PDF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일부세균의 항균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everal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Human Blood Culture)

  • 이천수;김광혁;장명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11-722
    • /
    • 1998
  • 본 연구는 혈액에서 분리되는 세균의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3년 10월 1일부터 1996년 9월 30일 사이에 K대학 부속병원의 입원 및 외래환자 13,595명을 대상으로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1,104균주중 716균주를 세균의 균종별, 연령별, 계절별 분리빈도와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근 3년간 균분리 양성은 1,104명으로 8.1%의 양성률을 보였다. 연구대상 716균주의 균종별 분리빈도는 E. coli가 29.8% (213주)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다. 2. 대부분의 균종은 50세, 60세군 및 2세 이하군에서 분리율이 높았고, S. typhi는 30세군에서 분리율이 높았다. 3. 계절별 분리율은 대부분의 균종이 여름철에 분리율이 높았고, E. coli는 계절에 관계없이 분리되었다. 4. 항균제 감수성은 그람양성 구균의 경우 penicillin계 항균제인penicillin-G에 E. faecalis를 제외한 균에서 높은 내성률을 보였으며, vancomycin과 teicoplanin에는 감수성이 높았다. 그람음성 간균은 amikacin, ciprofloxacin, 및 imipenem에는 감수성이 높았고, ampicillin에는 내성을 보였다. S. typhi는 cephalothin을 제외한 모든 항균제에 100%의 감수성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균혈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세균에는 penicillin계 항균제에 내성인 균주가 많으며 glycopeptide계 항균제와 amikacin, ciprofloxacin 및 imipenem에는 아직 내성이 낮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