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crop

검색결과 1,673건 처리시간 0.027초

등숙기 도복 시기 및 정도에 따른 쌀 품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Grain Quality under Lodging Time and Grade at Ripening)

  • 정응기;김기종;천아름;이춘기;김선림;;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40-444
    • /
    • 2006
  • 1. 도복정고에 따른 주요 작물학적 특성은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수당립수는 많았고, 등숙비율은 낮았으며, 현미천립중은 가벼웠다. 2. 완전미도정수율은 출수후 20일 완전도복(9), 출수후 20일 반도복(5), 출수후 25일 완전도복(9), 출수후 25일 반도복(5), 출수후 30일 완전도복(9), 출수후 30일의 반도복(5), 무도복 순으로 높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도복에 따른 완전미도정수율은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낮아지고 분상질미, 쇄미 및 사미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밥의 찰기와 질감에 나쁜 영향을 주는 단백질함량이나 밥맛을 간접적으로 비교하는 토요식미치와 실제적인 페널에 의한 밥맛은 무도복에 비해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식미가 나빠지는 쪽으로 영향을 미쳤고, 도복 시기보다는 도복정도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수 도정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 우관식;서명철;강종래;고지연;송석보;이재생;오병근;박기도;이용환;남민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95-16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황금찰수수의 도정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tannin,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은 각각 수수의 hull, bran 및 grain으로 구분하여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수율을 측정한 결과 9.95, 19.05 및 2.94%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hull, bran 및 grain층에서 각각 9.95, 19.05 및 2.94%의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bran의 추출물이 hull이나 grain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bran 추출물이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66.37 및 36.56 mg TE/g sample으로 나타나 hull이나 grain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수의 bran은 기능성식품 제조에 있어 좋은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화수 조절을 통한 벼 등숙기 고온내성 향상 연구 (Study on Improving High-temperature Tolerance for Grain Filling Through Adjusting Sink Size)

  • 김준환;손지영;최경진;윤영환;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07-112
    • /
    • 2013
  • 고온발생시 과연 sink가 적은 것이 등숙에 유리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1. 등숙기간 동안 적온인 $22^{\circ}C$와 고온인 $27^{\circ}C$에 처리한 후 천립중 감소율과 현미완전미감소율 비교하여 국내품종들 중에서 고온등숙에 강한 품종(동안벼)과 약한 품종(일품벼)를 선발하였다. 2. 고온에 대한 두 품종의 차이를 이삭형태 관점에서 비교한 결과 동안벼와 일품벼는 약세영화와 강세영화간의 비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영화수에서 일품벼가 더 많았다. 따라서, 많은 영화수를 고온에서의 천립중 감소의 원인으로 가정하여 영화수 조절을 통한 등숙특성 개선을 시도하였다. 3. 이를 위해 약세영화를 제거하여 영화수를 조절한 결과 천립중은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현미완전미율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4. 따라서, 천립중은 동화산물의 공급균형과 관련된 문제로 추정되는 반면 현미완전미율은 영화 내부의 전분축적과 관련된 대사이상으로 생각되며, 고온 등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화수를 조절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완전미도정수율 향상을 위한 조(Setaria italica Beauvois) 도정방법 및 수확시기 (Milling Condition and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Milling Recovery of Head Foxtail Millet Grain)

  • 이재생;고지연;송석보;우관식;김정인;김현영;정태욱;곽도연;오인석;김기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80-285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조 품종의 도정수율 증진을 위한 도정방법 및 적정 수확시기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현횟수와 도정시간에 따라 제현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의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조의 완전미도정수율은 제현횟수를 2회, 도정시간을 1분 30초로 하였을 때 높았다.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른 현곡천립중, 제현율, 현곡의 경도, 도정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의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 요인간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다. 등숙율과 완전미도정수율 향상을 위해 조생종인 황금조는 출수 후 45일(적산온도 $1,148^{\circ}C$), 중생종인 삼다메와 경관1호는 출수 후 50일(적산온도 $1,150^{\circ}C$), 만생종인 삼다찰은 출수 후 55일(적산온도 $1,168^{\circ}C$)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Selection of the Most Sensitive Waveband Reflectance fo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lculation to Predict Rice Crop Growth and Grain Yield

