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ing

검색결과 1,531건 처리시간 0.031초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아크릴산의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에서 금속염의 효과 (Radiation-Induced Grafting of Acrylic Acid onto Polypropylene Fabric in the Presence of Metallic Salt)

  • 노영창;박종신;진준하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46-953
    • /
    • 1996
  • 동시조사법에 의한 아크릴산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그라프트 반응에서 조사량, 조사선량률, 금속염 및 용매가 그라프트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같은 조사선량에서는 선량률이 낮을수록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냈다. 한편 조사선량률을 달리하여 일정 시간 동안 그라프트 반응시키면 조사선량률이 높을수록 그라프트율은 높았으며, 첨가한 금속염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라프트 속도는 조사선량률의 0.74 차수에 비례하였다. 사용한 금속염 중에서 $FeSO_4{\cdot}7H_2O$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첨가제의 함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라프트율은 감소하였지만 적정농도이하에서는 그라프트용액이 고화되어 그라프트 반응시킬 수 없었다.

  • PDF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스틸렌의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에서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Additives on the Radiation-Induced Grafting of Styrene onto Polypropylene Fabric)

  • 박종신;노영창;진준하;이면주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38-945
    • /
    • 1996
  • Co-60 조사하에서 동시조사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스틸렌을 그라프트 중합반응시키면서 조사량, 조사선량률, 용매효과, 산 및 다관능성 단량체의 첨가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같은 조사량의 경우 조사선량률이 낮을수록 그라프트율은 증가하였다. 초기의 그라프트 반응속도는 조사선량의 0.56차수에 비례하였다. 산을 그라프트용액에 첨가하면 전 농도 범위에서 그라프트율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하여도 그라프트율이 증가하였다. 2개의 비닐기를 가진 DVB에 비하여 3개의 비닐기를 가진 TMPTA를 첨가하면 더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냈다. 한편 산과 다관능성 단량체를 동시에 첨가하면 별개로 첨가한 것보다 훨씬 높은 그라프트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orcine bone-derived grafting material and comparison with bovine xenografts for dental applications

  • Lee, Jung Heon;Yi, Gyu Sung;Lee, Jin Woong;Kim, Deug Joo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6호
    • /
    • pp.388-401
    • /
    • 2017
  • Purpos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xenograft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strongly influence the bone regeneration capabilities of the graft material. Even though porcine xenografts have many advantages, only a few porcine xenograf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most of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have yet to be reported. Thus, in this work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orcine bone grafting material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2 commercially available bovine xenografts to assess the potential of xenogenic porcine bone graft materials for dental applications. Methods: We used various characterization techniques, such a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Brunauer-Emmett-Teller adsorption method, atomic force microscop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and other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xenografts of different origins. Results: The porcine bone grafting material had relatively high porosity (78.4%) and a large average specific surface area (SSA; $69.9m^2/g$), with high surface roughness (10-point average roughness, $4.47{\mu}m$) and sub-100-nm hydroxyapatite crystals on the surface. Moreover, this material presented a significant fraction of sub-100-nm pores, with negligible amounts of residual organic substances. Apart from some minor difference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orcine bone grafting material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one of the bovine bone grafting material. However, many of these morphostructur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bovine bone grafting material, which exhibited relatively smooth surface morphology with a porosity of 62.0% and an average SSA of $0.5m^2/g$.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both bovine bone grafting material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in oral surgery applications in the last few decades, this work shows that the porcinederived grafting material possesses most of the key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its application as a highly efficient xenograft material for bone replacement.

태산목(泰山木)의 접목(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III보(報)) (Studies on the Grafting of the Magnolia grandiflora L. (III))

  • 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5
    • /
    • 1975
  • 본(本) 연구(硏究)는 태산목(泰山木)의 적합(適合)한 접목방법(接木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목련을 대목(臺木)으로 하여 접수(接穗)의 삭면(削面)에 삭편(削片)을 부착(附着)시키는 수정절접법(修正切接法)을 실시(實施)하고 특(特)히 환경조절(環境調節)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이 종합(綜合)되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목(臺木)은 목련 2년생(年生)의 실생묘(實生苗)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2. 수정절접법(修正切接法)의 활착성적(活着成績)은 43.0-89.5 %를 나타내므로 이 법(法)은 매우 효과적(効果的)인 방법(方法)이다. 3. Vinyl tunnel과 발(screen)에 의(依)한 환경조절(環境調節)은 89%의 활착율(活着率)를 나타내므로 매우 효과적(効果的)인 방법(方法)이 된다고 지적(指摘)할 수 있다. 4. 접수(接穗)는 동아(冬芽)가 충실(充實)한 1-2년생지조(年生枝條)를 가능(可能)한 한(限) 접목직전(接木直前)에 채취(採取)하여 사용(使用)하는 것이 좋았다. 5. 광주지방(光州地方)의 접목적기(接木適期)는 4월(月) 15-20일(日)이 적합(適合)하였다.

