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overnment fund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개방형혁신의 공공연구부문 적용방안 연구: KIST ORP 사례를 중심으로

  • 이창근;강대신;정선양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73
    • /
    • 2015
  • 개방형혁신(Open Innovation)이 주창(Chesbrough, 2003)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공공연구 분야서는 제한된 정부 연구재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우선시되어 왔고, 따라서 개방형 연구를 위한 동인과 실증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KIST가 자체 묶음예산을 외부 연구자에게 개방한 ORP사업을 분석하여 공공연구 분야에서의 개방형 혁신연구 적용가능성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제주 전통돌담의 유지보전에 관한 의식조사 (A Survey on Preservation of Traditional Stone Fences in Jeju)

  • 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3권1호
    • /
    • pp.33-4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value of stone fences in Jeju Island. The result that executes attitude survey to local resident and visitor can be summarizing as following. First are the function and the value of Jeju traditional stone fences. Local resident favored the culture heritage succession and evaluated its' usage Value highly. Visitors also have favored rural landscape offer function and evaluated inheritance value (Bequest Value) highly. Secondly, 80.5% of visitors, 78.1% of local resident have formed opinion about preservation of traditional stone fences. But the Willingness to pay for traditional stone fences fund was raised by 38.6% in local resident and 55.7% in visitor. The reason that willingness to pay does not exist is that it is chargeable to connection group and government, or it has no money to pay. Thirdly, local resident wanted to use made up stone fence preservation fund in rural landscape offer function. Visitor wanted that it is used to raise various function of stone fence.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을 통한 국내 스타트업 대상의 정부 자금지원 개선 방안 제언: 신용보증기금을 중심으로 (Proposals to improve government funding of domestic start-up businesses through Living Lab: Focus on Korea Credit Guarantee Fund)

  • 박준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01-312
    • /
    • 2018
  • 본 연구는 신용보증기금이 지원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을 중심으로 정책자금 활용성 증대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래서 현재 신용보증기금은 스타트업들의 정책자금 활용성을 높이고 지원받는 스타트업들이 중장기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국내 스타트업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는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으로 개방형 혁신인 'Living Lab'을 통해서 새로운 혁신이 나타났다. 그렇지만 실제 사업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은 국내 스타트업 들이 실제 정책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되도록 하고, 또한 필요한 자금을 언제든 자유롭게 사용자 중심으로 자금지원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신용보증기금은 고객맞춤형으로 지원하게 되는 지원모델로서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의 실제적인 상황 인식과 애로사항들을 모두 수용에 한계가 있기에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의 과학적 접근을 위하여 신용보증기금과 관련 지원기관 등이 스타트업의 정책자금 실태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비도시지역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Implementation of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in Non-Urban Area)

  • 김재명;최윤수;서창완;조한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63-74
    • /
    • 2010
  •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 디지털 지리정보구축 추진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도출된 제도적 기반 확립을 통해,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지리정보구축을 토대로 전국토가 세계화 개방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초자치단체의 정보화를 강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장기 계획안은 1/1,000 수치지도와 영상지도, 수치표고모형을 동시에 제작함으로써 1단계에서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 및 유지관리 조직 구성, 비도시지역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관련법규 정비 및 지역협의회 구성의 기반정보를 구축하고, 2단계에서는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확산, 지리정보유통 활성화,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도시계획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3차원공간정보시스템 구축의 정보화 확산 및 3단계에서는 지리정보 현행화 및 유지관리, 부가가치정보 생산, 행정업무의 고도화 및 대민서비스 극대화를 통한 정보 고도화를 실현함으로써 시군구/시도/중앙정부의 통합지리정보의 기반이 되는 지리정보를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기관의 유형별 효율성 평가와 비효율성 원인의 규명에 관한 연구 (Efficiency Rating by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Identification of Inefficiency Sources)

  • 김현정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5-89
    • /
    • 2015
  • In recent years, attention to the high debt ratio in public institutions has pushed the government to make efforts in reducing the debt ratio. However, in order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government needs drastically innovative measures that reduce debt by improving efficiency rather than moderate approaches that focus solely on debt reduction. Despite this need, no study has ye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overall efficiency of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and identified the source of inefficiencies in each public entity. Therefore, largely two research questions are examined. First, this study compares the efficiency levels by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 of inefficiencies in each public institution and proposes directions for improving efficiency. Based on a 5-year data of 302 public institutions published in public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and organizational websites from 2009 to 2013,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performed. The input variables include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otal costs while the output variables include sales and net incom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the input-oriented CCR model and input-oriented BCC model were utilize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ket-oriented public institution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hile fund management quasi-governmental agencies showed the highest inefficiency. Second, scale efficiency score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CCR model and the BCC model on the organizations with the lowest efficiency level, fund management quasi-governmental agenci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ource of inefficiency and detail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proposed for Decision Making Units (DMUs) with low CCR and BCC scores.