  • Nguyen Hung The;Lee Byun 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94-406
    • /
    • 2004
  • A split-plot designed experiment including four rice varieties and 10 nitrogen levels was conducted in 2003 at the Experimental Far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Korea. Before heading, hyperspectral canopy reflectance (300-1100nm with 1.55nm step) and nine crop variables such as shoot fresh weight (SFW), leaf area index, leaf dry weight, shoot dry weight, leaf N concentration, shoot N concentration, leaf N density, shoot N density and N nutrition index were measured at 54 and 72 days after transplanting. Grain yield, total number of spikelets, number of filled spikelets and 1000-grain weight were measured at harvest. 14,635 narrow-band NDVIs as combinations of reflectances at wavelength ${\lambda}l\;and\;{\lambda}2$ were correlated to the nine crop variables. One NDVI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 given crop variable was selected as the NDVI of the best fit for this crop variable. As expected, models to predict crop variables before heading using the NDVI of the best fit had higher $r^2$ (>10\%)$ than those using common broad- band NDVI red or NDVI green. The models with the narrow-band NDVI of the best fit overcame broad- band NDVI saturation at high LAI values as frequently reported. Models using NDVIs of the best fit at booting showed higher predictive capacity for yield and yield component than models using crop variables.

Crop Science Approaches to Alleviate the Food Security Concerns in Korea

  • Hee-Jong Ko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
    • /
    • 2022
  • Unstable crop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COVID-19 pandemic has raised the food security concerns worldwide. In particular, Russia's invasion to Ukraine has blocked the grain trade such as wheat and com to importing countries, which has aggravated the situation. Korea has relied on foreign imports for about 80% of domestic grain demand, raising great concerns on food security. Considering situations related to Korea's food security, some points in view of a crop scientist are suggested and discussed as follows; 1) Domestic production of major grain crop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encouraging farmers by appropriate governmental subsidy programs 2) International corpo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diversified for sustainabl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for stable import even in case of food crisis and emergency. 3) Self-sufficiency target should be specified by law so that more budget investments could be put to alleviate the food security concerns. 4) Technologies for climate smart agriculture and for competitive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aided by social and governmental support.

  • PDF

잡곡의 품질개량 육종 성과와 전망 (Quality Breeding Outcome and Outlook in Coarse Grain Crops)

  • 최병한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22-34
    • /
    • 1998
  • Coarse grain crops including maize, sorghum, buckwheat, fox-tail millet, pearl millet, proso millet and barnyard millet have been used as health food, feed and industrial materials in Korea for a long time. Korean ancestors thought and treated them as the very important good crops for human health and the crops have served as a dish made with all the grains, particularly in January 15 of the lunar month in korea because the grains make the five viscera of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and the six entrails of gall bladder, stomach, small and large intestines, the paunch, the bladder, and the bowels strong and build healthy body. Thus, the objectives of the paper were to review and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quality breeding and functional researches worldwide on nutrition, utilization and medical action of the coarse grain crops. Maize grain, fresh ear and green fodder yields have increased since 1960s in Korea. Agronomic traits improvements also occurred for cold tolerance, disease and insect resistance, resistance to barrenness, resistance to loding, pollen production, grain and seed yields, and eating quality. For buckwheat, improved summer buckwheat varieties produced more rutin for vegetable and grain than autumn varieties in Korea

  • PDF

수입 찐쌀의 품질 특성 (Grain Quality of Imported Steamed-Rice)

