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appearanc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Detection of Main-effect QTLs, Epistatic QTLs and QE Interactions for Grain Appearance of Brown Rice(Oryza sativa L.)

  • Qin, Yang;Kim, Suk-Man;Sohn, Jae-Keu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51-156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in-effect QTLs, epistatic QTL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QTL and the environment associated with grain appearances of brown rice. A genetic linkage map was created with 172 DNA markers spanning 12 rice chromosomes based on 120 DH lines, which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amgang'(Tongil) and 'Nagdong'(Japonica). One thousandgrain weight, length, width, length-to-width ratio, and thickness were evaluated regarding the DH population. Twenty independent QTLs and fourteen epistatic QTLs were identified in using CIM by two programs, known as WinQTLcart2.5 and QTLMAPPER. The QTLs of qgw9.1 in an interval of RM434-RM242 on chromosome 9 and qgw11.1 at a peak marker of RM287 on chromosome 11 for one thousand-grain weight, qgwi2.2 for grain width at a peak marker of RM450, qlw2.1 for length-to-width ratio flanked by RM492 and RM324, and qgt2.1 for thickness flanked by 2009 and RM492 on chromosome 2 were detected over two years, which can be considered as stable QTLs. The epistatic effect might be an important component for genetic basis of one thousand-grain weight and width. The main-effect QTLs of grain width and length to width ratio were easily influenced by environments.

  • PDF

Comparison of Grain Quality of Bacterial Blight Resistant Near-isogenic Lines of Rice under Different Fertilization Levels

  • Shin Mun-Sik;Kim Ki-Young;Choi Yun-Hi;Shin Seo-Ho;Ko Jae-Kwon;Lee Jae-K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8-321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02 and 2003 to investigate variation on rice quality associated with cooking, and eating qualities under the three different fertilizer levels, none fertilizer level($N-P_2O_{5-}K_2O=0-0-0kg/ha$), ordinary fertilizer level($N-P_2O_{5-}K_2O=1l0-45-57kg/ha$), and heavy fertilizer level($N-P_2O_{5-}K_2O=180-90-110kg/ha$). The eight resistant near-isogenic lines(NILs) for bacterial blight in rice were examined for grain appearances, sever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value measured by Toyo taste meter. Significant variations in NILs(V), Years(Y), and VxY interaction were recognized in grain length and palatability value under the none fertilizer cultivation, in grain width under the heavy fertilizer cultivation, and in white belly ratio under the three different fertilizer cultiva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increase the fertilizer application rate, variation in grain length and grain width were not significant, but grain thickness was thinner under the ordinary and heavy fertilizer cultivations than under the none fertilizer 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white belly ratio, protein content and Mg/K ratio increased, while amylose content and palatability value lowered. Alkali spreading value lowed under the heavy fertilizer cultivation than under the none and ordinary fertilizer cultivations. Palatability value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line carrying XalJ than in the other lines under the ordinary fertilizer cultivations.

"청기재하(淸氣在下), 탁기재상(濁氣在上)"에 대한 고찰(考察) - 『상한론(傷寒論)』 병증(病症)과의 비교 -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Clear Qi Below, Turbid Qi Above" with Reference to Symptom Patterns of the Sanghallon (Treatise on Cold Damage 傷寒論))

  • 박상균;방정균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2
    • /
    • 2019
  • Objective : Describe the phenomenon of "clear qi below, turbid qi above" as found in the Somun Eumyangeungsangdaelon (Major Essay on Yinyang Resonances and Appearances 素問 陰陽應象大論) and compare this pattern with water-grain dysentery and flatulence symptom patterns in the Sanghallon (Treatise on Cold Damage). Method : Study the annotation of the Hwangjenaegyeong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黃帝內經)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Sanghallon's water-grain dysentery and flatulence. Conclusions and Results : The causes of water-grain dysentery and flatulence are associated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roperties of Yin and Yang. Additionally, these symptoms can also be caused by pathogenic heat, turbid pathogenic factors, and interruption of the movement of clear and turbid qi. Aspects of water-grain dysentery resemble several patterns found in the Sanghallon. If caused by a weakness of yang qi, it resembles Sayeoktang (四逆湯) syndrome. Weakness of spleen qi resembles Ijungtang (理中湯) syndrome. Flatulence is similar to fullness in the chest syndrome, which in the Sanghallon is caused by an obstruction of cold qi. If there is excessive cold, water-grain dysentery is similar to the syndrome of Gyeolhyung (結胸). If the qi is not scattered, deficiency syndrome is similar to Gyejigejagyaktang (桂枝去芍藥湯) syndrome and excess syndrome is similar to Mahwangtang (麻黃湯) syndrome. When flatulence is caused by fever in chest, it is similar to Chijasitang (梔子?湯) syndrome. When caused by heat and phlegm build up in chest, it is similar to Sipjotang (十棗湯) syndrome.