Return-on-Investment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Research Fund: A Case Study in Malaysia

  • SANUSI, Nur Azura;SHAFIEE, Noor Hayati Akma;HUSSAIN, Nor Ermawati;ABU HASAN, Zuha Rosufila;ABDULLAH, Mohd Lazim;SA'AT, Nor Haya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9호
    • /
    • pp.273-285
    • /
    • 2021
  • This study estimates the financial value of return on investment (ROI) of research funds. Four simulation estimations are employed to measure ROI finance value that considers the outputs, outcomes, impacts and total ROI from the allocation input received. Research outputs, outcomes, and impacts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based on improvements to existing systems. In terms of input, the Malaysian government has allocated MYR301,350,000 for fundamental research in the 2021 budget compared with 2019, up 9.5 percent from 2019. It brings up the question: To what extent does the input of research funds allocated by the government yield a good return in outputs, outcomes, and impacts to the academic community, society, and country? The result of total ROI shows around MYR7 return is generated by researchers for each Malaysian ringgit channeled by the funder. More specifically, for a research project, it is more difficult to produce impacts and outcomes compared to research outputs. The positive return is evidence that all the allocated funds are beneficial to the stakeholders. The government can apply this approach in calculating ROI for evaluation and fund allocation to universities. Furthermore, the positive financial value of research output, outcome, and impact automatically contribute to a positive innovation environment in Malaysia.

A Blockchain Framework for Investment Authorities to Manage Assets and Funds

  • Vinu Sherimon;Sherimon P.C.;Jeff Thomas;Kevin Jaim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128-132
    • /
    • 2023
  • Investment authorities are broad financial institutions that carefully manage investments on behalf of the national government using a long-term value development approach. To provide a stronger structure or framework for In-vestment Authorities to govern the distribution of funds to public and private markets, we've started research to create a blockchain-based prototype for managing and tracking numerous finances of such authorities. We have taken the case study of Oman Investment Authority (OIA) of Sultanate of Oman. Oman's wealth is held in OIA. It is an organization that oversees and utilizes the additional capital generated by oil and gas profits in public and private markets. Unlike other Omani funds, this one focus primarily on assets outside the Sultanate. The operation of the OIA entails a huge number of transactions, necessitating a high level of transparency and administration among the parties involved. Currently, OIA relies on various manuals to achieve its goals, such as the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manual, the In-vestment Manual, and the Code of Business Conduct, among oth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chain based framework to manage the operations of OIA. Blockchain is a par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re-shaping every industry. The main components of every blockchain are assets and participants. The funds are the major assets in the proposed study, and the participants are the various fund shareholders/recipients. The block-chain's transactions are all safe, secure, and immutable, and it's part of a trustless network. The transactions are simple to follow and verify. By replacing intermediary firms with smart contracts, blockchain-based solutions eliminate any middlemen in the fund allocation process.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파급효과 분석 - 에너지절약기술개발사업의 사례 (An Analysis on Effect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Program - Case of Energy Conservation Technology Research Program -)

  • 허은녕;배위섭;이영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166
    • /
    • 2002
  • This study analyzes effects of the government-funded energy conservation technology research program using a simple calculation-based valuation method. Energy conservation amounts by 50 commercialized technologies are calculated and then transformed to energy conservation effect and pollution reduction effect. Export and import-substitution effects are also calculat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program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fter 1996 while research fund has not. We suggest rapid increase of government support of this program so that the goal of the research program can be reached.

  • PDF

연구비 재원과 연구개발성과 : 간접비 비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D Funding and R&D Performance :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rect R&D Cost Ratio)

  • 이준범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0-453
    • /
    • 2018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산 규모가 증가하고 연구비 오남용 사례들이 끊임없이 보고되는 가운데, 연구비 지출에 대한 통제와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연구비 사용에 대한 과도한 규제는 연구비 지원정책 본연의 목적에 어긋나며, 연구수행기관의 연구개발성과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연구자금 확보가 절실한 중소기업에게 연구비 규제는 더욱 민감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고정효과 패널모형을 사용하여, 중소기업의 연구비 재원과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부연구비 규모가 커질수록 연구개발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연구비의 효과성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민간연구비의 효과성은 분석모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비가 재량적으로 집행될수록(간접비 비율이 높아질수록) 정부연구비와 민간연구비의 효율성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민간연구비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민간연구비의 경우, 간접비 비율에 따라 효과성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행정가치들(효과성, 효율성, 책임성)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구비 재원과 연구개발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객만족수준과 고객만족을 위한 지출 및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Framework to Determine the Loan Rate of the Government Loan Program based on Rationales of the Government Loan Program)

  • 임신숙;이호갑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7-3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객만족을 높이기 위한 지출이 실제로 고객만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지 그리고 고객만족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고객만족도가 조사된 서비스업종을 대상으로 금융감독원의 재무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만족을 위한 지출과 고객만족지수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판매촉진비와 교육훈련비가 고객만족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고객만족지수와 재무적 성과의 주요변수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바로는 고객만족지수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객만족도가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총이익률, 총자산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창업기업의 약 70%가 서비스업종으로 고객관계가 특히 강조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서비스업만을 대상으로 고객만족의 중요성을 점검해본 본 연구를 통해서 기업에서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이루어지는 지출로 인해 실제로 고객만족도가 높아지는지 확인할 수 있고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항목의 지출을 늘려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재무적 성과측정치를 종속변수로 이용해봄으로써 고객만족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재무적 성과치가 무엇인지 밝힐 수 있다면 이는 기업이 고객만족경영의 성과를 평가할 때 어떤 재무적 성과측정치를 이용해야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