  • 천아름;정응기;최윤희;김기종;이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7-11
    • /
    • 2006
  •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찐쌀과 국내산 일반 쌀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찐쌀은 외관상 금이 많이 나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취반 시 쌀알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았고, 다양한 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높고 수분함량은 낮았으며 윤기치는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2. 호화 및 열분석과 취반특성 분석 결과 찐쌀은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취반 시 일반 백미보다 수분을 1.5배가량 많이 흡수하며, 팽창용적이 크고 용출되는 고형물 양도 2배정도 많으며, 그 과정에서 쌀알 고유의 형태를 잃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식미관능평가를 통해 찐쌀의 식미가 일반 쌀에 비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묵은 쌀이나 싸라기보다도 유의하게 식미가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stablishment of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 Shim, Kang-Bo;Hwang, Jung-Dong;Pae, Suk-Bok;Lee, Myoung-Hee;Ha, Tae-Joung;Park, Chang-Hwan;Park, Keum-Yong;Son, Jeong-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5-199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optimum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We also compared major components in sesame seed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 The adaptable varieties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were white sesame 'Pyoungan' and black sesame 'Jinki' which showed higher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We also conducted several experiments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time. Grain yield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al sowing dates. In general, sesame sowing on June 30th showed higher grain yields than July 10th, July 20th and July 30th in the greenhouse. We also found out sesame cultivation practice with the row spacing of 40 cm and interplant spacing of 30 cm (a few branch type) or 40 cm (many branch type) showed high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Optimum pinching time was 25 days after first flowering in main stem when thousand seed weight and grain yield were highest. In the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s of sesame at the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sesame seed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contained 4% much more oil content than open field condition. The lignan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were also higher by 6% in the greenhouse than open field condition. It was concluded that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guaranteed higher grain yield with less labor input which is now emerging alternative farming practice system in present aging rural society and will also give sesame cultivation farmers to increase net income in Korea.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 품종의 등숙 한계온도 분석 (Critical Temperature for Grain Filling of Japonica Rice in Korea)

  • 양운호;강신구;이대우;채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225-235
    • /
    • 2023
  • 벼의 수확기 기준온도 결정에 활용하기 위하여 2020~2021년 포장 조건에서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 품종(오대, 하이아미, 삼광)의 4회 이앙 처리에서 등숙 한계온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차수별 출수기 범위는 2020년에는 1차 8월 27~28일, 2차 9월 14~15일, 3차 9월 23~25일, 4차 9월 28~30일이었으며, 2021년에는 1차 8월 20~23일, 2차 9월 9~15일, 3차 9월 20~22일, 4차 9월 28~30일이었다. 2. 등숙비율, 정조 천립중, 정조중, 완전립 비율 중 등숙 한계온도 분석에 적합한 특성은 등숙비율과 정조중이었다. 3. 등숙비율과 정조중은 2020년 1~2차 이앙과 2021년 1~3차 이앙에서 sigmoid curve 형태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2020년 3차와 2021년 4차 이앙에서는 일정 시기까지 증가한 이후 정체 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4. 비선형회귀 분석에서 등숙비율과 정조중이 최고값의 95%에 도달한 시기는 2020년 2차 이앙에서 출수 후 49~62일, 2021년 2차와 3차 이앙에서 각각 출수 후 37~46일과 30~36일이었으며, 2020년 3차와 2021년 4차 이앙에서 등숙특성의 실측 최고값은 출수 후 42일에 나타났다. 5. 비선형회귀 분석에서 등숙 한계온도 분석에 적합한 경우 최고값 대비 95% 시기의 7일 이동 평균기온은 품종과 특성에 따라 2020년 2차 이앙에서 8.4~9.4℃, 2021년 2차와 3차 이앙에서 9.4~10.9℃로 나타났으며, 품종별로 평가한 등숙 한계온도는 7일 이동 평균기온 8.4~8.7℃였다. 6. 2020년 3차와 2021년 4차 이앙에서 등숙비율과 정조중의 증가가 나타난 가장 낮은 7일 평균기온은 품종에 따라 9.4~10.1℃ 범위였으며, 정체 또는 감소가 나타난 가장 높은 온도는 8.7~9.1℃ 범위였다. 7. 종합적으로, 비선형회귀 분석에서 나타난 자포니카 벼의 등숙 한계온도는 품종에 따라 7일 이동 평균기온 기준 8.4~8.7℃로 분석되었으며, 실측 등숙 특성의 변화로 분석한 등숙 한계온도는 이전 7일 평균기온 기준 9.1~9.4℃ 사이로 나타났다. 8. 벼의 수확 한계기 기준 온도는 품종에 따라 등숙 진전이 관찰된 가장 낮은 온도인 이전 7일 평균기온 9.4~10.1℃에서 높은 온도인 10℃ 정도를 적용하는 것이 재배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