수입 찐쌀의 품질 특성 (Grain Quality of Imported Steamed-Rice)

  • 천아름;정응기;최윤희;김기종;이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7-11
    • /
    • 2006
  •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찐쌀과 국내산 일반 쌀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찐쌀은 외관상 금이 많이 나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취반 시 쌀알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았고, 다양한 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높고 수분함량은 낮았으며 윤기치는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2. 호화 및 열분석과 취반특성 분석 결과 찐쌀은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취반 시 일반 백미보다 수분을 1.5배가량 많이 흡수하며, 팽창용적이 크고 용출되는 고형물 양도 2배정도 많으며, 그 과정에서 쌀알 고유의 형태를 잃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식미관능평가를 통해 찐쌀의 식미가 일반 쌀에 비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묵은 쌀이나 싸라기보다도 유의하게 식미가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외관 기호도에 의한 쌀의 색택 및 형태관련 특성 (Color Appearanc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According to the Visual Acceptance)

  • 송진;천아름;김선림;김덕수;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18-623
    • /
    • 2006
  • 쌀의 외관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관련 특성을 검토하고 이들의 상호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쌀 외관품질의 등급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자포니카 44품종 쌀에 대한 외관기호도와 관련 특성을 조사 및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의 색기호도는 외관품질(r=-0.897) 및 적색도(r=-0.893)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외관품질(적색도${\times}$황색도)은 색에 의한 쌀 외관의 등급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쌀의 모양에 대한 기호도는 입폭(r=0.527)과 입의 크기(r=0.454)가 유의한 정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쌀의 외관에 대한 기호도의 군집분석결과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별 품질은 외관품질, 입폭 및 입크기 등에 의해 품질등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니트 플레어스커트의 제작 방법에 따른 외관 평가 - 봉제형과 무 봉제형 - (A Study on the Knit Flare Skirts for Making Method through Sensory Test - Cut & Sew and Seamless Making Method -)

  • 기희숙;김영주;서정권;류경옥;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3호
    • /
    • pp.465-475
    • /
    • 2010
  • For this study, 18 kinds of cut and sew or seamless knitted test garment were made. Samples differed from each other by skirt angles($90^{\circ}$, $180^{\circ}$), gauges(7G, 12G, 15G), and grain directions(bias direction, wale direction, and radial direction). After measu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various gauges on the seamless knitting machine, I compared shape of the knitted flare skirt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on appearances. The data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Duncan-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ive evaluation on appearances of knitted flare skirts showed the following: In case of $90^{\circ}$ skirt, the seamless skirt showed a much higher score in every gauge expect that of the cut and sew 12G, and silhouette of 15G wale direction. In case of the $180^{\circ}$ skirt, the seamless type showed a much higher score in every item over the cut and sew expect the silhouette part of 7G wale direction.

전라북도 지역 당뇨환자의 잡곡밥 섭취 실태 및 혼합비를 달리한 잡곡밥의 관능검사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People with Diabetes in Jeollabuk-do an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 정은순;신동화;두재균;채수완;김영수;박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49-10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68명의 당뇨환자들을 대상으로 잡곡밥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 잡곡밥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BMI를 측정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1.7%가 과체중 이상이었다. 잡곡밥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 94.1%가 잡곡밥을 섭취하였고, 성별에 따른 섭취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주 섭취하였으며(p<0.05), 섭취이유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남녀 모두 건강에 좋아서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잡곡밥에 혼합하는 잡곡의 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더 많은 잡곡을 혼합하였으며(p<0.01), 지속적인 섭취 여부를 알아본 결과 '지속적으로 먹겠다'라고 응답한 여성이(47.1%) 남성(36.8%)보다 많았다(p<0.05). 잡곡밥 섭취 기간은 3년 이상 섭취 59%, 잡곡의 구입 장소는 집주변 소형마트 46.0%로 가장 많았으며, 흰밥에 가장 많이 혼합하는 잡곡은 검정콩(76.5%)으로 조사되었다. 멥쌀을 제외하고 보리, 현미 등 6가지 잡곡의 혼합비율을 50%로 만든 RMGD-50과 40%로 만든 RMGD-40의 비교 관능검사 결과 겉모양과 색깔에 있어 잡곡의 함량이 많은 RMGD-50이 상대적으로 잡곡의 함량이 적은 RMGD-40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3.33{\pm}0.68$, $3.50{\pm}0.81$),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혼합비율이 보다 낮은 잡곡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GD-40과 찰성 곡물 함량이 많은 Control 1, 백미인 Control 2를 비교 평가한 결과 Control 1에 비해 RMGD-40은 겉모양, 냄새, 색깔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잡곡밥에 익숙한 입맛을 가진 당뇨환자들에게 백미는 질기, 씹힘성, 맛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3.26{\pm}0.82$, $3.48{\pm}0.85$, $3.19{\pm}0.70$), 이는 RMGD-40 및 Control 1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결론적으로 당뇨환자들은 잡곡의 비율이 보다 낮고 찰성 곡물의 함량이 많은 잡곡밥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혈당 관리를 위하여 당뇨환자들에게 곡류의 섭취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당뇨환자들을 위하여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는 잡곡밥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기 무경운 벼 생산체계에서 토양의 이화학성, 쌀 수량 및 도정형질의 변화 (Changes in Physicaochemical Properties of Soil, Yield, and Milling Quality of Rice Grown under the Long-term No-till Rice System)