  • PDF

단백질에 대한 그라프트 공중합 (제1보). Cerium (IV) 이온에 의한 비닐 단위체의 견섬유에 대한 그라프트 공중합 (Graft Copolymerization to Proteins (I). Cerium (IV) Ion-Initiated Graft Co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to Silk Fibroins)

  • 조의환;안광덕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9-308
    • /
    • 1976
  • 단백질 섬유인 견섬유에 ceric ammonium nitrate를 촉매로 사용하여 acrylamide 또는 acrylonitrile을 그라프트공중합 하였다. 공중합의 표준반응조건은 세륨염 0.025 M, acryamide 0.5 M, 초산 25%, 온도 30$^{\circ}C$, 반응시간 3시간으로 하였으며 견섬유의 욕비(bath ratio)는 1:200으로 하였다. 이상의 반응조건에서 세륨염의 농도가 0.01 M 일 때와 7% 초산수용액일 때에 그라프트율이 최대로 되었다. Acrylonitrile을 단위체로 사용하면 질산용액에서의 그라프트율이 초산수용액에서 보다 높았지만, acrylamide 사용시와는 달리 그라프트율은 현저히 낮았다. 이밖에 그라프트된 견섬유의 Lowe시약(동-글리세린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 적외선 분석 및 분자량을 조사하고 호모 중합체의 생성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 PDF

Synthesis and Non-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s of Maleic Anhydride onto High Density Polyethylene

  • Ahn, Youngjun;Jeon, Jong Hyuk;Baek, Chul Seoung;Yu, Young Hwan;Thenepalli, Thriveni;Ahn, Ji Whan;Han, Choo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4-33
    • /
    • 2016
  • The grafting reaction for maleic anhydride (MA) onto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was investigated from solution process with initiators.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neat HDPE was carried out with various contents of MA (3-21 wt.%) and initiator (0.2-1 wt.%) at different temperature ($80-130^{\circ}C$). The grafting degree was obtained from the titration and the highest grafting degree was 3.1%. The grafting degree increased as the content of MA and initiator increased, however, the highest grafting degree was demonstrated for a particular content of MA and initiator. In the non-isothermal crystallization kinetics, the Ozawa model was unsuitable method to investigate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MA onto HDPE, whereas the Avrami and Liu models found effective. The crystallization rate was accelerated as the cooling rate increased, but postponed by combination of MA onto neat HDPE backbone.

머리뼈 붙음증에서의의 자가 두개 미립뼈 이식술 (Autogenous Calvarial Particulate Bone Grafting in Craniosynostosis)

  • 정승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22-227
    • /
    • 2011
  • Purpose: Autogenous particulate bone grafting is a type of autogenous bone graft that consists of small particles of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Autogenous particulate bone grafting has been used for calvarial bone defect after calvarial defect of craniosynostosis and prevention of temporal depression after fronto-orbital advancement. The results were followed up and studied for effectiveness of autogenous calvarial particulate bone grafting. Methods: Cranial vault remodeling and fronto-orbital advancement was performed for six craniosynostosis patient from August 2005 to October 2007. Autogenous particulate bone grafting was harvested from endocortex of separated cranial vault and if insufficient, from extocortex of occipital region using Hudson brace & D'Errico craniotomy bit and was grafted on the calvarial bone defect of cranial vault and temporal hollow. Fibrin glues were added to the harvested particulated bone for adherence and shaping of paticles. Results: Autogenous particulate bone grafting was followed-up at least longer than I year. The calvarial bony defects following primary cranial remodeling were successfully covered and postoperative temporal depressions after fronto-orbital advancement were also well prevented by grafted particulated bone. Conclusion: Autogenous calvarial particulate bone graft can be harvested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It effectively heals cranial defects in children and during fronto-orbital advancement reduces the prevalence of osseous defects independent of patient age. It's easy and effectiv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calvarial defect.

접목 전 대목 및 접수의 양수분 관리가 고추의 접목활착 및 접목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aft-take and Growth of Grafted Pepper Transplants Influenced by the Nutrient and Irrigation Management of Scion and Rootstock before Grafting)