  • 홍광표;김영광;정완규;손길만;송근우;최용조;최진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6-199
    • /
    • 2003
  • 이 시험은 논을 무경운으로 15년간 관리한 상태에서 토양의 변화, 벼 수량구성요소와 수량 및 미질을 경운답에서의 그 것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층의 형성정도를 보면 11년간 무경운상태로 관리한 논은 토양 상층에 5cm정도의 유기물층이 형성되었으며, 이 층에 유기물을 비롯한 양이온과 인산이 집적되었다. 2. 무경운답의 작토층은 경운답의 작토층에 비하여 유기물함량은 높으나, pH와 양이온, 인산의 함량이 낮았으며, 가비중과 고상의 비율이 높은 반면 액상과 기상의 비율은 낮았다. 3. 경운답은 표토는 매우 부드러우나 토심 5cm정도부터 급격히 단단해 지는 것에 비해 무경운 1년답에서는 표토가 매우 단단하였으나, 무경운으로 관리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표토는 물론이고 경반층 이하에서도 부드러워졌다. 4.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을 보면 입수, 등숙률, 천립중 다같이 경운방법간에 비슷하였으며, 수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무경운 연속재배에 따른 수량의 변화패턴은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5.쌀의 도정 및 품위특성을 보면 무경운답과 경운답에서 생산된 쌀간에 차이가 없었다.

누룩원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쌀약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 이승주;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9-123
    • /
    • 2010
  • 쌀을 주원료로 누룩 원료만을 교체하여 제조한 약주의 경우도 시료별 다양한 관능특성을 나타내어 누룩 원료 사용 변화를 통한 관능특성 다양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20)에서 떫은맛, 쓴맛, 곰팡이냄새, 유기용매 냄새는 기호도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누룩향미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묘사분석 결과 바람직한 관능특성을 나타낸 누룩의 원료로 찹쌀, 찹쌀흑미, 멥쌀, 쌀보리, 메밀, 현미를 선정하고 흑미의 경우 신맛은 높았으나 전반적인 패널의견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선정에 포함하였다. 향후 선정된 7종의 곡물을 바탕으로 미생물 분리 및 동정을 통해 우수 균주를 선발하고 이를 통해 누룩 원료 및 미생물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RTD (Ready-to-drink) 콜드브루커피의 이화학 및 감각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RTD cold brew coffees)

  • 송영주;황현주;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5-41
    • /
    • 2019
  • 시판되는 RTD 콜드브루커피 8종에 대하여 3개의 외관, 9개의 향, 5개의 향미, 4개의 질감/입안감촉에 대한 묘사용어 총 21가지를 개발하였으며,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 콜드브루커피의 주요 특성으로 알려진 다양한 향미와 쓴맛 관련 향미 용어가 개발되어 향후 콜드브루커피의 감각검사에 주요 평가 용어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색도, 탁도, 갈색도, pH,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과 총 폴리페놀함량, 클로로제닉산의 8가지 이화학특성을 분석하였다. 묘사분석 감각특성 항목과 커피의 중요 지표인 이화학 특성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이 주요 감각특성인 흙향, 잔존감 항목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이 단향, 고소한향, 구수한향, 구수한맛 감각특성에 높음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갈색도와 폴리페놀 함량은 흙향과 잔존감 감각특성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항목은 콜드브루커피 제품개발 시 감각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요 품질지표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