  • 장윤아;문보흠;최장선;엄영철;이상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4-370
    • /
    • 2014
  • 접목묘의 활착률 및 생육은 활착기간 중의 환경조건뿐만 아니라 접목 전 대목 및 접수의 생육상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접목 직후에 있어서의 환경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생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접목 후의 환경 조건뿐만 아니라 접목 이전의 대목 및 육묘관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접목 전 접수의 수분관리, 대목의 양분관리가 고추 접목묘의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접목 전 접수 육묘시 관수에 따른 고추 접목묘의 생육을 검토하기 위해, 접수의 관수 횟수 및 관수시기를 접목 5일 전 최종 관수 후 0, 1(접목 2일 전), 1(접목 1일 전), 2회(접목 2일 전 및 접목 직전)로 처리하였다. 관수횟수 및 관수시기에 따라 접수의 상토 및 식물체의 수분포텐셜이 영향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접수 및 접목묘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 접목 13일째 접목 2일전 1회 관수 처리구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0회 관수처리구 대비 각각 29, 34% 높았다. 따라서 72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한 고추 접수 생산시 접목 전 5일간의 기간 중 2일 전 1회 관수와 같이, 접목 전 접수의 수분관리를 통하여 적절한 수분스트레스를 줌으로써 접목시 접목묘의 수분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원활한 접목활착 및 이후 생육촉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접목 전 대목 육묘시 양분공급에 따른 고추 접목묘의 생육을 검토하기 위해, 접목 일주일 전부터 대목의 양액공급 횟수를 0, 1(접목 2일 전), 2(접목 2일전 및 접목 직전), 4회(접목 7, 5, 2일 전 및 접목 직전)로 처리하였을 때, 상토의 pH와 EC, 대목과 그를 이용한 접목묘의 생육 및 식물체내 무기성분 함량이 영향을 받아, 접목 13일째 4회 공급처리구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0회 처리구 대비 각각 30, 20% 증가하였다. 따라서 72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한 고추 대목 생산시 접목 전 7일간의 기간 중 4회 이상의 양액 공급을 통해 접목묘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접목전 대목 및 접수의 양수분 관리에 의해 고추 접목묘의 생육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접목 전 대목 및 접수의 적절한 양수분 관리를 통해서 접목묘의 생육촉진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조사법에 의한 아크릴산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대한 그라프트 반응 (Pre-Irradiation Grafting of Acrylic Acid onto Polyethylene Film)

  • 노영창;진준하;이면주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75-82
    • /
    • 1996
  • 전자선과 ${\gamma}$선으로 방사선조사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에 과산화물을 형성시킨 다음 산과 $FeSO_4(NH_4)_2SO_4{\cdot}6H_2O$와 존재하에서 아크릴산을 그라프트반응시켰다. $FeSO_4(NH_4)_2SO_4{\cdot}6H_2O$와 황산의 첨가효과와 그라프트 반응메카니즘을 검토하고, 이들 그라프트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과산화물법에 의한 그라프트반응에서 $FeSO_4(NH_4)_2SO_4{\cdot}6H_2O$와 산을 동시에 첨가하면 $FeSO_4(NH_4)_2SO_4{\cdot}6H_2O$만 첨가한 것보다 월등히 그라프트율이 향상되었고, $FeSO_4(NH_4)_2SO_4{\cdot}6H_2O$를 첨가하지 않고 산만을 첨가하면 과다한 단일 중합체의 형성으로 그라프트반응을 시킬 수 없었다. 산중에서 $H_2SO_4$와 HCl의 첨가효과는 $HNO_3$$CH_3COOH$보다 월등히 컸으며, 같은 조사선량으로 ${\gamma}$선과 전자선 조사한 폴리에틸렌에 대한 아크릴산의 그라프트반응에서 ${\gamma}$선 조사한 시료의 그라프트율이 전자선 조사한 것보다 높았다.

  • PDF

Surfac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Membrane by ${\gamma}$ Irradiation Methods and their Solutes Permeation Behaviors

  • Shim, J. K.;Lee, S. H.;Kwon, O. H.;Lee, Y. M.;Nho, Y. C.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9-101
    • /
    • 1998
  • 1. Introduction : The conventional grafting polymerization technique requires chemically reactive groups on the surface as well as on the polymer chains. For this reason, a series of prefunctionalization steps are necessary for covalent grafting. The surface prefunctionalizational technique for grafting can be used to ionization radiation, UV, plasma, ion beam or chemical initiators. Of these techniques, radiation method is one of the useful methods because of uniform and rapid creation of active radical sites without catalytic contamination in grafted samples. If the diffusion of monomer into polymer is large enough to come to the inside of polymer substrate, a homogeneous and uniform grafting reaction can be carried out throughout the whole polymer substrate. Radiation-induced grafting method may attach specific functional moieties to a polymeric substrate, such as preirradiation and simultaneous irradiation. The former is irradiated at backbone polymer in vacuum or nitrogen gas and air, and then subsequent monomer grafting by trapped or peroxy radicals, while the latter is irradiated at backbone polymer in the presence of the monomer. Therefore, radiation-induced polymerization can be used to modification of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ic materials and has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it imparts desirable properties such as blood compatibility. membrane quality, ion excahnge, dyeability, protein adsorption, and immobilization of bioactive materials. Synthesizing biocompatible materials by radiation method such as preirradiation or simultaneous irradiation has often used $\gamma$-rays to graft hydrophilic monomers onto hydrophobic polymer substrates. In this work, in attempt to produce surfaces that show low levels of anti-fouling of bovine serum albumin(BSA) solutions, 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was grafted polypropylene membrane surfaces by preirradiation technique. The anti-fouling effect of the polypropylene membrane after grafting was examined by permeation BSA sol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